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세계 유니콘 기업 2년 새 두 배 증가…美·中 두각, 韓 11개 포함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Cbinsights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11-01
  • 등록일 2020-12-18
  • 권호 181

CB Insights, 202011월 기준 세계 유니콘 기업 수는 501


유니콘 기업(Unicorn company)

유니콘 기업은 201311월 미국 벤처캐피털(VC) 카우보이벤처스 설립자 에일린 리(Aileen Lee)’ 처음 사용한 용어(당시 총 39)로 기업가치 10억 달러 이상으로 평가되는 비상장 스타트업

최근에는 100억 달러 이상 데카콘(Decacorn), 1,000억 달러 이상 헥토콘(Hectocorn)도 등장


세계 유니콘 기업가치는 총 15,920억 달러로 집계되었으며 국가별로는 미국 243, 중국 118, 인도 25, 영국 24, 독일 12, 한국 11개 순

 

  ※ 미국·중국 기업은 세계 유니콘 기업의 72.2% 차지


 - 그 외에도 이스라엘 8, 브라질·프랑스 7, 인도네시아 5, 일본·홍콩 4, 스위스·스웨덴·싱가포·네덜란드 3, 스페인·오스트레일리아·캐나다·콜롬비아·남아프리카공화국·아랍에미리트 2, 필리핀·포르투갈·크로아티아·에스토니아·아일랜드·리투아니아·룩셈부르크·멕시코·우루과이 1개씩 랭크


3-1.PNG

 - 세계 유니콘 기업이 250개로 늘어나는 데는 4년 이상의 시간이 걸렸으나 이후 2년 사이에 두 배 증가한 501개에 달하며 증가 속도가 빨라진 것으로 분석


  ※ △2016(6월 기준) 세계 유니콘 기업 수 1662017(8월 기준) 2412018(11월 기준) 2882019(5월 기준) 346


 - 유니콘 기업 증가 속도가 빨라진 것은 초저금리 시대가 장기화하면서 높은 수익을 확보할 수 있는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가 늘어난 것이 주요 원인


유니콘 중에서도 기업가치가 100억 달러 이상인 테카콘(Decacorn) 기업은 28개로 미국 중국 기업이 대부분


 - 싱가폴 그랩(Grab), 인도 바이주스(BYJU's), 영국 글로벌 스위치(Global Switch), 스웨덴 클라나(Klarna), 인도네시아 고젝(Go-Jek), 브라질 누뱅크(Nubank)도 포함

 

(중국) 정부의 전폭적 지원 등에 힘입어 유니콘 기업가치 세계 1·2

 

중국 바이트댄스는 기업가치 1,400억 달러로 평가되어 1위에 올랐으며 차량 호출 기업 디디추싱은 620억 달러로 2위 차지


 - (바이트댄스) 15초 내외의 짧은 동영상을 공유할 수 있는 영상 플랫폼 앱 틱톡(TikTok)’과 중국 모바일 뉴스 앱 진르터우탸오(Toutiao)’가 투자와 성장을 견인


 - 틱톡의 경우 10대 사이에 선풍적인 인기를 모으며 왓츠앱·페이스북 등과 대등한 경쟁력 확보


 - 한 달에 한 번 이상 틱톡에 접속하는 월간활성화이용자 수(MAU)8억 명(2020.7월 기준)을 넘어섰으며 2020.8월 세계 틱톡 다운로드 수가 20억 건을 돌파하는 등 중국 앱 산업 선도


 - 일반적 뉴스 앱과 달리 AI를 통해 이용자 뉴스 구독 패턴을 분석하고 맞춤 뉴스를 추천하는 진르터우탸오는 2018년 말 기준 가입자 수 7억 명을 돌파했으며 월평균 방문자 수는 약 2억 명


 - (디디추싱) 중국 내 400여개 도시에서 일평균 3,000만 건 호출, 등록 운전자 2,100만 명, 연간 이용객 45,000만 명을 기록하며 자국 차량공유 서비스 강자로 자리매김


118개 중국 유니콘 기업 중 콰이가 6, 위엔푸다오(Yuanfudao)11, DJI12위에 오른 가운데 23개의 중국 기업이 상위 100개 유니콘 기업에 랭크


 - 특히 상위 10개 유니콘 기업 중 중국 기업 가치는 2,200억 달러로 미국(1,510억 달러)을 압도


세계 최대 내수시장을 기반으로 활발한 벤처투자, 정부의 전폭적 지원 등이 선순환 창업 생태계를 형성하고 스타트업이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하는데 긍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


 - 낮은 규제 장벽과 IT 대기업의 자본 투자, 스타트업 대상의 정부 지원 프로그램 등이 주효


(미국) 다양한 산업에 고르게 분포하며 최다 배출


테슬라 CEO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민간 우주개발기업 스페이스X와 온라인 결제업체 스트라이프, 숙박공유서비스 업체 에어비앤비가 각각 3·4·5위에 오르며 주목


  ※ 상위 10대 유니콘 기업에 포함된 미국 기업은 총 6


 - 분야별로는 인터넷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48), 핀테크(37), AI(23), 건강(19), 컴퓨터 보안(14), 하드웨어(6) 등에 고루 포진


  ※ 여행(4) 공급망, 물류 및 배송(8) 모바일 및 통신(10) 자동차 및 교통(8) 소비자 및 소매(10) 전자 상거래 및 직접 소비자(21) 데이터 관리 및 분석(15) 에듀테크(6) 기타(14)


 - 스페이스X15번째 스타링크 위성을 실은 팰컨9로켓을 성공적으로 발사(2020.10)하는 등 초소형위성을 우주로 발사해 우주인터넷망을 연결하는 우주인터넷 사업 스타링크를 본격화하며 기업가치가 크게 상승


 - 온라인 결제 업체 스트라이프는 7줄짜리 코드로 결제 시스템의 복잡한 구성을 단순화했으며 페이스북, 트위터, 핀터레스트 등 온라인과 모바일에서 제공하는 대부분 서비스와 연동


  ※ 7줄짜리 코드: 단순한 일곱 줄의 코드만 갖다 붙이면 결제 사이트를 들르지 않고 곧바로 결제 가능

 

(한국) 유니콘 기업은 11개 포진세계에서 6번째로 많은 국가


쿠팡, 크래프톤, 옐로모바일, 토스, 위메이크프라이스, 무신사, 지피클럽, 엘앤피코스메틱, 에이프로젠, 야놀자, 쏘카가 유니콘에 포함


3-2.PNG
3-3.PNG


특히 코로나19 사태로 온라인 거래가 확산하면서 플랫폼 기반 사업을 영위하는 쿠팡·위메프·무신사 등 전자상거래 기업 주목


 - 쿠팡은 세계 최초로 자체 배송인력인 쿠팡맨이 무료로 상품을 배달하는 로켓배송 등 비즈니스 모델이 소비자 편익을 높이며 혁신 플랫폼으로 평가


 - 토스는 공인인증서가 없는 간편송금 서비스를 앞세운 금융 혁신으로 새로운 비즈니스 모델을 구현하며 리빗 캐피털 등으로부터 8,000만 달러 투자 유치에 성공


 - 국내 모빌리티 업계 최초로 유니콘 기업에 신규 편입된 쏘카는 택시 업계와 갈등을 겪고 있으나 가맹 택시 서비스 타다 라이트, 대리기사 중개 서비스 타다 대리, 중고차 판매 서비스 캐스팅 등 상생과 혁신 비즈니스 모델을 통해 위기 돌파

 

코로나19 팬데믹 속 핀테크와 전자상거래 기업 두각


코로나19 사태로 자금조달 우려가 있었지만 전자상거래, 핀테크 같은 언택트(untact) 분야 기업의 투자 유치가 확대되면서 유니콘 기업으로 성장


 - 산업별로 핀테크 71, 전자상거래 및 직접 소비자 64, 인터넷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64, AI 45개 순으로 집계


 - 코로나19 영향으로 온라인·모바일 쇼핑 증가, 사람 간 직접적 접촉을 피할 수 있는 언택트 서비스가 각광받으면서 핀테크·전자상거래 스타트업 성장 배경으로 작용


  ※ 핀테크: 46(2019)71(2020), 전자상거래 및 직접 소비자: 4564, 인터넷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4564, AI: 4245, 모바일 및 통신: 2133



3-4.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