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브루킹스연구소, 가치사슬 관점의 제조업 노동력 변화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5-03-06
- 등록일 2015-04-06
- 권호 43
□ 브루킹스연구소는 최근 정책적 중요성이 제고되고 있는 제조업에 대하여 가치사슬 관점의 노동력 구성변화 등을
분석, 발표(2015.3.)
※ 2011년 민간부문의 시장실패에 대응하고, 첨단 제조분야의 육성을 위한 ‘첨단제조 이니셔티브 및 파트너십(Advanced
Manufacturing Initiative, Advanced Manufacturing Partnership 2.0)을 발표
※ 2012년 3월 미국 제조업 활성화 및 혁신을 위한 첨단 제조 기술 개발을 위한 ‘국가제조업 혁신네트워크(National Network for
Manufacturing Innovation, NNMI)’를 발표
○ 가치사슬 관점에서 제조업계 내 산업별 추세를 분석하고, 각 가치사슬 단계별 고용의 변화를 비교․제시
□ 기존 북미산업분류시스템(NAICS)*은 생산과정의 유사성 기반 분류체계를 가짐에 따라 가치사슬 관점에서 생산자의
일부 고부가가치 활동을 제외
* North American Industry Classification System
<가치사슬 관점에서 분석한 제조기업 산하 세부 분야(예시)>
기업 | 산업분야 | 주요활동 |
GE (General Electric) | 제조업 | - 항공기 엔진 및 엔진부품 제조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 | - 물리, 공학, 생명과학분야 R&D - 마케팅 컨설팅 서비스 | |
유지보수 | - 제품 유지보수 | |
포드 (Ford Motor Company) | 제조업 | - 자동차 제조 |
도매 | - 자동차 및 기타 차량제품 도매 | |
소매 | - 신차량 매매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 | - 공학서비스, 실험, 고객 컴퓨팅 서비스 - 물리, 공학, 생명과학분야 R&D - 마케팅 조사 및 여론 조사 | |
프록터앤갬블 (Procter & Gamble) | 제조업 | - 위생종이제품 제조 |
도매 | - 기타 화학 및 제품 도매 | |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 | - 실험 및 홍보물 배포 서비스 |
○ 예컨대 생산 전 디자인 및 생산 후의 전문 기술서비스 등은 최종 제품의 부가가치를 제고하는 활동임에도 불구하고 서비스
분야로 집계
○ 생산기업에 속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막대한 투자가 시행되는 디자인 및 연구개발 분야가 통계집계 시 생산활동으로 미포함
○ 이에 본 보고서에서는 노동의 유형보다는 각 가치사슬 단계별로 고용의 소속관점에서 분류하는 것을 제안
- 즉, 단순 제조 및 서비스와 같은 최종 제품의 유형구분이 아닌 가치 사슬 관점에서 부가가치가 형성되는 전체 과정이 일어나는
영역기준으로 구분
□ 가치사슬 관점으로 ’10년 제조분야 종사자 고용현황을 분석하는 경우, 북미산업분류시스템(NAICS) 기준에 비해
약 2.9배 수준으로 증가
※ 자료 : Bureau of Labor Statistics, Quarterly Census of Employment and Wages
※ 생산은 제조, 신문 및 서적, 기타 출판물을 모두 포함
<가치사슬 및 NAICS관점의 고용인원 비교>
○ NAICS기준 2002년 대비 2010년 고용인력감소의 대부분은 생산부문에서의 약 4백만 명의 인력 감소로 추정
○ 2002년 대비 2010년 고용 인력은 12%감소하였는데, R&D, 디자인 및 기술서비스, 시장분석 부문 등 가치사슬 관점의 초기단계는
증가한 반면 생산, 도소매 분야 등 후기에서는 감소 추세
※ 자료 : Bureau of Labor Statistics, Quarterly Census of Employment and Wages
<가치사슬 단계별 고용규모의 변화>
○ 임금변화에서도 가치사슬 초기단계 부문이 후기단계보다 높고 빠른 추세
※ 자료 : Bureau of Labor Statistics, Quarterly Census of Employment and Wages
<가치사슬 단계별 평균 시간단 임금의 변화>
○ 고용과 임금의 변화와 관련하여 공정의 자동화 등 기술혁신의 파급효과가 큰 생산부문이 서비스 부문에 비하여 더 많은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
- 생산부문에서는 2002년 대비 2010년에는 44% 생산성이 향상되었으나, 서비스부문은 12% 수준
○ 향후 2002-2020년 전망에서도 생산부문 및 설치 및 보수 분야 일자리는 25%감소하고, 엔지니어․과학자 및 컴퓨터 프로그래머
등은 20%가 증가할 전망
□ 보고서는 가치사슬 관점의 제조업 노동력 변화 분석을 통해 다음과 같이 제언
○ (연방정부의 제조업 정책) ‘첨단제조 파트너십(AMP)’등 제조업 진흥 정책 추진과정에서 프로그램의 대상을 R&D, 디자인 및
기술서비스, 시장분석분야 등으로 확대하는 것이 중요
○ (고등교육) 기술혁신에 의한 제조업 환경변화를 감안하여 교과과정을 불확실성 관리, 문제정의 및 해결 등으로의 조정이 필요
- 대학은 학생들에게 미래유망 직업분야에 대한 지속적인 정보제공 병행이 필요
○ (국가통계체계) 북미산업분류시스템(NAICS)에 전체 가치사슬을 추적․관리할 수 있는 데이터 수집 및 분류 체계의 보완이 필요
□ 시사점
※ 자료 : OECD (2013)
<글로벌 가치사슬활동에 따른 부가가치 변화>
○ 기술혁신 및 산업의 고도화에 따른 가치사슬의 부가가치의 변화는 OECD에서도 분석하고, 과학기술 및 산업정책에 시사점을
제시
○ 생산 및 R&D에 편중된 혁신활동의 범위를 마케팅 및 서비스 분야로 확대하는 정책방향 논의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