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바이오 기술 ‘포스트 5차 산업혁명’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경제산업성(METI)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0-12-21
- 등록일 2021-01-22
- 권호 183
□ 경제산업성 산업구조 심의회 바이오소위원회는 일본 바이오산업 경쟁력 강화를 위한 「바이오기술이 열어가는 포스트 4차 산업혁명」을 발표(’20.12.)
○ 전 세계적으로 미국은 헬스분야에 대한 정부 지출이 매우 높은 편이며, 일본, 한국, 독일, 영국 등도 동 분야에서의 국제경쟁이 격화되고 있음
- ’16~’20년 일본에서는 총 7건의 재생의료제품, 2건의 유전자 치료제품의 승인 및 적용확대가 인정되었으며, 유럽에서 44개 제품, 미국에서 29개 제품의 재생의료 및 유전자 치료제가 출시
○ IT・AI 기술의 조합이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듯이, 유전자변형생물세포와 IT・AI 기술의 조합은 「포스트 4차 산업혁명」을 이끌 수 있으며, 향후 이러한 흐름을 가속화할 수 있도록 경제산업성이 추진해야 할 사항을 분야별로 제시
1) 로봇화・자동화
바이오 분야의 재현성・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인간형 실험 로봇이나 작업별 모듈화된 기계의 조합으로 연구개발의 자동화 가속화 |
- 바이오 분야의 연구개발 및 제조 자동화시스템의 실용화를 촉진하기 위해 로봇화・자동화 실현시 효과적인 영역을 구체적으로 파악
2) 국제적 바이오커뮤니티 구축(도쿄권-간사이권)
바이오 관련 기관이 집적되어 있는 도쿄권 및 간사이권에 각각 국제적 바이오 커뮤니티를 구축하여 바이오 커뮤니티의 운영을 담당하는 협의회 설치 및 마스터플랜 수립, |
- 민간 주도의 간사이권(오사카, 교토 및 고베) 글로벌 바이오 커뮤니티와 연계시켜 지금까지 바이오 커뮤니티로서 공동체가 존재하지 않았던 도쿄권에 「Greater Tokyo Biocommunity(가칭)」(「GTB」)를 설립
- GTB 발족을 위해 도쿄권에 있는 다양한 플레이어(국가, 지자체, 대학・연구기관, 기업, 금융기관・투자자 등)의 유기적 협력이 필요하며, 「GTB협의회」발족 (’21년 상반기), 「GTB 사무국」 수립
- GTB는 국제적 바이오 커뮤니티로서의 GTB의 실적을 수치화・벤치마킹하여 구체적인 액션 및 정량적 목표를 기재한 마스터플랜(‘GTB 이니셔티브’) 작성
3) 바이오산업 필요 인재 양성
바이오 DX산업 인재를 육성할 수 있도록 대학원생, 기업의 젊은 연구자 등을 대상으로 실천적인 바이오 DX산업 인재육성 프로그램을 대학 등에 신설 |
- 대학원생, 기업의 젊은 연구자 등을 대상으로 기업의 수요를 고려한 바이오 DX 산업 인재육성을 위한 강좌, 연수 프로그램을 대학 신설
- 기업의 수요에 걸맞는 실용적 인재육성에 기여하는 기능시험을 정부가 후원
- 해당 연구개발 프로젝트 내에 합성생물공학에 의한 새로운 「바이오 제조 인재 육성 프로그램(가칭)」을 마련하여 프로젝트 현장을 활용하면서 인재육성을 지속할 수 있는 시스템 구축
4) 중점 대응 연구과제
「건강・의료 전략」하에서 경제산업성이 중점적으로 대응해야 할 연구개발 과제를 파악하고, ’21년 전문가회의 「생명과학기술전략검토회(가칭)」 마련 |
- 핵산의약, 차세대 항체의약품 개발, 제조, 제품 평가를 위한 기술, 재생의료 등 제품 제조・제품 평가를 위한 기술, 원료세포의 안정공급을 위한 기술개발・실증 및 마이크로바이옴 제어기술 개발
- ’21년 전문가회의 「생명과학기술전략 검토회(가칭)」를 설립하여 연내에 기술전략 수립
- 고부가가치의 신소재를 생산해 내는 스마트셀 개발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