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2020 제조강국 발전지수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중국공정원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0-12-25
  • 등록일 2021-01-22
  • 권호 183

중국 공정원은 2020 중국 제조강국 발전지수 보고서를 발표 (’20.12)


미국의 제조강국 발전지수를 100으로 할 때, 중국글로벌 4에 해당

 

 - 미국과 상대적 격차가 좁아지는 국가는 중국 이외에도 독일, 한국이고, 일본, 프랑스, 영국, 인도 등 국가는 격차가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임


5-1.PNG

제조 강국 발전 지수는 규모, 품질, 구조, 지속발전4개 지표로 구성하여 국가별 제조업 경쟁력을 반영


1) 규모 발전지수


 - 중국(54.86)이 가장 선두를 유지하고 있으나, ’16년 이후 증가율이 하락


 - 미국(36.42)은 안정적 성장을 실현하고 있으나, 독일(27.10)은 하락폭이 최대로 제조업 부가가치 지수가 수출 비중 지수 하락의 영향을 넘지 못함


5-2.PNG

2) 품질 수익지수


 - 미국(59.96)은 절대적 우위가 뚜렷하며, 중국은 제조업 인력의 노동생산성이 높게 나타났으며, 제조업 부가가치율이 항상 저조한 편임


5-3.PNG

3) 구조 최적화 지수


 - 중국(24.25)’16년 이후 처음 증가추세를 나타냈으며, 아직 미국, 독일, 일본 등 국가와는 큰 격차를 유지


5-4.PNG

4) 지속 발전지수

 

 - 미국과 일본을 거의 대등한 수준이며, 중국은 ’19년 기업 매출액 이익륙이 15.62이며 0.96%p 하락


5-5.PNG

5) 제조강국 발전지수(’12~’19)


 - 중국(18.3)은 성장이 가장 뚜렷한 국가인 반면, 일본, 영국, 프랑스 및 브라질은 하락하는 추세임


 - 유럽 각국은 ’19년 제조강국 발전지수가 하락하였는데, 특히 독일은 2015년 이후 최초로 감소


5-6.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