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소재 혁신 강화 전략 마련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내각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1-01-19
- 등록일 2021-02-05
- 권호 184
□내각부는 일본의 소재 기술 강화를 위한 범국가적 대응전략을 마련(’21.1)
○ 일본 수출산업의 핵심은 소재와 자동차로 세계 시장에서 절반 이상의 점유율을 차지
- 최적설계형 소재 산업의 강점, 즉 고도의 제조 프로세스 기술 및 관련 계측・분석 기기, 가공, 장치 기업이 지닌 고도의 기술력이 핵심임
- 다양한 연구자 및 기업이 있고 일본 국내에 가치망의 각 주체(기초-파생제품-생산제품)가 존재하면서 학계를 포함하여 가깝게 연계되어 있는 특징을 보유
- 향후 SDGs 시장으로 확대하고 소재의 다양성을 유지하기 위한 노력 필요
< 일본기업의 주요 첨단제품 점유율 및 시장 규모 2017년 >
○ 재료 혁신 역량을 통해 경제 발전과 사회 문제 해결을 양립한 지속가능한 사회로의 전환을 글로벌 선두 국가 실현을 위한 기본방향 및 액션플랜 수립
1) 소재의 신속한 상용화 추진, 소재 혁신 에코시스템 구축
⦁목표: 사회과제의 본질적 해결로 이어지는 혁신적 개념의 신속한 상용화 및 시장 개척 |
- ’50년까지 탄소중립 실현을 목표로 「녹색성장전략」중 「수소분야 실행계획」등에서 제시된 구체적 목표연도 및 목표달성을 약속하는 기업의 야심적 연구개발을 향후 10년간 지속적으로 지원
- 탄소중립을 위한 혁신적 기술개발에 대한 지속적 지원을 실시하는 2조엔 기금 활용(경산성)
⦁목표: 소재의 특성을 고려한 혁신기술 창출 및 상용화 지원 |
- 벤처기업 등이 데이터를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소재 DX 플랫폼과의 연계 촉진(문부성)
- 일본 기업(사내 벤처 포함)이나 학계가 보유한 미래 산업에 초석이 될 수 있는 뛰어난 기술 및 사업 발굴, 활성화(경산성)
2) 데이터 구동형 연구개발기반 정비 및 본질연구 추진
⦁목표: 데이터를 중심으로 한 연구개발 플랫폼(소재 DX 플랫폼) 정비 |
- 일본 국내 소재 관련 연구자에게 소재 개발에 유용한 신뢰성 높은 데이터, 분석 도구(AI 등) 제공
- ’21년도부터 나노테크놀로지 플랫폼에 의해 전국에 구축된 첨단공용체제를 DX화하고 데이터 활용허브 정비
- 첨단공용설비 이용에 따른 데이터 축적 및 활용체제 구축(문부성)
⦁목표: 중요기술 및 상용화 분야 파악 및 추진 |
- 소재가 사회과제 해결 및 산업경쟁력 강화에 기여하는 중요기술 분야에서 NEDO나 JST 등을 통한 국내외・산학관의 지혜를 결집한 프로젝트 추진(내각부, 문부성, 경산성, 환경성)
3) 지속적 발전 확보
⦁목표: 소재 분야에서 우수한 학생을 모아 뛰어난 연구환경 하에 학계 및 산업계 각각에 필요한 우수한 차세대 인재육성 및 배출 |
- ’21년부터 박사과정 학생의 처우 향상(펠로십이나 경력 확보) 관련 대응을 실시하는 대학에 대한 지원 외에 경쟁적 연구비를 통한 박사과정 학생 지원 확대 등 학계・산업계에서 활약할 수 있는 박사과정 학생 확보정책 실시(문부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