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美 정보기술혁신재단(ITIF), 미국·중국·EU 대상 AI 역량 평가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ITIF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01-25
  • 등록일 2021-02-05
  • 권호 184

인공지능(AI) 경쟁미국 우위 속 중국 추격 거세, EU는 상대적으로 열세


ITIF는 미국중국EUAI 역량을 발전 기반 인재 연구 하드웨어 도입 데이터 6개 범주에서 30여개 항목을 비교분석평가한 보고서 발표(1.25)


- AI 경쟁 분야에서 미국이 전반적으로 상당한 우위를 점하고 있지만 중국이 일부 영역에서 격차를 줄이고 있으며 EU는 미국중국에 비해 상대적으로 뒤처진 것으로 조사


- 미국은 4가지 범주(발전 기반인재연구하드웨어)에서 압도적 우위를 확보하며 총 100점 가운데 44.6점을 받아 선두 차지


- 중국은 도입데이터 부문에서 점진적으로 진전을 보이면서 32.0점 획득. 아직 미국과 격차가 있지만 이 같은 상승세가 이어진다면 종국에는 미국을 추월할 가능성도 있다고 전망


- EU는 총점 23.3점으로 전반적으로 미국중국에 뒤처졌으며 브렉시트 이슈 등이 AI 경쟁력 저하의 원인이라고 분석


EU에서 AI 칩을 개발하고 있는 14개 기업 가운데 5개 기업이 영국에 본사를 두고 있어 영국의 EU 탈퇴가 EU AI 역량 약화로 직결된다고 설명

1.PNG

AI 선두주자 미국’, 중국의 진전과 도전 주목

(발전 기반) AI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M&A, 특허 등 AI 기업 육성과 생태계 조성의 근간이 되는 AI 기반 시장에서는 미국이 중국EU를 압도

2.PNG

(인재) 연구자 수와 같은 양적 측면에서는 EU가 앞서 있으나 인용 수준 등을 고려한 질적 측면에서는 미국이 우세

3.PNG

(연구) AI 논문 수에서는 중국EU미국 순이지만 질적 수준을 나타내는 FWCIFWDI 항목에서는 미국이 앞섰으며 SW컴퓨터 서비스 기업의 R&D 규모도 우위


- 미국 상위 2,500SW컴퓨터 서비스 기업의 R&D 규모는 중국EU를 합친 것의 2배 이상 

4.PNG

(하드웨어) 미국 반도체 의존도를 낮추고 기술 자립화를 선언한 중국의 과감한 전략 추진에도 불구하고 미국은 여전히 AI 반도체 분야의 세계적 리더

- 다만 세계 상위 500대 슈퍼컴퓨터 수는 중국이 과반을 차지하며 미국 추월

5.PNG

(도입) AI를 채택 또는 시범 도입하고 있는 회사의 근로자 수 규모에서는 중국이 압도적


6.PNG

(데이터) AI 시스템을 개발테스트하기 위해 필수 요소인 데이터를 정부가 직접 수집하거나 데이터 선도 정책 수립, 데이터 규제 등에서 중국 우위

7.PNG

(참고) 중국미국의 AI 패권 경쟁


(중국) ‘차세대 AI 발전계획(국무원)’, ‘차세대 AI산업발전촉진 3개년 행동계획(공업정보화부)’, 145개년 계획 등 정부 차원의 강력한 정책을 기반으로 세계 최고 AI 강국 목표


(미국) 지난 1월 출범한 조 바이든 행정부가 AI에 대대적인 투자를 계획하며 트럼프 정부가 지향한 ‘AI 리더십 유지를 통한 미국의 과학기술경제적 지위 유지와 향상의 정책 기조 계승


- 미 상원은 지난 12021 회계연도 국방수권법안(FY2021 NDAA)을 최종 통과시키며 정부 차원에서 첨단 기술 영역을 포함한 주요 산업에 대규모 투자 예고


국방수권법은 국방 예산을 포함해 미국의 국방안보 정책을 포괄하는 대표적인 법안. 금년에는 국가 AI 이니셔티브 법을 포함하고 제정할 것을 촉구

 8.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