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로봇 보급 데이터 센서스 도입 강조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브루킹스연구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02-02
  • 등록일 2021-02-26
  • 권호 185

브루킹스연구소(Brookings Institution)는 미국 내 산업 로봇 관련 데이터 현황을 파악하고, 종합적 로봇 센서스 도입을 강조*(‘21.2.)

 

  * Robot census: Gathering data to improve policymaking on new technologies


○ AI로보틱스는 사회에 새로운 기회와 위협을 동시에 제공하며, 기술 보급 혜택을 극대화하고 피해를 줄이기 위해 종합적이고 정밀한 데이터가 요구됨

 

 - ’19년 백악관 경제자문위원회에서는 년 인공지능의 기술 변화가 미치는 영향의 불균일성을 논의한 적이 있음 

 

 - 아직까지 미국은 관련 데이터가 국가 수준이나 산업수준에서 제공되고 있어 기술 보급이 노동시장이나 경제 전반에 미치는 영향 파악이 어려움

 

다른 국가의 연구를 보면 기업 수준 데이터를 바탕으로 하고 있어 정밀한 수준의 분석 결과를 도출


 - 미국 내 연구는 대부분 국제로봇연맹(International Federation of Robotics, IFC)의 회원 데이터를 활용하여 로봇 보급의 생산성과 낮은 인구대비 고용률이 관련되어 있다는 결과를 도출


 - 반면, 프랑스, 캐나다, 덴마크, 스페인 등 국가는 기업 수준의 구체적인 데이터를 기준으로 로봇을 도입한 기업은 고용이 증가한 결과를 얻음


1.PNG
 



○ 미국 통계청은 연간 제조업 조사, 연간 자본 지출 조사, 연간 비즈니스 조사를 통해 로봇 정보를 수집하고 관련 연구를 추진중임


1) 연간 제조업 조사(ASM)


 - ‘185,000개 제조 사업장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는 로봇에 대한 자본 투자, 새로 도입한 로봇 수, 전체 로봇 수 등 문항 포함


 - 근로자수가 많은 대기업 일수록 제조업이 강한 중서부 지역에 위치할수록, 운송장비, 1차 금속, 플라스틱 및 고무 산업일수록 로봇 도입율이 높게 나타남


2) 연간 자본 지출 조사(ACES)


 - 다양한 산업 내 약 50,000개 기업의 자본 지출을 조사한 결과에 로봇 지출 문항 포함


 - 대기업과 재조업, 비점포 소매업, 병원 등에서 로봇에 대한 높은 자본 지출액을 나타냄


3) 연간 비즈니스 조사(ABS)


 - 기업의 클라우드 서비스(서버, 데이터 저장, 데이터 분석, 고객 관리)와 기업 기술(머신러닝, 머신비전, 터치스크린, 로보틱스)의 활용 여부 조사

 

 -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는 상대적으로 보급이 적게 이루어졌지만, 제조업은 머신러닝, 머신비전, 로보틱스 기술을 가장 많이 도입함



1.PNG
 


○ 현재 미국 내 지역, 기업 수준의 첨단 기술의 보급에 대한 정보가 부족하므로, 과거 예산 문제로 중단된 제조기술 조사*와 같은 전국적 로봇 센서스 조사 시행을 추진해야 할 필요가 있음

     

  * Survey of Manufacturing Technology, SMT


 - 제조 기술 조사는 제조 산업 내 첨단 기술의 존재, 활용, 계획에 대한 문항으로 구성되어 1988, 1991, 1993년 수행되었으나, 이후 예산의 문제로 중단


 - 로봇·머신러닝, 클라우드, 전자상거래, 자율주행차 등 첨단 기술의 활용 여부에 대한 짧지만 매년 수행되고 독립적인 조사가 요구


 - 새로운 통계 조사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설계 비용과 관리 비용 등이 문제가 될 수 있어, 국립과학재단(NSF)의 지원금 등 예산 절감 방안 고려


○ 제조기업의 로보틱스 등 첨단 기술의 활용에 대한 종합적인 설문 조사를 통해 기술이 생산성, 고용, 자본 지출 등에 미치는 영향 분석이 가능하여 향후 보다 나은 정책 개발에 기여할 수 있을 전망


배너존

  •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케이투베이스
  • ITFIND
  • 한국연구재단
  • 한국연구개발서비스협회
  •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