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14·5’계획 신에너지차 혁신 방향 제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과기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01-21
- 등록일 2021-02-26
- 권호 185
□ 중국 전기자동차 포럼에서 과기부 장관은 중국 14·5계획 내 신에너지차 산업 발전 방향을 제시(‘21.11)
○ ’01년부터 과기부는 전기자동차 중대과기전문프로젝트를 설정하고, 그 이후 5개년 계획에서 ‘3종 3횡’의 기술 시스템에 따라 신에너지차 과기 혁신을 지속적으로 지원
* 3종은 순수 전기자동차, 하이브리드 자동차, 연료 전지 자동차로 구분되며, 3횡은 배터리, 모터, 전기제어를 의미함
- 중국 신에너지차를 전략적 신흥 산업으로 확정하고, 기업을 주체로 하는 산학연 협동공략의 조직 모델을 형성
- ‘신에너지 자동차’ 중점전문 프로젝트를 통해 신에너지차 산업 기술 수준을 향상
○ 국무원은 ’20년 상무회의에서 신에너지차 산업 발전계획(‘21~’35)을 수립하고, 미래 15년간 발전을 위한 기반을 마련
- 세계적으로 자동차 산업은 ‘전기화, 지능화, 네트워크화, 공유화’되는 추세임
- ’20년 코로나19 상황에서도 중국 신에너지자동차 판매량은 상승하여 136.7만대를 달성하고 전년대비 10.9% 성장하여 6년 연속 세계 1위를 차지
* 신에너지차 전체의 81.63%, 하이브리드카 판매량은 25.1만대로, 18.37% 차지
○ 이번 14.5개년 계획기간 내 신에너지차 분야에서 과학기술 혁신 방향을 제시
1) 신 에너지차 산업사슬을 산업 정책 중심에 배치
- 국가중점연구개발계획 '신에너지차' 중점전문프로젝트를 기초로 하여 다중 기술 로드맵 연구개발 추진
- 에너지동력, 전기구동시스템, 자율주행, 자동차와 네트워크 간 융합, 기술 지원, 완성차 플랫폼 등 신에너지차 핵심기술의 연구개발 지원
2) 신에너지차 기초연구와 프런티어 기술 혁신 강화로 'ZERO TO ONE' 돌파
- 전고체 동력전지, 신소재와 신부품 기반의 전기구동시스템 등 차세대 동력전지, 구동 모터 핵심기술 개발
- 고안전성 자율주행 브레인 의사결정과 인간-기계 공동주행 기술, 차량-도로-클라우드 등급분류 의사결정과 인터넷연결 제어 기술 등 스마트주행 기술 지원
3) 신에너지차 핵심기술 자강 수준 향상
- 신에너지 과학기술 분야 최상위 설계와 학제간 융합 강화
- 차량 표준 규격의 자율주행 칩, 3세대 출력 반도체 부품, 차량탑재 운행시스템, 와이어 제어 섀시 등 일부 핵심부품에 대한 지원 확대
- 산업사슬 핵심 분야의 자주적 제어를 실현하기 위해 지능화와 신에너지차 분야에서 자립 자강 실현
4) 신에너지차 과기혁신시스템 최적화
- 기업 중심의 산학연 협력 신에너지차 과기혁신시스템 구축을 추진하여 과학기술성과의 고효율 전환에 적합한 정책 환경 제공
- 신에너지차 연구개발 플랫폼의 다양한 혁신성 기술에 대한 융합 극대화
- 신에너지, 인터넷, 인공지능 등 프로젝트 신흥 기술 연구개발 강화
- 신에너지차 분야의 국제과기협력을 강화하여 국내·외 대순환 추진
5) 구체적 기술문제 해결
- 겨울철 전기자동차의 동력전지 기술을 중점적 연구하고, 완성차의 일체화·지능형·고효율 열관리 기술 개발
- 신에너지차 안전성 문제에 초점을 두어 고안전성 동력전지 기술과 안전 조기경보 기술 강화
- 고출력 장기 수명의 연료전지시스템, 고밀도 차량탑재 수소저장과 수소공급 기술 공략을 추진하며, 수소의 제조-저장-수송용 전체 사슬 기술연구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