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독일, 에너지 전환 정책 8차 모니터링 결과 심의 원문보기 1

  • 국가 독일
  • 생성기관 연방경제에너지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2-03
  • 등록일 2021-02-26
  • 권호 185

독일 연방 내각은 최근 8차 에너지 전환(Energiewende) 전문가 위원회 모니터링 결과를 심의하고, 지난 2년간 에너지 정책의 성과와 정책 방향을 발표(’21.2.)


○ 독일의 재생에너지 비중은 지난 10년간 에너지 전환 정책 가운데 가장 뛰어난 성과를 보이며, 전기 공급률이 ’19년도 42%에서 ’20년 말 46%까지 향상*

    

  * 온실가스 배출량은 90년 대비 40% 감소하여 2020년 기후 목표를 초과 달성함


- 전반적인 성과는 긍정적이나, 미비한 분야에서는 보다 공격적인 투자와 정책적 조율이 필요


6.PNG
 


이번 모니터링 보고서에서는 파리 기후협약에서 제안한 기후 목표 달성을 위해 4개 영역별(에너지, 산업, 건축, 교통)목표와 성과를 요약


 - 기후 보호, 탈원전, 재생에너지는 우수등급을 받았으며, 에너지 효율은 미흡’, 에너지 안보, 가격, 수용성 분야에서는 다수 불확실한 성과로 평가


7.PNG
 


향후 독일의 에너지 전환 정책의 권고사항으로는 경쟁력 강화, 탄소 기반 에너지 정책 지속, 인증체계 강화 등을 제시


 1) 유럽 내 가치창출 및 글로벌 경쟁력 강화


 - 기후 중립형 가치사슬을 구축하고 산업 다각화를 통해 대외 의존도 감소


 - 높은 수준의 글로벌 파트너십을 통해 유럽 기업 경쟁력 향상 강조


 2) 탄소 기반 에너지 가격 정책 개혁 지속


 - 적정 수준의 탄소 기반 에너지 가격 정책 개혁을 통해 가계 및 기업의 부담 경감


 - 산업 구조 변화 촉진에 긍정적 효과 발생


 3) 그린 딜과 인증 체계 강화


 - 명확한 녹색 인증 표준 마련을 통한 탄소 배출 저감 효과 가시화


 - 운송, 건축, 제조업 부문에서 탈탄화 촉진 진행


 4) 탈탄화 및 시장 경쟁력 강화


 - 탄소 배출세를 상향 조정, 관련 기업에 대한 보조금 지급은 가급적 지양


 - 유럽연합 배출권 거래제인증을 폐지할 수 있도록 저탄소 경제와 녹색 사회로의 전환 유도


5) 수소/수소 합성 에너지 응용 기술 개발 가속


 - 수소 에너지는 기후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한 축으로 인식하고, 운송/처리 인프라와 가치 사슬의 변화 및 확장


 - 기존 에너지 수급 체계 및 새로운 에너지 파트너십과의 안정적인 통합 고려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