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반도체 시장, 기술 자립화·생산거점 유치 등으로 경쟁 격화 전망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日本經濟新聞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02-09
  • 등록일 2021-02-26
  • 권호 185

 차세대 산업의 중추 반도체주도권 강화를 위한 각국의 행보 주목


 AI·5G·자율주행·빅데이터 등 미래 산업에서 첨단 반도체 역할과 가치가 전방위적으로 확대되면서 세계 각국의 반도체 기술 확보 경쟁은 그 어느 때보다 치열하게 전개


 - 미국의 화웨이 제재, 일본의 한국 수출규제 등 반도체를 둘러싼 주요국 갈등과 중국의 도전 속에서 유럽연합(EU)·일본도 가세하며 글로벌 경쟁 격화 전망


 - (미국의 화웨이 제재) 상무부가 미국 내에서 생산한 반도체의 화웨이 공급을 제한하는 제재(2019.5) 이후 미국 장비·설계·SW 기술을 사용한 모든 반도체를 화웨이와 그 계열사에 공급 금지하는 고강도 3차 제제까지 발효(2020.8)하며 중국의 반도체 자립화 적극 차단


 - (일본 한국 수출규제)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핵심 소재(플로오린 폴리이미드, 레지스트, 에칭가스)의 한국 수출을 엄격히 제한하는 규제 시행(2019.7)


 - (중국 반도체 굴기) 2025년 자급률 70% 달성을 목표로 전폭적인 투자 단행. 하지만 부실한 자금관리, 기술력 부족, 미국의 고강도 제재 등으로 실현 여부는 미지수


 - 이러한 가운데 유럽연합 주요국이 첨단 반도체 기술 육성 행보를 본격화했으며 일본도 과거 반도체 강국 위상을 재건하기 위한 대만 TSMC 공장 유치를 목전에 두면서 글로벌 이목 집중



10.PNG

 유럽연합(EU), 자체 공급 능력 확보 위해 대규모 투자 계획


반도체 시장우위를 점한 아시아(한국·대만)와 미국 의존도를 줄이기 위해 유럽 주요 국가는 최대 500억 유로(67조 원) 투자 지원 방안에 합의(2.3)

  

  ※ 독일·스페인·네덜란드·이탈리아 등 주요국이 202012월 반도체 산업 육성을 위해 수십 억 유로 규모의 지원 프로그램을 도입하자는 의견에 공동 서명한 데 이은 후속 조치


 - 독일·프랑스를 비롯한 19개 국가는 인터넷 연결 장치와 데이터 처리 핵심 프로세서 등 반도체 산업 육성·지원을 위해 EU 공동 관심 분야 프로젝트(IPCEI)*를 활용해 투자를 추진한다는 구상

  

  * IPCEI(Important Project of Common European Interest)가 추진하는 1차 프로젝트는 독일·프랑스·벨기에·이탈리아 등 7개국과 BMW·오펠, 화학업체 바스프 등이 공동 참여하는 32억 유로

   규모의 자동차 배터리 프로그램이며, 2차 프로젝트로 첨단 반도체 제조기술 확보를 추진


 - 이들 19개 유럽 국가는 기업이 반도체 산업에 투자하는 금액의 2040% 지원 방안을 밝히며 유럽 내 반도체 산업을 보존하고 독립적으로 다른 산업에 공급 가능한 자립 능력 확보가 목표


 - 2나노 칩까지 생산 능력을 갖추고 5G 무선시스템, 커넥티드카, 고성능 컴퓨터 등에 전력을 공급하는 반도체 생산 기술을 확보하여 대만 등에 대한 의존도를 낮춘다는 구상


 - 특히 독일 정부는 반도체 제조 기술 프로젝트에 10억 유로 상당을 즉시 투입할 준비가 되어 있다고 밝히며 독일뿐만 아니라 EU에 특허·개발·생산 시스템을 모두 갖춘 첨단 산업 공급 체계를 구축해야한다고 강조


최근 폭스바겐그룹 등 유럽 자동차 제조사가 반도체 공급 부족으로 생산 차질을 빚으면서 반도체 자립화 필요성이 더욱 높아졌으며 투자 지원 계획도 빠르게 전개


 -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비대면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주요 반도체 기업이 수익성 높은 모바일·PC·서버 관련 반도체 생산을 확대한 것이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사태의 발단

 

 - 특히 폭스바겐그룹과 세계 1위 자동차 부품사 로버트보쉬, 4위 콘티넨탈 등이 반도체 부족으로 완성차·부품 생산 지연을 공식화하며 감산 결정


 - 인피니온·NXP 등 유럽 주요 반도체 기업은 아시아·미국의 경쟁 기업이 정부로부터 대규모 보조금을 지원받아 글로벌 시장우위를 점하고 있다며 유럽도 이 같은 지원 전략이 필요하다고 언급


 - 유럽연합도 NXP, 인피티온, ST 마이크로 등 유수의 반도체 기업이 있지만 일부 한정된 분야에 집중되어 있으며 대만 TSMC에 위탁생산하는 형태로, 자립 역량은 부족한 실정


 - 이에 이번 투자 계획에 대해 빠르고 일관성 있는 전진이라고 반기며 유럽의 경쟁력과 지정학적 회복성을 높이는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


 - 유럽위원회 위원인 티에리 브르타뉴는 유럽의 산업 전략과 디지털 주권 확보를 위해 첨단 프로세서 칩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역할을 한다고 강조하며 이번 투자 계획은 유럽의 강점을 활용해 새로운 기회를 받아들이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지지


11.PNG


 일본, 세계 최대 파운드리 기업 대만 TSMC 유치반도체 위상 회복 기대


도쿄 인근 최대 반도체 연구개발 단지가 위치한 츠쿠바TSMC가 최대 186억 엔(2,000억 원)을 투자해 반도체 개발 회사를 설립 예정

  

  ※ 일본경제신문에 따르면 TSMC가 회사 설립을 발표했으며 최종 조율안을 논의하는 막바지 협상 단계에 있는 것으로 보도(2.9)


 - TSMC의 일본 신설 회사는 반도체 후공정 가운데 하나인 패키징 작업과 관련한 기술 개발을 담당할 계획이며 반도체 생산라인 설치도 검토 중


 - 이미 미국 애리조나에 첫 해외 공장 건설을 확정지은 후 일본 진출까지 기정사실화한 TSMC는 미국·일본 간 연대를 강화하여 글로벌 시장 주도권을 이어가겠다는 전략

  

  ※ TSMC는 미국 애리조나 공장 건설에 35억 달러 투자 계획 승인(2020.11.10.)


 - 일본 정부도 고순도 불화수소, 포토레지스트 등 반도체 생산에 필요한 부품·소재 경쟁력을 갖추고 있는 만큼, TSMC 유치를 계기로 반도체 산업의 새로운 도약을 맞이하겠다는 복안


 - TMSC 일본 내 공장을 기반으로 반도체 부품·소재를 효율적으로 조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도체 제조 장비 및 각종 정밀 기계 업체와 협력해 제조 경쟁력까지 제고할 것으로 기대


 - 나아가 5G 이동통신 시스템과 포스트 5G 시대까지 고려해 일본 기업과 TSMC 제휴를 확대하는 등 반도체 성능 향상에 나선다는 목표


12.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