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산업경쟁력 간담회 탄소중립 연구 논의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참의원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1-02-19
  • 등록일 2021-03-21
  • 권호 186

산업경쟁력간담회(COCN)은 탄소중립연구회에서 논의된 사항을 발표('21.2)


 ○ 일본은 ’2010월 일본은 ’50년 탄소중립을 선언하고, 12녹색성장 전략을 발표


  -해상풍력 등 성장이 기대되는 산업 14대 분야*에 목표를 설정


  * 해상풍력, 연료 암모니아, 수소, 원자력, 자동차·축전지, 반도체·정보통신, 선박, 물류 및 토목인프라, 탄소 재활용, 주택 및 건축물·차세대 태양광, 자원순환, 라이프스타일

  

  -‘30년까지 연간 90조엔, ’50년연간 190조엔 경제효과 기대


3-1.PNG
 

 ○ 일본 정부가 탄소중립을 처음으로 제시한 ‘5차 에너지기본계획(’18)‘에 따라 ’187‘50년을 목표로 한 에너지 분야의 기술적 과제발표


  - ’30년 후 상용화까지 단계별로 추진가능한 지속적 대형 국가사업 제안


3-2.PNG

 ○ ‘206월 임업재생·목질바이오매스연구회, 중소수력·양수발전연구회, DAC연구회로 구성된 탄소중립연구회를 출범시키고 관련 내용을 논의


  1) 임업재생·목질바이오매스연구회


  - 설문조사 결과, 에너지 숲구상 선호도가 가장 높았으며, 이를 위해 수목 라이프사이클 단출을 위한 육종, 묘목생산, 식수합리화, 삼림관리 비용 절감 등 필요


  - 수입 목질 바이오매스 국산화를 위해 목재 칩 규격화, 제조기술 향상


  2) 중소수력·양수발전 연구회


조정전력으로서 운용 고도화

재해방지시스템과의 연계

착수에서 운전 개시까지의 리드타임, 초기 비용 등 과제

계통연계용량 부족, 연계비용 부담

유지관리비용 절감

상기 해결에 이바지하는 신기술 개발(: 해수양수발전 등)

관련 다양한 법 규제의 완화·지원제도 강화

개발 잠재력 및 사업지점 발굴


  - 수력발전은 송전선 용량 부족으로 송전이 불가능한 사례가 있어 근본적인 송전 용량 증강 필요


  - 최신 IoT, AI 기술 활용으로 하천감시 시스템 및 기상관측시스템과 전력네트워크 연계가 기대


  3) DAC연구회(직접공기포집, Direct Air Capture)


  * 1.5목표달성을 위해 ‘50년까지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로(탄소중립) 실현에 반드시 필요한 기술


구체적 기술 및 메커니즘 이해

일본(문샷) 및 해외 활동현황

일본의 경쟁력 평가 및 해외 진출을 포함한 도입전략

CO2 감축 효과 및 경제성의 정량적 평가

사업모델 및 산학관 역할

 

 


  - 역배출 기술의 가능성 탐색 및 정밀조사: 산림흡수 식림(CO2 흡수량 정밀조사 및 탄소크레딧


  - 기술 및 사업과제 설문조사


  · 액체 흡수제와 고체 흡수제의 흡수 효율/공기 유량 비교, 막분리 기술의 혁신과 과제 정리 등


  · 사업화 관점에서의 과제 정리: 무배출시스템 전원과의 연계(재생에너지 또는 원자력 발전), 다른 시스템과의 연계(CO2로부터의 유용한 물질 제조 )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