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인공지능 기술 발전 요인 및 과제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하버드비즈니스리뷰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02-18
  • 등록일 2021-03-21
  • 권호 186

하버드비즈니스리뷰(Harvard Business Review)는 중국의 AI 기술 발전 요인과 앞으로의 과제를 분석*(’21.2)


  * Is China Emerging as the Global Leader in AI?


 ○ 중국은 AI 기술 관련 논문과 특허 등에서 세계 최고 수준의 성과를 올리고 있음


  - 중국의 AI 부문의 논문’971,086(전체의 4.26%)에서 ’1737,343(27.86%)으로 급증해 꾸준히 세계 1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인공지능 특허 논문 수에서도 세계        1위를 기록


  - ’193월 중국의 AI 기업 수는 1,189, 미국에 이어 세계 2위이며 음성 인식, 음성 합성과 영상 인식(영상 및 비디오 인식) 부문에 기업이 집중됨


5-1.PNG

 ○ 중국 AI 기술의 빠른 추격과 발전은 후발 주자가 추격하기 쉬운 기술적 특성과 시장 조건, 정책적 환경으로 구성


  (1) 기술적 특성


  - 논문과 컨퍼런스 학회지 등을 통해 쌓인 필수적 알고리즘이 공공 지식이 되어 어렵지 않게 기술을 구현하는 등 인공지능에 개방적 특성을 지님


  - 방대한 데이터와 이를 활용하는 인재의 수가 많음. 특히, 중국은 대학에서 공급되는 풍부한 이공계 인재 보유


  - 새로운 기술에 거부감이 적은 국민의식을 보유하였으며, 기업은 시장에 빠르게 제품과 서비스를 내놓아 이러한 선순환을 가능하게 만듬


  (2) 시장 조건


  - 거대한 내수 시장ICT 산업에서 규모의 경제를 가능하게 만들 뿐만 아니라, 시장에서 성공할 경우 투자에 대한 빠른 회수를 가능하게 한다는 점에서 경제적 인센티브 제공


  - 다양하고 역동적인 인구는 서로 다른 시장 부문에서 서로 다른 인공지능 어플리케이션이 출시될 수 있도록 만들어 창업의 기회를 제공하고 후발 주자가 추격할 수 있는 발판 제공


  * 중국의 대표적인 차량 공유 서비스 기업인 디디추싱(Didi Chuxing)은 매일 70TB 이상의 데이터를 분석해 90억 개 이상의 경로를 계획하고 초당 1,000대의 차량 요청을 받고 있음


  (3) 정책적 환경


  - 정부는 중국 제조 2025”, “빅데이터 발전 촉진을 위한 행동 지침”, “차세대 인공지능 발전 계획 등 다양한 정책을 통해 인공지능 기술의 발전을 촉진하고, 정부가 인공지능 기술 적극 지원


  - 프라이버시 등 인공지능과 관련된 분야에 분명한 정책과 규제가 없음

    

5-2.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