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영국, 고등연구발명국(ARIA) 신설 예정 원문보기 1

  • 국가 영국
  • 생성기관 사이언스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1-02-19
  • 등록일 2021-03-21
  • 권호 186

영국은 혁신 연구 예산 지원 기관인 고등연구발명국(Advanced Research and Invention Agency, ARIA)을 신설할 계획*(’21.2.)


  * New U.K. funding agency would tackle innovative research


 ○ 고등연구발명국(ARIA)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BEIS)* 산하에 설치되며, ’22년부터 4년 동안 8억 파운드(12,000억원)를 지원 예정


  * Department for Business, Energey & Industrial Strategy


  - 보수당의 2019년 선거 주요 공약 중 하나로, 보리스 존슨 총리의 전 수석보좌관 도미닉 커밍스의 지원으로 추진


  - 미국 고등연구계획국(ARPA)*을 모델로 하였으며, UKRI와는 독립된 조직으로 운영될 것이며, 관련 법안이 곧 발의될 예정


  * 소련의 스푸트니크 위성 발사로 군사 기술에서 뒤쳐질 것을 우려한 미국이 ’58년에 설립하였고, 이후 국방고등계획연구국(DARPA)으로 이름 변경


  - 일반 연구과제의 경우 동료 심사(peer-review)를 통해 예산을 지원하나, 고등연구계획국은(ARPA) 유망한 연구에 대한 담당자의 자율성을 부여하고, 관료제나 실패로 인한 예산 조기 지원 종료 제도 미적용


  - 미국 고등연구계획국(ARPA)인터넷, GPS, 로봇 등 실패 가능성이 크지만 개발에 성공할 경우 사회적 파급 효과가 큰 기술과 혁신을 선도하여, 이후 정보, 국토안보, 에너지 기술(ARPA-E) 등의 부문 프로그램으로 연계


 ○ 향후 추진 과제로 영국의 고등연구발명국(ARIA)에서 해야할 구체적 탐구영역을 발굴해야 하며 지원 예산 확대 필요성을 강조


  * 영국의 고등연구발명국(ARIA)은 문제 해결을 위한 목적인 반면, 임무가 조직의 문화를 만들었던 미국 고등연구계획국(ARPA)과는 차이가 존재


  - 산업전략부(BEIS) 장관은 전염병 유행이나 기후 변화 등 관련 주제를 잠재 후보로 제시하였으나, 아직 구체적인 목표 미설정


  - 신규 예산이 영국 정부 연구 예산의 1%에 불과하나, 앞으로 성과에 따라 이를 확대해 나갈 전망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