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브루킹스연구소, 영국 첨단 제조업 혁신 구역 사례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5-03-25
- 등록일 2015-04-20
- 권호 44
□ 2015년 3월 미국 브루킹스 연구소는 영국 Sheffield 첨단제조업 혁신구역의 성장 사례 분석을 통해 혁신 구역의
성공을 위한 전략을 제시
○ 메트로폴리탄 정책 프로그램*의 부국장인 Bruce Katz와 캘리포니아 주 프리몬트 시의 경제개발 국장 Kelly Kline의 영국
Sheffield 현장방문기
* Metropolitan Policy Program
○ 단일 도시 혹은 메트로수준의 도시에서의 첨단 제조업 혁신구역 적용이 가능할지에 대한 분석을 수행
□ 본 기고문의 저자인 Bruce Katz는 ’14년 별도 보고서*를 통해 혁신구역(Innovation District)의 개념을 제시하고,
최근 중요성이 부각됨을 주장
* The Rise of Innovation Districts: A New Geography of Innovation in America(2014.5), Brookings
○ 혁신 구역은 첨단기업, 연구기관, 창업기업, 창업 인큐베이터 등이 지리적으로 집적된 지역을 의미
< 혁신구역(Innovation District)의 컨셉 >
- 경제적 자산(Economic Assets)은 혁신이 활발한 환경을 촉진, 구축, 지원하는 기업, 기관 및 조직을 의미
- 물리적 자산(Physical Assets)은 새롭고 높은 수준의 연계, 협업, 혁신을 촉진하도록 조직․설계된 공공, 민간 소유의 건물 및
거리 등을 의미
- 네트워킹 자산(Networking Assets)은 아이디어의 발전을 생성, 향상, 촉진이 가능한 개인-기업-기관 간 관계를 의미
○ 이러한 구역들은 새로운 네트워크, 아이디어의 상업화 촉진, 고용확대를 통한 메토로폴리탄의 경제활성화를 위한 역할 수행
○ 대표적인 혁신지역으로는 MIT 및 하버드가 위치한 Cambridge 지역의 Kendall Square, University City in Philadelphia 등
□ 본 기고문에서는 영국 Sheffield 첨단제조업 혁신구역 방문을 통해 대도심을 포함한 도시 내의 첨단 제조 혁신구역
적용 방안을 제시
○ 첨단 제조업은 미국과 영국 모두에게 가장 혁신적 분야로서, 저임금 저비용 국가들과의 경쟁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지속적 혁신
○ 이러한 관점에서 대도심 등은 거대자본이 투자된 첨단 공장과 기술, 장비, 로봇을 이용한 자동화 공정, 고숙련 인력이 집적된
지역
○ 본 기고문에서는 R&D중심의 첨단 제조업 자체 특성에 따라 인력, 자본, 기술이 집약된 도심지가 최적의 혁신구역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주장
○ 영국 Sheffield 지역 방문을 통하여 도시, 기업, 대학이 첨단 제조 혁신구역으로 기능하기 위한 전략방안을 제시
- (혁신구역 전담반 설치) 기업, 대학, 공공기관 등 각 혁신 주체가 참여하여 지역 내 혁신 촉진을 위한 방안을 협의
- (자료수집 및 비전수립) 각 혁신구역의 리더들이 경쟁우위를 확보하기 위한 경제, 물리, 네트워킹 자산을 확보하고, 미래 성장을
위한 계획을 수립
- (목표성취를 위한 세부 전략 설계) 혁신 주체 간의 연계성을 제고하기 위한 연계기관의 설립 등 보완차원의 세부 전략의 수립이
필요
- (스마트한 국가 정책을 요청) 혁신 구역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인프라, R&D등을 지원하는 국가차원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
- (다른 혁신 구역들과의 정보 공유 및 협력 추진) 성공사례의 공유, 상호 촉진, 주체간 협업 등을 위한 지속적인 연계가 필요
□ 시사점
○ 제조업의 혁신에 있어서 본 기고문이 주장하는 것은 혁신주체가 집적된 대도심 등에 대한 혁신구역 모델의 적용 가능성
○ 즉, 첨단 제조업혁신을 반드시 제조업 자체가 밀집한 지역 중심으로 이해하는 지리적 관점에서 벗어나, ‘혁신’ 활동 및 행위가
가능한 지역과 참여 주체가 집적된 지역으로 이해하는 행위자 관점으로 이해할 필요
○ 이는 기존 제조업과는 차별적으로 소규모, 첨단 R&D중심 제조업으로 자본과 인력, 기술 집적이 매우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
출처 : 브루킹스연구소 (2015.3.25)
http://www.brookings.edu/research/opinions/2015/03/25-manufacturing-innovation-district-sheffield-england-katz-klin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