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IoT 국제 경쟁력 지표 발표 … 스마트 공장 경쟁력 우위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일본 총무성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1-03-03
  • 등록일 2021-03-26
  • 권호 187

사물인터넷(IoT) 역량을 가늠하는 ‘IoT 국제 경쟁력 지표발표(3.2)


 ○ 총무성은 모든 사람과 사물을 연결하는 IoT 사회에 대응해 2008년부터 발표해 온 ICT 국제 경쟁력 지표를 2015IoT 국제 경쟁력 지표로 변경하고 매년 검토·공표


  - 기존 ICT 국제 경쟁력 지표는 IoT 사회에 대응하기 부족하다고 판단하여 스마트 시티 헬스케어 스마트 공장 커넥티드카 스마트에너지 항목을 새롭게 도입


  - 주요 10개국* 기업 1,500여개 제품·서비스(5개 분야(D4D8), 48개 항목)에 대해 매출, 세계 시장 성장률 및 점유율 등을 반영해 IoT 경쟁력을 분석


  * 일본·미국·독일·중국·한국·대만·프랑스·스웨덴·핀란드·네덜란드


  - 또한 이들 기업의 연구개발 역량, 파이낸스, IoT 표준화단체 활동 등을 기반으로 향후 성장 잠재력 예측


5-1.PNG


일본의 점유율은 소폭 축소되었으나 스마트 공장 부문 경쟁력은 압도적


 ○ IoT 시장 점유율은 중국이 23.3%로 선두를 차지한 가운데 미국(21.2%)·일본(18.5%)·독일(7.1%)·한국(6.2%) 순이며 상위 5개국이 전체의 70% 이상 차지


  - (일본) 스마트공장 부문의 산업용 로봇 시장 점유율이 과반을 점유하며 압도적 우위를 보인 가운데 머신비전 경쟁력도 두각


  ※ 소사이어티 5.0 사회 구현과 커넥티드 인더스트리 정책 등이 스마트 공장 보급 확산에 기여


  - (미국) 웨어러블 제품·서비스에서 높은 점유율을 기록하며 시장을 선도하고 있는 가운데 헬스케어(X·초음파), 스마트에너지 등 전반적으로 상위권


  - (중국) 공항 등에서 보안·감시용으로 사용이 증가하면서 CCTV 시장 점유율이 51.1%에 달하며 글로벌 시장 선도. BAT 등 자동차 진출도 활기를 띠면서 커넥티드카 시장도 팽창


  - (한국) 디지털 사이니지·생체인식 시스템 등 스마트시티 부문 점유율은 높은 편이나 스마트미터·스마트조명기기 등 스마트에너지 부문에서 미흡


5-2.PNG


(참고) 20152019년 간 IoT 시장 점유율 추이


5-3.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