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5G·AR·VR 등 첨단기술 융합한 원격 솔루션 기술 진전 주목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AI타임즈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04-05
  • 등록일 2021-04-23
  • 권호 189

교육·의료 등 산업 분야에서 영상회의 플랫폼 확산일로


 ○ 코로나19 팬데믹을 경험하면서 산업계는 영상회의 같은 비대면 커뮤니케이션 솔루션을 사용해 비즈니스 연속성을 확보하며 디지털 전환의 급격한 변화에 대응


  - 보스턴컨설팅그룹(BCG)이 조사한 코로나19 팬데믹에 따른 영상회의 영향력 보고서*에 따르면 원격근무와 영상회의 솔루션 사용 시간이 크게 증가


  * The Impact of Video Communications During COVID-19(2021.3.25)


  - 조사 대상은 미국·영국·독일·프랑스·일본·인도 등 세계 6개국에서 교육·의료·기술·전문서비스· 금융보험·부동산·유통·정부기관 등 주요 산업 분야에 종사하는 5,820


  - 조사 결과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중 기업의 원격근무 직원은 최대 3배 증가, 영상회의 솔루션 이용 직원 수는 2.42.7, 사용 시간은 3~5배 증가


  ※ 특히 교육분야 영상회의 솔루션 사용이 3.5배 증가


  - 코로나19 팬데믹으로부터 경제적 타격을 받았지만 적절한 솔루션과 환경을 갖추게 되면 생산성을 유지하며 효율적으로 업무를 진행할 수 있다고 BCG는 설명


2-1.PNG


초기 높은 호응을 얻은 위상 여전, ‘구글·MS’ 등은 서비스 고도화로 대응


 ○ () 일일 사용자가 코로나19 팬데믹 직전인 201912월 약 1,000만에서 20204월에는 3억 명을 돌파, 일일 최대 다운로드 회수는 34만 건을 기록하는 등 폭발적 성장


  - 일대일 무제한, 3명 이상 참여하는 회의의 40분 무료 서비스, 무료 서비스 참석 인원 최대 100, 특정 사용자에게 메시지 전송, 회의내용 녹화 등 편리한 기능을 앞세워 높은 인기 구가


  - 다만 원격 수업 중 제3자에 의한 해킹사건이 속속 발생하며 심각한 보안 위협에 노출되었지만 편의성·접근성을 강점으로 여전히 다수의 이용자 보유


 ○ (MS 팀즈) 팀원이 공동으로 애플리케이션 개발, 문서 공유·작성뿐 아니라 업무 관리·까지 연계하여 원격 환경에서 필요한 모든 것을 제공하는 게임체인저가 될 것을 제시


  - 이에 단순 협업과 원격회의 시스템을 넘어 인적·자원 관리 등 기업의 모든 업무를 온라인 환경에서 처리하는 클라우드 기반의 통합 업무관리 서비스로 제공 추진


  - 나아가 AI 기반 노이즈 억제 기능, 피로감을 줄이며 집중력을 높이는 투게더 모드 기능 추가 등 차별화 기술을 앞세워 줌 추격


 ○ (구글 미트) 회의 진행·결과 내용을 실시간 텍스트로 전환해주는 베타 서비스를 금년 4부터 시작


  - 음성 녹음 및 실시간 문자화, 노트 생성, 검색 및 재생, 회의 내용 공유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로 이러한 기능을 이용해 텍스트 기록을 하게 되면, 회의 데이터 분석·관리 가능


  ※ 편 구글은 원격근무 환경 확산에 대응해 데이터센터 등에 70억 달러 투자 계획을 밝히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 준비


 ○ (페이스북) 영상회의 가능한 메신저 룸스에서 사용자가 AR 필터 기능을 사용해 몰입형 360도 배경, 무드 조명 효과를 지원하며 몰입형 플랫폼 지향


 ○ 외에도 영상회의 솔루션을 기반으로 실감나는 음향장치·웹캠·스피커를 설치하고 회의 참석자 얼굴을 홀로그램으로 표현하는 VR·AR·AI 기반 서비스 고도화 한창

 


국내에서도 단순 영상회의를 넘어 혁신적이며 참신한 원격 환경 조성에 박차


 ○ 5G 이동통신 기반의 AR·VR, 홀로그램 등 실감기술을 활용한 재택·원격근무 솔루션 기술개발에 대한 정부의 지원과 투자가 점진적으로 성과를 거두기 시작


  - 웹에서 여러 명이 실시간 편집할 수 있는 문서편집기 기술인 인프라웨어의 폴라리스 오피스가 글로벌 시장에 진출해 금년 3월 기준 1억 명 이상 사용자 확보


  - 고객이 원하는 챗봇을 쉽게 만들도록 도와주는 아크릴의 챗봇 빌더 시스템 조나단 플랫폼은 대기업에서 도입 증가


  - 또한 1대의 PC3D 카메라만으로 피사체 전체 형태를 실시간 촬영해 홀로그램을 생성하는 더블미의 홀로포트(HoloPort. ’19년 개발)로 홀로그램 기반의 실시간 영상 서비스 구현


  - 이 외에도 XR 기반 원격 영상회의 시스템 제작, 홀로그램 기반 원격대학 강의 시스템 제작기술 개발 진행


2-2.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