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기업간 거래관계와 R&D 파급효과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15-04-20
- 등록일 2015-05-18
- 권호 46
□ 추진배경
○ R&D 파급효과*와 생산성 관련 연구 중 기술적‧지리적 근접성에 비해 거래관계 역할에 관련된 분석은 미미
* R&D 파급효과: 기업의 R&D가 해당 기업의 생산성 향상에 기여할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경로를 통해 타사의 생산성에도 영향을
주는 현상
- 해외직접투자 및 유럽 혁신조사 관련 선행 연구는 자본과 서비스의 거래관계, 고객이나 공급자와의 협력관계가 지식 파급효과
및 기업 생산성에 있어 중요한 요소임을 보여줌
○ 특히 거래관계를 통한 R&D 파급효과에 대한 전략적 분석의 필요성이 대두
□ 분석 대상
○ 일본 제조업 공급기업과 고객기업을 식별할 수 있는 데이터*를 ‘공업통계조사’ 및 ‘과학기술연구조사’와 연계해 계량 분석을
실시
* 도쿄상공리서치(Tokyo Shoko Research: TRS)의 기업상관파일: 기업의 신용정보를 수집, 조사, 가공, 처리해 정보를
제공하는 신용정보 업체 자료로 개별기업의 주요 거래처기업에 관한 상세 기업정보를 수록
- 제조업 기업 대상*으로 2006년 각 기업의 거래관계 및 R&D가 각 기업 공장의 2007년 생산성에 미친 영향을 분석
* 약 12,000개사의 기업이 소유한 약 2만개의 공장 데이터 분석
□ 주요 분석 내용
○ 거래관계가 없을 시 기술적 근접성‧지리적 근접성을 통한 기업 간 R&D 파급효과와 거래관계를 통한 파급효과가 생산성에
미치는 효과 간 비교
○ 거래관계 유무에 따른 기업간 거리 효과의 변화 분석
□ 분석 결과
○ 고객기업과 공급기업의 R&D자본(stock)은 기업의 생산성 향상 효과가 있으며 이는 기술적‧지리적 근접성에 따른 R&D 파급
효과에 비해서도 상당히 큰 수준
- 거래처 기업과 자본 거래가 있으면 특히 R&D 파급효과가 증대
- 수직적 사슬의 핵심기업이고 중점기업의 주식소유자인 공급기업 구매자로부터의 파급효과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남
<지식원과의 거래 및 자본 관계별 R&D 파급효과의 상대적 강도>
○ 기술적 근접성에 기초한 R&D 파급효과는 지리적 거리가 멀어지면 점차 감소하나, 거래관계에 기초한 파급효과는 지리적
거리에 대한 영향 미미
- 관계적 근접성이 있다면, 기술적 근접성 없이도 생산성 향상이 가능
- 결국 거래에 기반한 파급효과가 생산성과 R&D 사회적 성과의 핵심 요소
□ 정책적 시사점
○ 정부가 보조금이나 세액공제를 통한 기업 R&D 지원 시 고객‧공급기업의 보유 여부 등 기업 간 거래 관계에 대한 고려 필요
- 국내 기업 간 거래 네트워크 밀도가 높을수록 기업의 R&D 촉진 정책효과도 증가할 가능성이 존재
○ 해외 기업과의 거래관계 및 자본관계는 국제적 R&D 파급효과에도 중요한 영향을 미치므로 향후 과제로 국제적 파급효과에
대한 상세분석의 실시가 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