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스마트제조 14.5 발전 계획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공업정보화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04-14
- 등록일 2021-05-07
- 권호 190
□ 공업정보화부는 스마트제조 발전을 가속화하기 위한 <스마트제조 14.5발전계획>을 발표(’21.4.)
○ <중국 국민경제사회발전 14·5계획과 2035년 장기 목표 계획>에서 스마트 제조 방향을 발표하고, 연이어 관련 중점 추진 과제 등 실행계획을 발표
- 13.5계획 이후 시범응용, 시스템 솔루션 제공업체 육성, 표준체계 구축 등 다양한 조치를 채택해 제조업 디지털화와 네트워크화 및 지능화 수준 향상
* 스마트제조장비 중국시장 충족률 50% 이상, 매출액 10억 위안 이상의 시스템 솔루션 제공업체 43개 달성 , 국제 선행 표준체계 구축, 국가표준 285개 발표, 국제표준 28개 제정 주도
- ‘25년까지 일정 규모이상 제조기업의 디지털화를 고도화하고, ’35년까지 디지털화 전면 실현 중점산업 핵심기술의 지능화 전환 실현
○ 스마트 제조 실현을 위한 중점 과제 제시
1) 시스템 혁신 가속화, 융합 발전 신성장 동력 강화
- 인공지능, 5G, 빅데이터, 엣지 컴퓨팅 등의 산업에서의 적용기술 연구개발 등 핵심기술 R&D 강화
- 산업사슬과 공급사슬을 상대로 기업 간 멀티소스 정보 상호교환과 전체 사슬 간 협동 최적화 기술 개발 등 시스템 통합기술 돌파
- 기업 주도로 혁신플랫폼을 구축하는 것을 권장하여 혁신자원 집결 촉진 등 혁신망 구축 가속화
2) 스마트제조 보급 확대· 고도화
- 유비쿼터스 감지, 데이터 통합, 인간-기계 협업 최적화, 디지털화·네트워크화·지능화 공장 건설 등 스마트제조 시범공장 건설
- 스마트제조 실시 로드맵 제정, 단계별로 디지털화와 네트워크화 개조 추진 등 산업 디지털화·네트워크화 발전 가속화
- 지방 정책체계 혁신 및 개선 권장 및 지역 스마트제조 발전경로 모색 등 지역 제조업 디지털화 전환 촉진
3) 자주적 공급 강화, 산업체계 신규 우위 육성
- 디지털 트윈, 인공지능 등 신기술 혁신응용을 추진하고, 선진국 수준의 신형 스마트제조장비 연구개발 등 스마트제조 장비 구축
- 소프트웨어기업, 장비제조업체, 사용자, 연구기관의 협동 강화를 지원하여 핵심 소프트웨어 공동개발 등 산업 소프트웨어 제품 공동 발전
- 스마트제조시스템 솔루션 공급업체와 사용자간 수급 연동 및 공동혁신 강화 시스템 솔루션 구축 주력
4) 스마트제조 신규 보장 마련
- 국가 스마트제조 표준체계와 산업응용 표준체계 구축을 총괄추진 등 표준화 사업 추진
- 대기업과 산업단지간 공동 산업인터넷 플랫폼 구축을 지원하여 제반 요소·산업사슬 데이터의 효과적 통합과 관리 실현
- 국가, 지방, 기업간 연계를 통해 산업제어 정보보안 모니터링 조기경보 네트워크 개선 등 안전보장 강화
○ 향후 범부처간 정책 조율, 예산 지원 확대, 인재 육성, 개방협력 전개 등을 추진할 예정
- 공업정보화부, 발개위, 교육, 과학기술, 재정·시장감독 등 범부처가 참여하는 스마트제조 총괄 조정 메커니즘 구축
- 국가과기중대전문프로젝트, 중점연구개발계획, 산업기반 제조공정, 제조업 핵심경쟁력 증강 전문프로젝트 등 스마트제조 분야 예산 지원 강화
- 정기적으로 스마트제조 인재수요 예측 및 인재수요 목록을 작성하고, 스마트제조 종사자의 능력요구 등 산업표준 출범
- 국가, 지역 및 국제기구와의 교류를 강화하고 스마트제조 기술 연구개발, 표준 작성, 시범응용, 검사인증, 인재양성 등 협력 전개
* 다국적기업, 해외 연구기관 등이 중국에 스마트제조 R&D센터, 시범공장, 인재교육훈련센터 설립 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