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독일, 최초 6G R&D 이니셔티브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독일
- 생성기관 연방교육연구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0-04-12
- 등록일 2021-05-07
- 권호 190
□ 연방교육연구부는 최초로 6G 기술 연구 이니셔티브를 발표하고, ’25년까지 7억 유로(약 9,300억 원)를 투자할 전망(’21.4)
○ 코로나로 인한 글로벌 경제 침체를 극복하기 위한 <코로나 대응, 번영 확보, 미래 역량 강화>정책의 일환으로 ‘6G 기술 연구 이니셔티브’를 발표
- 독일은 이미 최근 몇 년간 혁신적인 통신 기술과 5G에 대한 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Post-5G 시대에 대한 준비 단계로 이행 중임
- 미래 산업 경쟁력을 견인할 핵심 분야인 디지털 전환을 확대하고 관련 R&D 활동을 강화할 예정
○ 독일이 세계 최고의 기술 공급자로서 주도적 역할을 수행하도록 6G 생태계 관련 전문가 지식 풀과 그 활동을 연계할 네트워크 플랫폼 구축 필요
- 신소재, 통신 컴포넌트, 마이크로 전자, 네트워크 기술 (IT 보안, 소프트웨어 및 인공 지능 포함) 등 모든 요소 기술 포함
- 광섬유 기간통신망과 미래 프론티어형 국제 연구 활동을 포괄하고 6G 기술 개발 초기 단계에서 전문 지식을 특허 형태로의 보호를 포함, 혁신적, 고경쟁력 제품으로 글로벌 시장에서 우위 선점 시도
- 연구 네트워크 간 협력을 통한 아이디어의 지속 가능한 개발과 통신 부문 전문가 양성 시도
- 기존 통신 기술 연구 대비 보안, 지속가능성, 에너지 효율성, 기술 컴포넌트 수명, 전자파 노출, 사회적 수용성 등에 대한 연구 추진
○ 우선적으로 ‘6G 연구 허브’와 ‘미래통신기술 및 6G 플랫폼’ 사업에 대한 예산을 집행할 계획
1) 6G 연구 허브
우수 대학, 연구소, 지역 유관 협회가 공동으로 개별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주요 기술의 역량 강화를 위한 허브 구축 |
- 새로운 개방형 이동통신 개발을 위한 장기 전략 개발 및 연구 프로젝트 지원
- 6G 부문 핵심기술인 모바일 무선 시스템, 광섬유 부문에서 특별한 우수성 입증
- 파괴적 혁신기술(에너지 전송, 저장, 가상현실(AR/VR)) 을 포함한 미래 지향적 애플리케이션 개발 기회 확대
- 개발 및 검증 과정에서 중소기업 및 유럽 내 민간 기업들과의 협력 다각화*
* 새로운 기술의 빠른 공급을 위한 기술 실험 환경을 제시하여, 기업들로 하여금 새로운 창업전략 개발 기회 제공
2) 6G 플랫폼
6G 표준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와 테스트 및 실용화 단계의 사항들을 선제적으로 다루기 위한 프로세스 제안 |
- 이해관계자 간의 폭넓은 네트워킹, 미래 6G 표준 연구개발과 관련된 주요 활동 준비*
* 기술 인터페이스 조정, 6G 표준 아키텍처 논의를 통한 개별 애플리케이션의 상호 운용성 보장
- 국내, 유럽 및 관련 글로벌 프로젝트의 조화를 위한 네트워킹 장려
* (국내) 무선 시스템에 대한 요구 사항을 수렴/반영하기 위해 국내 유관 산업 협회와의 네트워크 구축
* (해외) 핵심 카운터파트인 ITU(국제통신기구)와의 협력을 통한 주파수 규제 및 아키텍처
- 기술개발 로드맵*을 구축하고, 디지털 주권 확보 기여도에 입각한 전략적 우선순위 개발
* 개별 국가와의 파트너십을 명시하고, 미래 통신 기술 부문 글로벌 액터(actor)들과 적극적인 조정 활동 수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