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중국 차세대 우주정거장 건설 기대성과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MIT 테크놀로지 리뷰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1-04-03
  • 등록일 2021-05-21
  • 권호 191

MIT 테크놀로지 리뷰(MIT Technology Review)중국이 차세대 우주정거장인 텐궁(天宫)의 건설을 통해 기대하는 성과를 발표*(’21.4.)


* Here’s what China wants from its next space station


중국은 올해 4월 텐궁(天宫)의 핵심 모듈인 텐허(天和)-1을 하이난섬의 원창(文昌)기지에서 성공적으로 발사


- ’92년 이후 자체 우주정거장 건설 논의를 시작하고, 이를 승인한 이후 우주정거장 건설 프로젝트를 준비


- 이번에 발사된 텐허-1 12의 미션으로 추가 모듈을 조립해 ’22년 말 가동을 목표



1-1.PNG



- 국제우주정거장(ISS)의 수명이 다해가고 최근 러시아가 자체적인 우주정거장의 건설을 위해 국제우주정거장(ISS)에서 조기 탈퇴하는 방안을 고려함에 따라 우주정거장 부문에서 중국이 주도권을 잡을 새로운 기회 창출


중국 우주정거장(Chinese Space Station, CSS)은 상대적으로 작은 규모*에도 불구하고 국제우주정거장(ISS)처럼 다양한 실험 수행 공간장비 포함


- 국제우주정거장(ISS)은 축구장 크기에 420톤 정도이나, T자 모양의 중국 우주정거장(CSS)80~100톤 규모로 러시아의 미르(Mir) 우주정거장과 유사한 규모


- 이번에 발사된 텐허는 우주인이 지낼 거주 공간을 제공할 것이며, 웬텐(問天)멍텐(夢天)은 유체역학이나 위상 변화, 유기체의 성장과 진화 등 우주정거장의 극미 중력을 활용한 다양한 실험을 지원할 예정


- NASA의 허블망원경에 비해 300배 넓은 시야와 유사한 해상도를 가진 쉰텐 우주망원경을 보유하고 있으며, 자외선과 가시광선을 관측해 암흑물질과 암흑에너지, 우주론, 태양광, 방사선, 미소운석 방어 등에 관한 연구 수행 예정



1-2.PNG


 중국은 우주정거장(CSS)의 건설을 통해 우주인을 우주로 보낼 역량이 있음을 과시하고 외국의 실험이나 우주인 유치를 통해 외교역량을 강화할 전망


- 미국과 경쟁할 수 있을 정도로 강력한 기술을 보유하고 있음을 상징적으로 보이고, 국민의 지지 제고


- 값비싼 공공재인 우주정거장(ISS)의 주요 예산 지원국인 미국과의 소프트파워(soft power)” 경쟁 등 공개적으로 미국과 우주 리더십 대결 구조 마련


- 우주정거장 건설로 외국의 실험과 우주인을 초빙하는데 중국이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국제협력 무대 활용


- 중국은 위구르 지역 내 인권 탄압이나 홍콩의 민주주의 운동과 관련한 심각한 비난을 직면하여, 중국 우주정거장(CSS)은 다른 국가와의 관계를 강화하는 외교적 혜택 기대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