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소재혁신력강화전략(안)’ 마련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내각부(CAO)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1-04-27
- 등록일 2021-05-21
- 권호 191
□ 일본 정부는 9회 통합혁신전략회의에서 문부과학성과 경제산업성으로 구성된 준비회의의 제안을 바탕으로 ‘소재혁신력강화전략(안)’ 마련(’21.4.)
◌ 소재혁신력*을 통해 경제발전과 사회과제를 해결하고 지속가능한 사회로의 전환으로 국제사회에 기여하는 최초 국가 실현을 위한 방향 수립
* Society 5.0 실현, SDGs 달성, 자원・환경제약 극복, 강인한 사회・산업 구축 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소재혁신을 창출하는 힘」으로 규정
- 산학관 공동창조를 통한 신속한 상용화: ESG를 중심으로 한 소재혁신
- 데이터 구동형 연구개발기반 정비: 강점에 입각한 차별화
- 지속적 발전성 확보: 산학관 협력을 통한 인재육성, 순환경제 및 공급망 강인화에 대한 대응
◌ 일본 산학관이 공유해야 할 구체적 실행내용을 중심으로 액션플랜 구축
(1) 혁신적 소재 개발 및 신속한 상용화
【혁신적 소재의 상용화 추진】
▸세계점유율 60% 이상인 제품수 ’30년까지 2배 증가 ▸ESG의 관점에서 중요한 소재기술의 상용화 사례를 ’30년까지 10개 이상 창출 |
- 복잡화하는 사회과제에 대한 인식을 공유하고 혁신적 소재기술을 상용화할 경우의 비용 등 과제에 대해 ESG 등을 공통언어로 협력하여 대응
- (계획1) 사회과제해결형플랫폼추진
∙CLOMA(Clean Ocean Material Alliance)의 대응을 지원하면서 다른 분야로 이러한 대응 확대(문부성, 환경성)
- (계획 2) 그린 혁신기금 활용 등을 통해 탄소중립 실현에 기여하는 소재기술 구현(경산성)
【중요한 소재기술・상용화를 위한 전략적 연구개발 추진】
▸소재분야 총논문수, 피인용수 상위 10% 논문수, 상위 1% 논문수 국제순위 향상 ▸소재 분야 연구개발비 지속 증가 |
- 혁신 창출을 위한 전략형 연구 및 연구자의 자유로운 발상에 의한 도전적인 연구 강화와 소재 데이터나 제조 프로세스 기술, 첨단 공용설비를 최대한 활용
- (계획) 사회과제 해결이나 산업경쟁력 강화에 중요한 기술분야에서 국내외・산학관의 지혜를 결집한 프로젝트 추진(내각부, 문부성, 경산성, 환경성)
(2) 소재 데이터와 제조 기술을 활용한 데이터 중심 연구 개발의 촉진
【소재 DX 플랫폼 정비 및 소재 데이터 활용 촉진】
▸’25년까지 전국 6곳의 데이터 허브를 중심으로 하는 전국적 첨단 공용설비 제공체제 정비 (데이터 창출건수 연간 100만건) ▸전국적 첨단 공용설비 제공체제의 산학관 활용건수 연간 3,000건 이상 |
- 일본의 강점인 뛰어난 첨단 공용설비 및 국내에서 축적해 온 실제 데이터, 노하우와 함께 미사용 데이터를 포함한 양질의 소재 데이터 수집・활용 추진
- (계획1) ’22년까지 기업과 국가연구소의 데이터 공용・활용 관련 대응 현황이나 소재분야별 산학관 소재 데이터 취급에 대한 개념 정리(문부성)(경산성)
- (계획2) 소재 DX 플랫폼을 통한 첨단 공용설비나 물질・재료연구기구(NIMS) 등의 데이터 활용 인재, 데이터 구조화를 실시하는 인재 육성(문부성)(경산성)
【프로세스 인포매틱스 (PI)의 기반기술 확립 및 프로세스 혁신 플랫폼 구축】
▸’21년까지 산업기술종합연구소 지역센터를 중심으로 프로세스 혁신 플랫폼을 전국 3곳 이상 정비 ▸’24년까지 프로세스 혁신플랫폼의 산학 이용 건수 40건 이상 |
- 노하우・경험 등 기술축적에 의한 제조 프로세스 개발과 데이터과학 융합으로 기술개발의 고속・효율・고도화 추진, 차세대 혁신 제조 프로세스 개발 및 상용화
- (계획1) 프로세스 혁신 플랫폼 구축과 PI 기반 기술 확립
∙’21년 목표로 중점 소재를 선정하고 산업기술종합연구소 지역센터(쓰쿠바, 주부, 주고쿠)에 고기능 소재(촉매, 세라믹스, 셀룰로스 나노섬유 등) 제조 프로세스 데이터를 단번에 수집 가능한 설비 환경(프로세스 혁신플랫폼) 정비, 운용 개시 (경산성)
(3) 국제경쟁력의 지속적 강화
【산학관 협력을 통한 인재육성】
▸소재 분야 기업의 인력수급 격차 해소 ▸기업 신규채용자 중 박사학위 취득자 비율의 지속적 증가 |
- 수요가 표면화되고 있는 박사과정 인재에 대해 업계 단체나 관련 학회와도 협력하여 실천적이고 매력적인 환경을 정비함으로써 우수한 인재를 유치
- (계획) ’21년부터 박사과정 학생 처우 향상 및 커리어패스 확보 노력하는 대학에 대한 지원 외에 경쟁적 연구비를 통한 박사과정 학생 지원 확대 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