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에너지부의 바이오 연료 기술 투자 방안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에너지부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1-05-14
- 등록일 2021-05-21
- 권호 192
□ 에너지부(DOE)는 바이오 연료 생산과정에서 배출되는 탄소를 감소시키기 위한 투자 방안을 발표*(’21.5.)
* DOE Invests $35 Million to Dramatically Reduce Carbon Footprint of Biofuel Production
◌ 탄소 배출량을 줄이고 재생 가능한 바이오 연료의 양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신기술 개발에 3,500만 달러(약 395억원)의 자금을 투자할 계획
- 낭비되는 탄소 폐기물을 줄여 온실가스인 이산화탄소의 방출을 막고, 재생에너지 연료의 산출량을 극대화해 할 수 있는 바이오 연료 전환 과정 개발 필요
* 바이오 연료는 유기적 소재인 바이오매스를 가공해 만드는 에탄올, 바이오디젤, 기타 제품을 지칭하며, 발효 과정에서 탄소가 부산물로 생성되고 있으며, 일부 공정에서 탄소
의 1/3 이상을 CO2배출로 낭비하고 있음
- 바이오 연료는 청정에너지로서 선박과 항공사에 탄소배출이 전혀 없는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잠재력을 보유
◌ 바이오 경제를 위한 에너지와 탄소의 최적 합성(ECOSynBio) 프로그램에 15개 과제를 선정하고 관련 방법으로 바이오 연료 제조를 최적화할 예정
- 이산화탄소 폐기물을 생성하지 않는 탄소 최적화된 발효 균주
- 다양한 종류의 에너지와 탄소의 생성에 사용되는 유기체의 유전자 편집을 통한 이산화탄소의 배출 방지
- 바이오매스의 내부 이산화탄소 재활용을 이용한 포도당과 산화탄소 가스 발효
- 탄소 최적화된 무세포 생촉매 바이오매스 전환과 이산화탄소 활용
- 다양한 부문에 활용 가능하며 막대한 탄소 배출 감소 잠재력을 가진 탄소 최적화된 바이오 전환 기술
◌ 9개 주의 대학과 국립연구소에서 수행될 연구 프로젝트는 에너지, 교통, 농업 부문의 바이오 정제 과정을 탈탄소화하고 바이오 연료 생산을 최적화하는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게 될 전망
- 바이든-해리스 행정부가 우선시하는 기후변화를 중시하고, 탄소 배출을 감소시키고 재생 가능한 바이오 연료의 산출량과 효율성을 개선해 2050년까지 탄소 제로와 청정에너지 100%를 달성
- 대체 연료개발 효율성 개선을 위한 사업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고 있으며, ‘국가재생에너지 실험실’은 청정 재생에너지 기술 개발에 세계 최고의 연구소로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