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중국 과기외교관의 해외 기술 획득 활동 현황 조사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안보유망기술센터
- 주제분류 과학기술전략
- 원문발표일 2021-05-25
- 등록일 2021-06-28
- 권호 193
□ 안보유망기술센터(CSET)는 중국의 해외 기술 획득 과정에서 대사관 주재 과기외교관*이 수행한 역할을 분석한 보고서** 발표(’21.5.)
* science and technology diplomats
** China’s Foreign Technology Wish List
◌ 중국의 과기외교관은 52개 국가의 대사관과 영사관에 배치되어 주재국의 기술 발전을 모니터링하고, 중국 기업의 투자 기회를 파악
- 중국 과학기술부* 산하 국제협력부*의 해외 지사로의 기능을 수행
* Ministry of Science and Technology, MOST
** International Cooperation Department
- 과기외교관이 주로 활동한 기술 부문은 중국제조 2025의 목표 기술과 일치
* 바이오제약 및 의료기기(25.2%), 정보기술(17.0%), 신소재(11.5%) 등의 비중이 높음
- 과기외교관은 북미, 유럽, 동아시아 지역을 중심으로 최소 52개국에서 활동 중이며, 이들이 언급한 기술 프로젝트 중 거의 절반 가까이가 러시아(112건), 미국(77건), 영국(62건), 일본(57건)에 집중
- 과기외교관 관련 기술 프로젝트 642건 중 대상 기관을 확인된 529건은 중 대부분이 기업(264건, 50%)과 대학(165건, 31%)
◌ 과기외교관은 전반적으로 중국의 해외 기술 획득 촉진에 성공한 것으로 평가
- 이들이 취득한 기술 중 일부는 미국과 동맹국의 안보와 경제적인 경쟁력을 위협할 수 있는 것으로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