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韓, 마이데이터 도입 임박…금융·증권업계 시장 선점 위한 준비 한창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과기정통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06-11
  • 등록일 2021-07-09
  • 권호 194

2-1.PNG



□ 20218월부터 금융부문 마이데이터 사업 시작하며 데이터 경제 시대로 진입


·보험·카드 등 금융사는 물론 병원·관공서 등에 어져 있던 개인신용 정보·데이터를 한 데 모아 개인 신용·자산·건강관리 등 일상생활에 활용할 수 있는 마이

데이터사업이 금84일 본격 시행 예정


- 20201월 데이터3(개인정보보호법·정보통신망법신용정보법 개정안)이 국회를 통과하면서 법적 근거 마련 후 시중은행을 비롯해 카드사와 보험사, 핀테크

 등 업체 28곳이 1차 사업자 허가를 받아 금년 8월 서비스 개시 임박


- 마이데이터 인가를 받은 28개 금융회사와 핀테크 기업들이 마이데이터 앱을 출시하면 한 앱에서 본인의 은행 이자와 증권 수익률 현황, 보험 가입 내역 등 모든

 금융정보 확인이 가능




2-2.PNG



□ 자산관리(WM) 키우는 증권업계, 마이데이터 도입 준비 활기


이데이터 사업이 미래 먹거리로 떠오르면서 국내 증권사는 사업을 통해 자산관리 사업 시너지를 내기 위해 마이데이터 사업에 박차


- 증권사가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할 경우 고객의 연금자산 현황, 예상 수령금액 등도 파악해 은퇴준비 안내와 은퇴설계를 지원할 수 있으며 이 외에 데이터를

 활용해 대출중개, 보험중개까지 금융서비스를 아우를 수 있어 사업의 범위가 확대


- 또한 단순히 주식중개 수수료를 받는 것을 넘어서 맞춤형 포트폴리오 제공이 가능하게 되면서 자산관리 사업 부문에서 시너지 효과 창출





2-3.PNG





- 국내 증권사 중에서는 미래에셋증권이 처음으로 마이데이터 서비스 본허가를 받았으며(2021.1) 서비스 개시를 앞두고 자산관리·금융소비자보호 등 관련 조직을

 개편


- 또한 우리은행, 우리카드, 교보생명, 한화손해보험, NICE평가정보와 함께 국내 초대형 민간민간 금융 데이터 댐구축을 위한 금융 트렌드 공동연구 업무협약을

 체결(5.21)하는 등 마이데이터 사업 준비

 

- 금년 10월부터 자사 통합자산 관리 앱 엠올(m.All)’을 통해 마이데이터를 활용한 자산관리 특화서비스를 제공할 예정이며 현재 앱 화면, 서비스 등을 개발 중


-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통해 고객별로 자산관리 성향과 소비 내역을 분석해 예적금 상품, 대출, 보험, 신용카드 등을 맞춤형으로 추천하는 등 자산관리 부문의 디지털 전환에도 속도를 낸다는 계획


- 이어 하나금융투자도 예비허가를 취득(5.26)한 이후 본허가 신청을 마무리한 상태로 미래에셋증권에 이어 두 번째 마이데이터 서비스 본허가 취득 증권사가 될

 것으로 예상


- 하나금융투자는 하나원큐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은행과 보험, 연금 등의 통합 자산관리를 지원하는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선보일 방침


- 특히 빅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인공지능 데이터 분석 시스템 구축을 추가해 고도화할 계획


- 이 외에도 금융위원회가 추진한 마이데이터 신규 허가 서류 접수키움증권 한국투자증권 NH투자증권 한금융투자 현대차증권 하이투자증권

 대신증권 KB증권 한화투자증권 교보증권 등 총 10개 증권사가 신청한 상황


- 이들의 마이데이터 서비스 본허가 취득이 마무리 될 경우 초기 시장을 선점하기 위한 서비스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




□ 금융분야를 시작으로 마이데이터 전() 산업으로 확산 예상


4차산업혁명위원회는 제23차 전체회의를 개최하고 마이데이터 발전 종합정책발표(6.11)


- 금년 하반기부터 금융·공공분야를 시작으로 의료·통신 등 전() 산업으로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확산시켜 세계 최초 최대 범위 마이데이터 사업을 우리나라가

 선도적으로 추진할 방침


- 국민의 데이터 주권 확립을 통해 데이터 서비스 경쟁을 활성화하고 데이터의 자유로운 흐름을 통해 디지털 경제를 촉진하는 것이 목표


- 마이데이터 사업 활성화를 위해서는 제도적 기반이 있어야 한다는 지적에 따라 마이데이터 사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개인정보보호법에 마이데이터 근

거를 마련


- 또한 마이데이터 산업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을 촉진하기 위해 정보주체·정보제공자·정보수신자·공공기관별로 역할을 분배





2-4.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