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의료고등연구계획국(ARPA-H)의 비전 및 운영 방안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사이언스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06-22
  • 등록일 2021-07-23
  • 권호 195

사이언스는 신설 논의 중인 의료고등연구계획국의 비전과 운영 방안에 대한 전문가 기고* 게재(’21.6.)


* ARPA-H: Accelerating biomedical breakthroughs, 국립보건원(NIH) 원장 프랜시스 콜린스(Francis Collins)와 과학기술정책실(OSTP) 실장 에릭 랜더(Eric

 Lander) 기고


바이든 대통령은 2022 회계연도 대통령 예산 신청안에 국립보건원(NIH) 산하에 의료고등연구계획국(ARPA-H*) 신설과 65억 달러(74,000

억원)의 예산 배정 방안 포함


* Advanced Research Projects Agency-Health, ARPA-H


- 알츠하이머나 당뇨, 암과 같은 질병을 예방하고, 발견하고, 치료하는 획기적인 기술을 개발하기 위한 목적


의료고등연구계획국은 전통적인 생물 의학 부문과는 크게 다른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접근법을 활용할 계획


- 획기적인 연구를 적절하게 지원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성공에서 영감을 얻음


- 국방고등연구계획국의 모델은 생명 의학 부문의 연구에 완벽한 모델은 아니며, 국립보건원(NIH)에서 이미 운영 중인 국방고등연구계획국

(DARPA)과 비슷한 프로그램도 성공적인 결과에도 불구하고 한계점을 가지고 있음





1-1.PNG

1-2.PNG





의료고등연구계획국은 국립보건원(NIH) 내에 설치되어야 하며, 기존의 부서와는 차별화되는 문화와 조직 구조를 가진 조직으로 설계되어야 함


- 의료고등연구계획국은 조직 목표가 국립보건원(NIH)의 미션*에 정확히 속한다는 점과 국립보건원의 다양한 지식과 전문성, 활동을 활용할 수 있다는 점에서 국립보건원의 한 부서로 설치되어야 함


* “건강 향상과 수명 연장, 질병과 장애 감소를 위해 자연과 생물 활동에 대한 기초 지식과 그 응용을 추구


- 의료고등연구계획국은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의 접근법을 따른다는 점에서 국립보건원의 일반적인 운영 방식과는 매우 다른 대담한 아이디어를 가치 있게 여기는 문화와 수평적이고 민첩한 구조, 외부 전문가를 영입할 만큼 매력적인 조직, 리스크를 수용할 수 있는 권한, 자율성 등의 보유 필요


- 반면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과는 다르게 전체 생태계와 사용자에 도움이 되는 획기적인 혁신을 추구하고, 과학 프로그램 개발에서 고용에 이르기까지 공평성 이슈를 담당하는 고위 관리직 설치 필요


- 의료고등연구계획국은 보건복지부(HHS) 내에서 식품의약청(FDA)과 질병통제예방센터(CDC), 생물의학고등연구계획국(BARDA), 메디케어·메디케이드 서비스 센터(CMMS) 등 주요 기관과 협력 필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