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자율주행차 기술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전략국제문제연구소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06-28
  • 등록일 2021-07-23
  • 권호 195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는 미국의 국가 안보에 자율주행차 기술을 주도하는 것이 미치는 영향을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한 보고서 발표*(’21.6.)


* National Security Implications of Leadership in Autonomous Vehicles


자율주행차 기술과 산업을 선도하는 것이 국가 안보에 미치는 영향을 군사적 기술 활용, 글로벌 기술 경쟁, 사이버보안, 스파이 행위의 측면에서 분석


* 국가 안보는 국민이 스스로 통치 방식과 법의 원칙을 결정할 수 있는 상황으로 정의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국가 안보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국익을

 보호하고 단기적, 장기적으로 국가의 안보를 지원하는 기술을 개발, 활용하는 역량 필요


- 미국은 지난 수십 년 동안 지속하여온 연구와 기술에 대한 공공 투자 부족에 대응하기 시작하였으며 과거와는 달리 민간기업에 의해 주도되고 시장을 겨냥한 기술 혁신을 촉진해 국가 안보를 강화하여야 할 새로운 도전에 직면


- 인공지능과 자율주행 시스템을 활용하는 역량은 국제적 경쟁의 핵심이자 미국이 반드시 정책과 규제를 통해 경쟁력을 유지해야 할 부문





3-1.PNG





(1) 자율주행 기술의 군사적 활용


인간의 조작이 필요 없는 자율주행 기기는 군사 부문에 매우 매력적인 기술로, 지율주행 기술은 이미 항공 우주와 해저 부문에서 활용되고 있으며 앞으로 운수와 지원 차량 등으로 기술 범위가 확대될 것임


- 이미 항공 우주나 해저 공간에서 국방력의 우위를 유지하기 위해 자율주행 기기가 운용 중


- 상대적으로 상용 기술의 군사적 활용이 쉬운 단순한 수송 및 지원 차량을 시작으로 전투차량에 이르기까지 기술 도입이 이어질 것임



(2) 기술 경쟁 측면에서의 자율주행 기술 개발


강력한 자율주행 기술을 보유하는 것은 직접적으로 군사 부문에 기술이 적용되지 않더라도 국가 안보에 필수적


- 미국의 안보를 위협하는 지정학적 경쟁은 전통적인 국방 경쟁을 넘어 혁신 역량과 기술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이루어짐


- 자율주행차 부문은 중국이 미국의 기술적 리더십을 위협할 몇몇 분야 중 하나로 인식되며, 중국은 무인 탱크나 원격 조종 수리 공작차를 미국의 국방력을 넘어설 수 있는 분야로 파악한 바 있음


- 미국은 강력한 창업 환경과 역동적이고 위험을 감수하는 금융 시스템, 강력한 연구 기반, 상업화에 특화된 혁신 커뮤니티 등의 장점이 있으며, 중국은 정부가 막대한 장기 투자를 제공할 의지가 있는 것이 가장 큰 장점



(3) 사이버보안 리스크와 취약점


자율주행차가 수집하는 자동차의 위치, 속도, 문자와 이메일, 음성 등 다양하고 민감한 정보는 자율주행차의 인터넷 네트워크를 통해 유출 가능


- 만약 자율주행차가 신뢰할 수 없는 곳에서 생산되거나 공급 사슬에 리스크가 있을 경우 자동차에 수집된 정보가 인터넷을 통해 적대적인 국가로 전송 가능


- 해커가 랜섬웨어를 통해 자율주행차를 대규모로 운용하는 기업이나 자동차 제조 기업의 시스템을 마비시키는 방식을 통해 막대한 피해 발생 가능



(4) 스파이 행위


자율주행차의 사이버보안과 데이터 보호 문제는 중국과 지정학적 경쟁 상황에서 정보기관의 공작 활동과 스파이 행위의 리스크에도 영향을 줄 수 있음


- 독일, 일본, 한국 등 주요 자동차 제조국의 대부분이 정치적, 안보적 동기가 없다는 점에서 사이버보안 문제를 스파이 행위에 활용하지 않으리라고 생각되는 것과 달리, 중국의 스파이 활동의 범위와 규모는 냉전 시대를 넘어서고 있음


- 최근 군 시설이나 민감한 산업과 정부 기관에서 근무하는 인사의 주거지 주변을 테슬라 주행을 금지한 것은 자동차가 이상적인 감시 플랫폼임을 중국 정부가 인지하였음을 시사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