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중국, 2020년 과학 및 첨단기술 발전현황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중국과학원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1-06-17
  • 등록일 2021-07-23
  • 권호 195

중국과학원은 2020년 과학 발전보고서2020년 첨단기술 발전보고서를 발표(’21.6.)


과학은 달탐사선 창어 4, 태양탐사, 인공 광합성 태양연료, DNA 컴퓨팅, 생태계 마이크로바이옴 및 인류건강 등 5개 과학 프런티어 방향의 연구 진전


- '20.11월 창어 5호 탐사선이 하이난성에서 발사에 성공, 달탐사공정의 '궤도 비행', '착륙', '귀환'3단계 중 마무리 단계에 진입 등 성과


- 태양탐사의 경우, 최초의 태양관측위성 'ASO-S 선진 우주기반 태양천문대'와 중국 서부지역에 지반 m급의 태양 중적외선 자기장 측량 망원경을 구축을 준비 중이며, 태양풍과 코로나 대기 가열의 미스터리를 해독할 전망


중국의 첨단기술 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기술 투자가 부족하고 혁신활력은 미국, 일본 등 선진국에 비해 취약


- '18년 중국의 첨단기술 산업 R&D 투자는 518.58억 달러, 미국의 2017년 첨단기술 분야에서 기업의 R&D 투자는 1,847억 달러로, 중국의 3배 이상


- '17년 중국의 전기기계, 정보통신, 컴퓨터기술, 반도체, 광학, 의학기술, 바이오기술, 제약 및 교통 등 첨단기술 분야 PCT 특허 출원량은 19,458, 같은 해 미국과 일본은 25,958건과 2808건으로, 중국의 1.33배와 1.07





6-1.PNG




세계 혁신구도는 '미국 초대국, 유럽·일본 다강'의 발전구도 구현, 중국은 세계 혁신의 중요한 1


- '08-'18년 미국, 중국, 일본의 R&D 투자 순위는 상위 3, R&D 투자 순위 상위 10위 국가가 전체 투자에서 차지한 비중이 81.41%에서 84%로 증가


'08년 순위: 미국, 스위스, 일본, 한국, 스웨덴, 독일, 네덜란드, 프랑스, 덴마크, 핀란드가 40개국에서 상위 10


'18년 순위: 미국, 일본, 스위스, 중국, 한국, 독일, 핀란드, 덴마크, 스웨덴, 네덜란


- 브라질, 인도, 러시아 등 경제체는 혁신 글로벌화의 '주변지대'에서 혁신 글로벌화의 중요한 참여자로 전환하면서 혁신의 글로벌화 구도 진화방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중



신시대 중국 혁신생태계 능력 육성 임무와 조치


- 신시대 국가는 혁신의 핵심지위와 국가 발전 과정에서 과학기술 자립자강의 전략적 지원, 신시대 혁신생태계 능력육성 더욱 강조


- 국가혁신시스템 개선, 국가 전략적 과학기술 역량 강화, 기업 혁신능력 강화, 산업기술 체계적 배치 개선


- 체제개혁 심화, 과기혁신 자원배치 최적화, 지역 혁신생태계 개선, 협동혁신 융통혁신 뒷받침, 글로벌 혁신망 구축, 호혜윈윈 혁신발전 실현 


 

14.5기간 디지털화 전환의 고품질 발전 가속화와 전략적 신흥산업 발전구상


- 기초능력 제고, 핵심기술 돌파, 신규 구상과 메커니즘을 통해 신형 인프라 건설 추진


- 산업과 기업의 디지털화 전환을 본격화하고, 다양한 방식의 혜택성 디지털화 서비스를 보급


- 데이터 재산권 범위를 합리적으로 확정하고, 데이터 요소와 데이터 시장잠재력을 활성화하며, 정부의 데이터 공유를 촉진하여 데이터 안전 보장

 

- 포용·신중성과 공평·공정의 신형 감독규제 체계 구축을 가속화하여 국제법칙 제정과 글로벌 디지털경제 거버넌스에 능동적으로 참여

 

- 양적 규모와 질적 수준을 모두 향상시켜 발전을 선도, 정책적 환경을 꾸준히 최적화 및 개선하고, 집결구도 성과 구현, 개방협력 발전을 통해 이익 공동창출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