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코로나19·비대면 등에 힘입어 무인화 트렌드 확산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머니투데이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07-01
  • 등록일 2021-07-23
  • 권호 195

□ 코로나19가 불러온 비대면 확산과 맞물러 무인화 바람 거세


인공지능·사물인터넷(IoT) 등 첨단기술 진전과 함께 코로나19 영향으로 비대면 산업이 각광받으면서 유통 분야의 무인화트렌드가 동반 확산


- 전염병 예방 차원에서 사람 간 직접적 접촉 없이 소비 가능하며 공간인력비용 측면에서 강점을 지닌 무인화 기술이 오프라인 유통 매장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


- 주문결제 등을 기계가 대신하는 키오스크(무인단말기) 수준을 넘어 이제 고객 얼굴인식, 물품관리, 매장 내 돌발 상황 대응 역할까지 대신하는 단계로 발전


- 나아가 지능형 CCTV, 클라우드 기반 딥러닝 영상분석 시스템, 무인출입 보안시스템, 통합 관제 시스템 등이 집약된 형태로 진화


- 코로나19비대면 확산뿐만 아니라 새로운 경험을 즐기며 소비하는 MZ 세대, 인건비 상승 등은 무인화를 이끄는 배경


켓스앤마켓츠(MarketsandMarkets)에 따르면 글로벌 스마트 소매(Smart Retail) 시장규모는 2020216억 달러에서 2025625억 달러로 23.6%CAGR 기록 전망


- 스마트 소매 시장에는 인공지능·사물인터넷·증강현실·가상현실 등 기술을 활용한 점포 운영 개선, 재고 관리, 새로운 소비자 경험 제공 분야 등이 포함




3-1.PNG




□ 무인 매장 포문 연 '아마존 고', '아마존 프레시'까지 확산일로


유통업계 공룡이자 ICT 시장 강자로 탈바꿈한 아마존은 2016년 시애틀 본사에 첫 무인 매장 아마존 고(Amazon Go)’ 출점 후, 20181월 일반 소비자에게 개


아마존 고 오픈 3년째인 현재 미국 전역에 30개 이상 매장 운영


아마존 고 만족도와 인기가 높아지면서 식료품점 매장 아마존 고 그로서리(Grocery)’, 아마존 고 매장을 대형마트로 확장해 리브랜딩한 아마존 프레시(Amazon Fresh)’까지 등장


아마존 프레시는 금년 3월 영국 런던에 오픈, 미국 이외 지역 첫 해외 진출 성사


- 이들 무인 매장은 계산대 줄을 설 필요 없는 저스트 워크 아웃’(Just Walk Out), 컴퓨터 비전·딥러닝 기반 인공지능, 아마존웹서비스 기반 클라우드POS(판매정보관리시스템)

이 핵심 기술

 

- 최첨단 카메라와 압력을 감지하는 센서 등이 매장 곳곳에 설치되어 있어 고객의 구매 행위를 자동으로 인식 가능


한 아마존은 배달 로봇 스카우트(Scout)를 활용한 근거리 배송 서비스를 통해 소비자에 새로운 쇼핑 경험을 제공했다는 평가


조만간 소비자가 사려는 물건과 시점을 예측해 미리 배송하는 예측배송(Anticipatory Shipping)’ 서비스도 시작해 고객 편의 제고, 서비스를 차별화한다는 계획


편 미국 오프라인 마켓 강자인 월마트도 샘스클럽 나우로 아마존을 추격하고 있으며 QR코드 결제방식에 익숙한 중국 알리바바(타오카페·허마센셩)도 무인 시장 진출에 적

극적


타오카페(무인 편의점), 허마센셩(QR코드, 키오스크, 모바일 스캔 등을 도입한 슈퍼마켓)




3-2.PNG



□ 국내에서는 편의점이 무인화에 적극적, 카페·호텔 등 일상 생활 영역에서 확산


최저임금 인상, 52시간 근무제도 적용 등으로 인건비 부담이 높아지면서 GS25, CU, 세븐일레븐 등 주요 편의점은 무인 운영 방식을 속속 도입


- 아직까지는 비대면 결제, 재고 관리 시스템 등을 갖춰 낮에는 유인(有人), 밤에는 무인으로 운영하는 하이브리드 매장이 주류


20211월 기준 주요 편의점의 하이브리드 편의점은 CU 250개점 GS25 200개점 이마트24 112개점 세븐일레븐 46개점 등 총 610여 개로 전년 250여 개 대비 약 144%

 증가


- 결제와 운영을 간편화·자동화하는 부문 무인화를 시작으로 향후 완전 무인화 시스템까지 구축해 나갈 것으로 예상




3-3.PNG


편의점 외 카페·세탁소·가전매장 등 다양한 다른 영역에서도 무인 점포 출점이 꾸준히 늘어나는 추세


- (PC) 인공지능 기술로 사전에 등록한 고객 얼굴을 인식한 뒤, 성인 인증을 받은 경우에만 출입 허용


- (카페호텔) 3D 공간맵핑과 자율주행 기술 등을 장착한 로봇이 테이블 간 좁은 통로를 이동하고 장애물을 회피해 목적지까지 이동하며 고객에게 음료 전달, 수건생수 전달

 

- 최근 실시간 매출, 회원·좌석 현황 조회, 출입문·조명 제어, 스터디룸 예약 및 결제, 다중 결제 기능 등을 키오스크에 탑재해 무인으로 운영하는 스터디카페 증가


- (백화점) 몇몇 백화점 식품관은 앱에서 결제 가능한 카드 등록 시 생성되는 QR카드를 출입 인증으로 활용해 생필품, 각종 굿즈를 무인으로 판매. 매장 천장에는 비전 인공지능

 기술을 탑재 여러 대 카메라를 배치해 고객 입장부터 동선을 추적관찰


- (대형가전 매장) LG베스트샵 무인 매장은 스마트폰 QR코드로 인증해 입장한 후 키오스크, 서빙봇 등을 배치해 고객의 자유로운 쇼핑 지원


- (은행) 인공지능 은행원이 등장하는 디지털 데스크와 디지털 키오스크를 편의점 등에 설치해 무인 서비스 확대 추진




□ '스마트슈퍼 육성사업' 주목···소상공인 무인 점포 지원하며 디지털 대전환 속도


리 정부(중기부)는 동네슈퍼에 출입 인증 장치, 무인 계산대 등 무인 운영에 필요한 기술·장비를 도입해 경쟁력 강화와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스마트슈퍼 육성 사업 추진


동 사업에 참여할 지자체 53곳 선정(3.10)


- 스마트슈퍼란 무인 출입장비와 무인 계산대, 보안시스템 등 스마트기술 및 장비 적용과 디지털 경영을 기반으로 한 새로운 동네 슈퍼 모델


- 코로나19 영향 등으로 지역 상권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규제나 보호 정책으로는 한계가 있다고 판단, 동네 슈퍼의 디지털화를 통해 유통산업의 주체로 변화시킨다는 취지


- 아울러 동네슈퍼 매출 증대와 노동시간 단축 등 삶의 질을 향상시켜 디지털 전환 성공 모델로 육성하겠다는 목표


- 1단계(점포 진단)2단계(스마트기술 도입)3단계(스마트기술 활용 교육, 상품·마케팅 개선 등)4단계(사후 관리)로 지원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