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수소 내연기관이 탄소 중립에 미치는 영향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딜로이트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06-24
  • 등록일 2021-08-13
  • 권호 196

맥킨지앤컴퍼니는 수소 내연기관 기술과 다른 저탄소 자동차 기술의 특성을 살펴보고, 특히 대형 트럭 부문에서 수소 내연기관 기술탄소 중립에 미치는 영향 분석*(’21.6.)


* How hydrogen combustion engines can contribute to zero emissions


세계의 주요 시장에서 도로용 트럭에 대한 탄소 배출량 감축 관련 규제는 점차 강화


- 전통적으로 규제의 강도가 적었던 비도로용 트럭의 경우에도 고객으로부터의 탈탄소화 압력이 강화될 것으로 전망




1-1.PNG



도로용 대형 트럭과 비도로용 트럭의 탄소 배출 감축을 위해 4가지 파워트레인 기술*이 개발되고 있으며 각각의 기술은 서로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음


* 배터리 전기자동차(BEVs), 수소연료전지 자동차(FCEVs), 수소 내연기관(H2-ICEs), 바이오연료 및 합성연료 등





1-2.PNG



수소 내연기관(H2-ICEs)은 광산용 덤프 트럭을 포함해 다양한 상황에서 경쟁력 있는 옵션 제공 가능


- 수소 내연기관 기술은 아직 개발 초기에 머물러 있지만, 큰 자본 투자나 공급 사슬, 인프라의 변화 없이 탄소 배출을 줄일 수 있다는 장점이 있으며, 수소 내연기관만의 장점이 있는 틈새시장 존재


- 수소 내연기관 기술은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FCEVs)와 경쟁 관계에 있다기보다는 같은 생태계를 공유하는 상호보완적인 기술로 개발할 필요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