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코로나19 관련 연구동향 국제비교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딜로이트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1-07-16
  • 등록일 2021-08-13
  • 권호 196

딜로이트는 코로나19 관련 국가와 지역별 대응을 주력 분야 및 중요 연구 분야를 분석하고, 국가별 비교를 통한 일본의 과제 제시(’21.7.)


코로나19 관련 연구를 분야별 주제별로 분류하고 데이터사이언스를 활용하여 국가별 주력도*와 주목도**를 분석하고 차이를 파악하기 쉽게 가시화


* 인구 차이에 따른 영향을 없애기 위해 각국 인구 10만 명당 코로나19 관련 논문 수를 산출


** 코로나 관련 논문 수에서 차지하는 코로나19 관련 논문의 피인용수 누계를 산출




6-1.PNG




관련 논문 수는 누계 128,952으로 신규 논문 투고는 ‘20.3월에 급증하여 5월 이후는 매월 1만 개 안팎


- 미국·영국은 논문수가 증가하여 코로나 관련 연구의 허브가 됨


- 중국의 경우 주목도가 높은 감염확대 초기에 투고가 이루어져 다수의 논문 보유


연구주제별 논문이 그 국가의 전체 논문수에서 차지하는 비율을 산출해 각국이 주력하고 있는 연구주제를 추정하고, 연구주제별로 각국의 주력도를 순위화


- 미국의 경우 디지털헬스교육등에서 선진국 31개국 중 1위를 차지하고 있으며, 백신」 「PCR을 비롯한 많은 연구주제의 주력도가 중간 정도로(10위 수준) 다양한 연구주제를 균형 있게 연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


- 일본과 한국의 각 연구주제별 주력도는 유사성이 높으며 의약·바이오공중위생에서 비교적 상위에 위치


- 디지털 헬스」 「인포매틱스등은 코로나19 외 연구분야에서 주목도가 높은 분야로 코로나 이후 전세계적으로 중요한 연구 분야가 될 것으로 추정

 



6-2.PNG




6-3.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