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일본, 문부과학성의 환경·에너지 분야 주요 사업 현황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문부과학성(MEXT)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08-05
- 등록일 2021-08-27
- 권호 197
□ 문부과학성은 11기 환경에너지과학기술위원회 1차 회의에서 환경·에너지 분야의 문부과학성 주요 사업 등에 대해 논의하고 관련 자료 발표(’21.8.)
(1) 혁신적 파워 일렉트로닉스 창출 기반기술 연구개발사업
º '50년 탄소중립을 뒷받침하는 초에너지 절약·고성능 파워일렉트로닉스 기기* 창출 실현
* GaN 등 우수한 소재 특성을 실현할 수 있는 파워 디바이스나 그 특성을 최대한 활용할 수 있는 파워 일렉트로닉스 회로시스템, 회로 동작에 대응할 수 있는 수동소자 등
- 각 연구의 연계를 지원, 해외 연구 동향 사업운영에 반영, 각 연구간 교류의 장 구축 및 진척에 따라 연구체제를 탄력적으로 변경할 수 있는 구조 설정
- 지원대상기관: 대학, 국립연구개발법인 등(국가가 위탁)
- 사업기간:‘20~’25년(6년간)
(2) (미래사회창조사업) 「전지구적 과제인 저탄소사회 실현」 분야
º '50년 상용화를 목표로 에너지·환경 혁신전략 등을 반영하여 온실가스 대폭 감축목표에 기여하는 혁신적인 에너지 과학기술 연구개발을 강력히 추진
- 소액 과제를 다수 채택하여 중간 단계에서 목표 달성도 및 CO2 배출량 대폭 감축 가능성의 판단에 근거하는 엄격한 평가(스테이지게이트 평가)를 거쳐 평가기준을 만족시킨 과제만 다음 단계로 이행하는 구조 도입*
* 연구기간은 5년이 원칙으로 스테이지게이트 평가를 거쳐 본격적 연구로 이행
- 저탄소사회 실현을 위한 개발 주제와 관련이 깊은 유망한 다른 사업 등 기술 Seeds를 융합하는 형태의 연구개발 실시
- 지원대상기관: 대학, 국립연구개발법인 등
- 사업규모 : 약 3천만 엔 (과제당 /1년)
- 사업기간: ‘17년~
(3) (전략적 창조연구추진사업) 첨단 저탄소화기술 개발
º '30년 상용화를 목표로 저탄소사회 실현에 기여하는 혁신적 기술 시즈 및 실용화 기술의 연구개발과 혁신적 저탄소화기술* 연구개발 추진
* 우수한 기계적 특성의 경량소재 개발, 리튬이온전지를 대체하는 혁신적 차세대 전지 등
- 실용기술화 프로젝트 :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가능성이 큰 혁신적 기술 시즈 발굴 및 요소기술 개발을 통합하면서 실용기술 연구개발 가속화
* 건수·단가: 4개 지속 프로젝트×0.5~2억 엔
- 특별 중점 프로젝트: 추진해야 할 주제를 문부과학성과 경제산업성이 합동검토회를 개최하여 설정하고, 산학관의 다양한 관계자가 참가하여 공동연구개발 실시
('차세대 축전지연구 가속프로젝트' 실시 중).
* 건수·단가: 1개 지속 프로젝트×3~20억 엔
- 지원대상기관: 대학, 국립연구개발법인 등
- 사업기간:'10~'22년
* 연구기간은 5년이 원칙으로 스테이지게이트 평가를 거쳐 '실용기술화 프로젝트'로 이행
(4) 대학 역량을 결집한 지역 탈탄소화 가속화를 위한 기반 연구개발
º 지역의 탈탄소화를 위한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필요한 기반적 연구개발을 대학 등의 연계를 통해 추진
- 인문·사회과학에서 자연과학까지 폭넓은 지식을 활용하여 대학 등의 지역 탈탄소화를 지원하기 위해 활용할 수 있는 툴 등과 관련된 연구개발 추진
- 지원대상기관: 대학, 대학공동이용기관 등,
- 사업기간: ‘21~’25년(5년간)
- 위탁처 대학 등(1개 기관)이 여러 대학과 연계하여 사업 실시
(5) 기후변화 적응전략 이니셔티브
º 기후변화와 관련된 정책입안이나 구체적 대책의 기반이 되는 기후모델의 고도화 등에 따라 기후변화 메카니즘규명 및 고정밀도 예측정보 창출 추진
- 통합적 기후모델 고도화연구프로그램('17~'21년)
- 지구환경데이터 통합 분석플랫폼 사업('21~'30년, (신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