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인텔·TSMC 광폭 투자…글로벌 반도체 패권 경쟁 심화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Intel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07-01
  • 등록일 2021-08-27
  • 권호 197

□ (인텔) 2025년 1.8나노 생산 목표로 파운드리 시장 진격


º 온라인 기술 로드맵 발표 행사(Intel Accelerated)를 개최(7.26)하며 종합 반도체 기업으로 리더십을 강화하기 위한 ‘IDM 2.0’ 전략* 업데이트



* IDM(Integrated Device Manufacturing) 2.0 전략은 인텔이 반도체 시장 지배력을 강화하기 위해 파운드리 시장 진출, 초미세공정 기술개발 등을 제시한 비전으로 지난 3월 발표


- 20217나노미터(1nm=10억 분의 1m, 이하 나노) 반도체를 선보인 뒤 20233나노, 2024 2나노, 20251.8나노 반도체를 생산하는 로드맵 제시


- TSMC·삼성전자가 현재 3나노 공정의 반도체 양산을 준비하고 있는데 7나노 공정을 개발하고 있는 인텔이 4년 내 이를 추월하겠다는 복안


- 한편 그 동안 핀펫(22나노), 슈퍼핀(10나노) 등 명칭을 사용해 온 인텔은 향후 개발하는 반도체 노드의 명칭을 인텔X’로 변경


현재 10나노 슈퍼핀에서 와트당 성능 10~15% 향상시킨 제품을 인텔7, 전작 대비 와트 당 20% 성능을 향상시킨 제품은 인텔4로 리네이밍


- 2024년부터는 옹스트롬(Angstrom, 0.1나노)’‘A’를 공정기술에 붙이기로 결정. 2나노는 20A 불리는 셈


20A에는 리본펫(게이트올어라운드(GAA: Gate-All-Around) 트랜지스터를 적용한 공정기술)과 파워비아(웨이퍼 후면에 전력 회로를 배치해 반도체 성능을 높이는 기술)를 활용 예정



6-1.PNG


- 2025년 목표로 하는 1.8나노(18A)에는 2세대 리본펫 구조와 최첨단 EUV 기술인 ‘High-NA EUV’*를 업계 최초로 도입 계획



* High-NA EUV: EUV 장비에 탑재하는 렌즈 해상도를 더 높이는 기술


- 이 같이 혁신적인 공정 개발 로드맵을 실현하기 위해 세계 최고 기술력을 보유한 EUV 장비 생산업체인 네덜란드 ASML과 협력해 High NA EUV를 공급받을 예정이며 EUV외에도 

관련 업체와 장비 생태계를 육성해 나가겠다고 설명


- 또한 퀄컴·아마존을 새로운 고객사로 확보했다고 밝혔는데 특히 퀄컴은 TSMC·삼성전자 파운드리를 통해 스마트폰 AP 칩을 생산해왔다는 점에서 향후 초미세공정을 활용한 

파운드리 시장의 치열한 경쟁 시사


º 모바일 시대를 맞아 성장이 주춤했던 인텔은 인공지능·자율주행 등 신산업 성장으로 수요가 급증하고 시장 변화에 적극 대응하며 반도체 패권 경쟁 승부수



□ (TSMC) 미국ㆍ일본에 이어 독일까지 생산 공장 건설 검토하며 해외 진출 적극적


º 미국 애리조나주에 이어 일본에 반도체 R&D·후공정 공장 건설 등 해외 진출을 결정한 가운데 최근 독일에 반도체 공장 건립을 위한 평가 작업을 검토·진행 중


- 7월 말 TSMC 류더인 회장은 인피니언폭스바겐다임러 등 주요 고객사가 있는 독일에 반도체 공장 신설 문제를 진지하게 평가하고 있다는 서한을 주주들에게 전달


º 이미 3나노 공정 양산 준비도 진행 중이며 애플·인텔과 함께 제품 테스트를 시작, 2022년 양산에 돌입할 것으로 관측


º 를 위해 대만 타이난 소재 공장에 3나노급 반도체 생산설비를 설치하고 있으며 애플·AMD 등 다수의 고객사를 확보한 것으로 추정


º 7월 말 대만 정부는 자국 반도체 산업의 근거지인 신주과학기술단지에 TSMC2나노 반도체 공장 신설 계획을 최종 승인


º TSMC는 금년 말까지 2나노 시험 생산라인을 완성하고 2024년에는 2나노 반도체를 상용화한다는 목표


º 반면 중국 난징에 12인치 웨이퍼 파운드리 공장 증설 계획에 대해서는 중국의 반도체 굴기를 이유로 미국이 반대 의사를 보이면서 추진 여부 미지수



□ (삼성전자) 3나노 제품 생산 목표 및 새로운 차원의 기술개발 앞장


º 금년 하반기 중으로 4나노 1세대 반도체를 양산하고 2022년에는 3나노 1세대 제품 상용화에 이어 2023년에는 3나노 2세대 제품 출시 계획


º 인텔·TSMC 등 경쟁사 대비 3나노 기술우위를 확보하기 위해 독자적인 게이트올어라운드(GAA)’ 기술을 적용할 예정


- 요철 형태로 세워져 지느러미(·fin) 모양의 게이트와 맞물린 기존 핀펫 기술이 10나노 미만 공정기술에서는 점차 한계에 부딪치자 GAA가 그 대안으로 주목


- GAA는 게이트가 가늘고 긴 와이어() 형태의 채널을 전방위로 감싼 구조로 기존 핀펫은 전류가 흐르는 채널이 3개 면이었지만 GAA는 모든 면에서 전류가 흐르게 하며 

반도체 소형화와 고성능화 구현 가능


3나노 GAA 공정을 활용하면 7나노 핀펫 대비 칩 면적은 45%, 소비 전력은 50% 절감


- 다만 GAA 트랜지스터의 기술적 난관은 채널을 선으로 만들면 충분한 전류를 얻기 힘들다는 것인데 삼성전자는 이를 극복하기 위해 와이어 대신 얇은 종이(나노시트)’

형태의 채널을 만들었으며 이 같은 독자 GAA 기술을 ‘MBCFET(Multi-Bridge Channel Field Effect Transistor)’으로 명명


- 지난 7.1일 반도체 설계자동화(EDA) 업체 시놉시스와 협력해 GAA 3나노 공정 테이프아웃(반도체 설계 완성)에 성공했다고 공개했으며 2022년 양산 목표



6-2.PNG


º 아울러 세계 최초로 메모리와 시스템반도체를 융합한 HBM-PIM (Processing-in- Memory) D램 모듈에 연산기능을 탑재한 AXDIMM SSD에 연산기능을 탑재한 스마트 SSD 

D램 용량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CXL D램 등 새로운 메모리 솔루션을 지속해서 선보이며 빠르고 복잡하게 변화하는 반도체 산업에 적극 대응


º 한편 삼성전자의 해외 낸드플래시 생산 기지인 중국 시안 공장은 2공장 2단계 증설이 마무리 단계에 있으며 하반기 완공 후 제품을 본격 출하 예정


- 중국 시안공장은 1·2공장으로 운영되고 있으며 2단계 투자 증설까지 완료하면 2공장은 웨이퍼 월 13만장 규모의 낸드플래시 생산 능력을 확보, 1공장(12만 장) 생산량까지 합치면 

25만장 수준의 낸드플래시 생산 가능


이는 업계에서 추정하는 2020년 삼성전자 낸드플래시 생산량의 절반에 해당하는 수준


- 시안 공장 모든 라인을 풀가동해 재편 작업이 한창인 낸드플래시 시장에서 독보적 지위를 공고히 하겠다는 전략


2020마이크론이 세계 최초 176단 낸드 개발에 성공하면서 삼성전자 아성에 도전. 마이크론·웨스턴디지털의 키옥시아 인수 검토 등으로 낸드 플래시 시장 경쟁 구도에 

변화 예상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