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어느새 일상 속으로 성큼 다가온 스마트시티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 2021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09-10
- 등록일 2021-10-01
- 권호 199
□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 2021', 가까이 다가온 스마트 시티를 알려
º 국토교통부와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최하고 LH공사 등이 주관하는, 올해로 5회 차를 맞이하는 월드 스마트시티 엑스포 2021이 고양시 킨텍스에서 개최(9.8~9.10)
- 부천시, 강릉시, 대전광역시, 제주특별자치도 등 전국 시·도에서 참여해 각 지역의 스마트시티 프로젝트 진척 상황 등을 공유하고 홍보
□ 중소도시들은 교통개선, 안전 서비스 등 지역사회 특화 프로젝트를 시도
º (고양시) 미래세대의 자원·공간을 비축하는 도시 구현을 위해 IoT 융복합 시범단지를 통해 스마트 방역과 안전 서비스, 에너지 관리 등 추진
- (스마트방역) 디지털 기술을 활용한 방문객 방역 서비스와 해충(모기) 감소 솔루션 도입 등 일상 친화적인 방역 프로젝트 추진
※ (공간소프트) 체온측정-방문객 정보등록-출입증 발급 원스톱 KIOSK (이티엔디) 스마트 모기 유인 및 포집기 설치 등
- (스마트안전) 치매환자, 노약자 등의 위치추적 서비스, 일방통행로 등의 교통안전 문제 해결 추진
※ (스마트메디칼디바이스) GPS 기반 위치추적 깔창 (아이에스앤로드테크) 디지털 교통유도 사이니지 및 차량감지 시스템 (아이티에스뱅크) 보행자와 운전자 모두의 안전을 위한
가시성 높은 디지털 알림판 등 프로젝트 LED알림판
- (에너지 관리) 가정용 태양광 보급을 통해 탄소배출 저감 및 에너지 안정화를 도모하고, 다수의 태양광 모듈을 모니터링하고 통합 관제 시스템을 구축하여 시 차원에서
에너지 관리 용이성을 증진하고자 노력
※ (솔라테라스) 가정용 미니 태양광 패널과 IoT 솔루션 개발 (에너닷) 미니 태양광 통합 모니터링 및 관제 시스템
º (강릉시) 대도시 수준의 이동권 보장을 위한 지방 중소도시형 통합 MaaS 체계 구축 중이며, 관광 활성화를 위한 디지털 예약·결제 등 인프라 개선도 추진
- (이동권 보장) 지능형 대중교통(MaaS) 서비스와 손쉽게 결제할 수 있는 디지털 플랫폼 마련 등 프로젝트 추진하여 관광객 및 거주민의 이동권을 개선
※ (씨엘) 다이나믹라우팅(DRT) 자동배차 버스 및 자율경로 생성 솔루션 (로카모빌리티) 호스트카드에뮬레이션(HCE) 기술 기반 모바일 광역교통 결제 솔루션
- (관광 인프라 개선) 교통 인프라와 지역 매장의 통합 결제 플랫폼 도입과 디지털 관광 안내 시스템, 모바일 신분증 도입을 통해 관광객·거주민 모두의 편의성 증진
※ (KST인텔리전스) 교통 인프라, 매장 이용이 동시 가능한 강릉 파인패스 개발 (한국투어패스) 강릉관광 인프라 연동형 디지털 스탬프 (마크애니) DID(분산신원증명) 기반
모바일 신분증 및 스마트 CCTV 관제 서비스
º (창원시) 수소 에너지 선도 도시로서 수소연료전지 기반의 전기자전거 서비스를 도입
- (에너지 인프라 개선) 소형 그린수소 생산공급 설비를 기반으로 수소연료전지 전기자전거를 마이크로 모빌리티 공유시스템으로 제공해 시민 이동 편의성 제고
※ (이플로우) 그린수소 생산기술 및 수소연료전지전기자전거 개발
º (부천시) 시내에 위치한 공단의 미세먼지 등 시민 불편 해소를 위해 일대(오정동, 부천동, 중동, 상동)를 스마트 미세먼지 클린 특화단지로 조성
- (스마트 미세먼지 클린) △우리 동네 미세먼지 정보제공 서비스 △공업단지 비산 먼지 해결 서비스 △통학로 청정 안심공기 제공 △지하철역 미세먼지 저감 서비스 등
프로젝트 추진
□ 광역시·자치도는 지역 공사·기관 등과 연계하여 주차 인프라의 디지털 전환 등 상대적으로 대형 프로젝트를 추진
º (대전광역시) 슬로건인 시민이 편리하고 안전한 도시를 위한 주차공유서비스, 무인드론 안전망 구축 등 추진
- (주차공유서비스) 민간주차장을 개방하고 공공주차장과 주차정보를 연계하여 주차편의를 제공
※ (DICIA·CNCITY·연무기술) 주차공유 서비스 플랫폼 개발 (에어포인트) 저전력 광역 IoT 솔루션 기술 (파킹클라우드) 무인정산기, 차량차단기, 디지털사이니지 등
주차정보 모니터링 솔루션
- (무인드론안전망서비스) 자율항행 무인드론으로 시내를 실시간으로 모니터링하고 사고 발생시 신속하게 실시간 현장을 파악하고 대응할 수 있도록 지원
※ (한컴인스페이스) 무인 드론 스테이션 기반 플랫폼 서비스(드론상태 및 영상 모니터링 솔루션, 기상데이터 등 자동 인지 및 실시간 데이터 처리기술, 객체 추적) 개발
º (부산광역시) 장애인, 고령자 등 교통약자들의 대중교통 불편해소를 위한 배리어 프리 스마트 교통과 대표 관광도시로서 관광객 편의 지원 프로젝트를 중점 추진
- (배리어프리 스마트교통) 장애인 대중교통 탑승 보조를 위한 전용 안내 서비스와 편의가 보장되는 정류장, 응용서비스 등을 도입하여 장벽 없는 대중교통 인프라 구축
※ (dot.) 시각장애인이 활용할 수 있는 길 안내, 발권, ATM 기능 등이 통합된 배리어프리 키오스크 (엔컴) CCTV, 비상벨, 체온측정카메라 등 통합관제가 가능한 대중교통 정류장
(협동조합 이유) 교통약자를 전용으로 하는 승차공유, DRT, 무상카풀 서비스 App ‘이동의 자유’
- (관광 지원) 실내·외를 모두 커버하는 디지털 기술 기반으로 길 안내, 지역안내 서비스를 제공하여 관광객 편의를 제고하고 지역경제 활성화에도 도움
※ (제로웹) 실내 측위 장비를 기반으로 복잡한 지하철 역 3D맵 제공 및 이동·환승 경로 안내 서비스 (플럭시티) 3D 지도를 가시화하고, 일반인·장애인에 따라 특화된 안내 서비스를 제공하는 솔루션
º (대구광역시) 안전한 대구광역시 조성을 위해 통신관로, 전기선로 등 지하매설물 관리 시스템과 상하수도 디지털 관리 프로젝트, 청소년 안심귀가 플랫폼 등 추진
- (MR(혼합현실)기반 지하 매설물 관리) 5G 네트워크를 활용하는 지하 매설물 점검 MR시스템 적용을 통해 통신관로 등 도시 인프라 관리를 효과적으로 관리
※ (AR미디어웍스) 3차원 공간인식 솔루션·매설물 점검 및 정보공유·원격지원 플랫폼
- (상하수도 관리) 상·하수도 상태 등 지하 시설물을 모니터링하고 관리 할 수 있는 ‘스마트맨홀뚜껑’을 도입하여 안전성과 편의성 제고를 도모
※ (이엔아이씨티) 무선통신 모듈, 태양전지를 탑재한 맨홀뚜껑과 관련 솔루션 개발
- (청소년 안심귀가) 귀가자를 인식하고 관제망에서 동선 등을 추적, 관리 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여 안전한 청소년 귀가 길 조성
※ (엠제이비전테크) 엣지형 AI 기술이 탑재된 CCTV 기반 스마트 관제 솔루션
º (제주특별자치도)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위한 그린도시 구축, 친환경 모빌리티 서비스 등 탄소중립 관련 프로젝트를 추진
- (에너지 인프라 개선) 신재생 에너지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에너지 불균형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관리시스템(EMS), 에너지 거래플랫폼 등 디지털 기술들을 도입
※ (레플러스) 도시에너지통합정보플랫폼(TEMS) 구축 (메티스정보) 신재생에너지 직접거래 솔루션 (KAIST) 잉여에너지 분산 허브 개발
- (전기차 충전 및 인프라) 전기차 확대에 따라 부족한 인프라 확충·보완을 위해 신개념 에너지 충전소 도입, 전기차 충전기 성능 개선 등 프로젝트 추진
※ (GS칼텍스) 내연·전기차를 통합 지원하는 에너지 충전소 (진우소프트이노베이션) 충전용 인프라를 통합 운영·관리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
- (마이크로 모빌리티 사업) 전동 공유 킥보드 사업 ‘이브이패스’ 통해 친환경 관광 편의성 증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