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독일, 수소경제 가치사슬 구현을 위한 4개 분야 권고안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독일
  • 생성기관 연방경제에너지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09-10
  • 등록일 2021-10-15
  • 권호 200

□ 독일 수소 연구 네트워크*는 수소경제 가치사슬과 연구개발 수요에 따른 전문가 그룹으로, 최근 4개 관련 부문 기술 및 산업정책 권고안을 제시(`21.9)

* 수소 연구 네트워크(Forschungsnetzwerk Wasserstoff)는 독일의 국가 수소 전략 사업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으며, 수소 관련 개방형 융합형 포럼을 통해 다양한 정책 의견을 수렴


º 수소 및 부산물 기반 제품 생산, 관련 인프라 및 활용에 이르는 전체 가치사슬에 걸친 연구개발 수요를 정리하였으며, 미래 기술, 제도, 사회경제적 사안도 고려


1) 수소 제품 및 부가 제품 생산


º 저 탄소 경제, 수소 및 이를 기반으로 한 제품 생산은 지속가능한 사회를 위한 시작이며, 다양한 생산 기법에 대한 검토와 적용이 필요


- (중점 연구개발 분야) 수소 가치사슬의 경제효과 및 환경 영향 분석, 수소 공정열, 촉매 및 관련 소재 통합, 운영, 관리, 수소부가 제품 생산에 관련된 전체 생산 공정 최적화 등



6-1.JPG
6-2.JPG

2) 인프라 및 시스템 통합


º 전기 수급 병목 현상 해소 뿐 아니라 기후 목표 실현 및 경제성 확보를 위해서는, 전기-수소 시설 간의 원활한 전략적 통합이 절실


- (중점 연구개발 분야) 시스템 최적화, 수소 시스템 도입을 통한 수익 모델 구축, 공급망에서의 높은 수준의 안전성, 전세 시스템 지속 가능성 및 탄력성 강화


- (주요 응용분야) 지상, 해상, 철도 수소 운송 인프라, 파이프라인 운송 및 분배망, 파이프라인 가스 운송 및 대륙-국가간 운송 등


3) 수소 사용


º 수소는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거의 모든 부문에서 사용할 수 있으나 사용 시나리오별로 기술적 성숙도는 큰 차이를 나타냄


- (중점 연구개발 분야) 안전하고 효율적인 H2 연소를 위한 기술 개발: 버너 개발, 엔진 개발, 화염 모니터링, 배출, H2 대기 및 H2 연소로 인한 가스의 재료 적합성 연구 등


- (주요 응용분야) 소재, 공정열 및 중기 에너지 사용 등


4) 안전, 수용성, 지속가능한 시장 도입


º 수소 가치 사슬은 생산, 인프라, 응용 시나리오를 모두 포함하지만, 이를 통합적인 관점에서 구현할 수 있는 각종 사회, 경제, 기술적 수용 조건을 마련해야 함


- (중점 연구개발 분야) 수소 기술 관련 안전 규정, (글로벌)표준 마련, 신기술 수용 및 지속가능성, 시장 도입에 따른 효과에 대한 전체론적 시각 필요


- (주요 응용분야) 안전 관련 우려 해소를 위한 각종 지식 전달 활동 및 수요 기반 컨셉트 추가 개발, 품질 기준 마련을 위한 표준 개발 등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