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韓 인공지능・플랫폼 기업, 기술・경험 축적해 해외 진출 활기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지디넷코리아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09-28
  • 등록일 2021-10-15
  • 권호 200

□ 음성인식자율주행 등에서 활약하는 국내 스타트업, 글로벌 시장 공략 박차


º 우수한 기술력과 노하우 및 창의적 아이디어로 국내 시장에서 경쟁력을 인정받은 다수의 인공지능 스타트업이 새로운 기회확보와 수익창출을 위해 해외 시장 노크


- 중국유럽 등에서 현지 서비스 출시, 법인 설립, 계약 체결 등을 기반으로 외연 확장



1-1.JPG


º (음성인식 기술개발 스타트업, 리턴제로) 국내 최초 눈으로 보는 통화 앱 비토(VITO)’의 중국 버전 수지바오출시


- 국내 서비스 운영을 통해 쌓아 온 데이터셋과 한국어 음성인식 기술력을 바탕으로 최근 중국 버전을 출시하며 해외 시장 개척 포문


- 세계적으로 모바일 메신저 소통이 대세가 되었지만 중국은 문화언어적 특성상 음성기반 커뮤니케이션이 여전히 활발해 관련 기업에게 많은 기회가 열려 있는 국가 중 하나


- 중국 버전 서비스명을 빠르게 기록하는 보배(속기보)’라는 뜻의 수지바오(Sujibao)’로 짓고 지난 8월 텐센트 앱 마켓에 서비스를 등록, 중국 음성인식 시장 공략에 본격 돌입


- 비토는 음성 데이터가 축적될수록 더욱 정교하게 진화하는 모델을 가진 인공지능 통화 앱으로 14억 인구의 중국 시장에서도 긍정적 성장 기대


º (음성합성대화형 챗봇 등 기술력을 보유한 딥브레인AI) 중국 메이저 방송사인 베이징방송, 칭하이 방송 총 2곳과 인공지능 아나운서기술공급 체결


- 딥러닝 기반의 영상합성, 음성합성 원천기술을 모두 보유한 딥브레인AI는 사람처럼 말하고 반응하는 실시간 양방향 소통 가능한 인공지능 휴먼 분야에서 독보적 기술 보유


- 국내 방송사를 대상으로 인공지능 휴먼 기술을 공급하여 MBN 김주하, LG헬로비전 이지애 아나운서를 완벽하게 구현하고 안정적인 서비스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는 점에서 

높이 평가


- 이번 중국 방송국에 공급하는 인공지능 아나운서 역시 딥러닝 인공지능 기술을 통해 인공인간을 만들어내는 기술


- 실제 아나운서 영상음성 데이터를 학습한 인공지능에게 텍스트를 제시하면 아나운서와 동일한 발음, 억양, 제스처 등으로 뉴스 제공


- 딥브레인AI는 인공지능 아나운서를 비롯한 인공지능 은행원튜터쇼호스트를 비롯해 키오스크, 커머스 등으로 서비스 확대 계획


º (인공지능 학습데이터 가공 플랫폼 전문기업, 에이모) 영국 워릭셔에 위치한 MIRA 테크놀로지 파크에 첫 유럽 사무소를 개소(8.2)하며 현지 진출 본격화


- MIRA 테크놀로지 파크*는 글로벌 자동차 기업의 자율주행 연구를 지원하는 유럽 최고의 자동차 기술 클러스터

* MIRA 테크놀로지 파크에는 재규어, 랜드로버, 도요타, 혼다, 보쉬 등 글로벌 자동차 기업을 비롯해 1차 협력사, 자동차 OEM 기업, 핵심 부품 기업이 다수 입주


- 이미 국내에서 현대차카카오모빌리티경기도 자율주행센터 등과 지속적인 파트너십을 유지하며 자율주행 분야 기술력 제고


- 이번 유럽 사무소 개소를 계기로 현지 자율주행 기업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다양한 협업을 통해 고품질 자율주행 데이터를 제공 계획


□ 첨단 영상판독기술 등 인공지능 기반 의료기기 분야에서도 두각


º 세계적으로 인공지능 의료기기 시장규모가 빠르게 성장하면서 국내 의료 인공지능 기업도 글로벌 기업과 파트너십 체결, 대규모 투자 등 새로운 활로 모색


- 코로나19 출현과 팬데믹이 장기화되면서 신약개발, 의료영상, 정신건강, 보조로봇 등 의료 분야의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관심과 도입 논의 속도


- CTMRI 같은 고가 의료장비 보급률이 낮은 개발도상국이 코로나 팬데믹을 경험하면서 선진 의료기술 도입을 통해 보건의료수준을 획기적으로 높이고자 하는 니즈 등이 

맞물려 국내 기업 진출 촉진


º (제이엘케이) 인공지능 기반 폐질환 분석 솔루션 JVIEWER-X에 대해 태국 인허가를 획득


- 폐질환 분석 솔루션은 인공지능 기반으로 흉부 X-레이를 분석해 이상 부위를 시각화함으로써 보다 면밀하고 신속한 영상분석을 제공하며 의료진의 폐질환 진단 보조


- 또한 인공지능 경량화 기술로 노트북에도 설치가 가능하고 휴대용 X-레이 장비에도 연동이 가능해 인터넷이나 전력 상황이 불완전한 개발도상국에서도 활용성 극대화


- 이번 인허가는 글로벌 보건의료 환경 개선에 많은 역량을 투입하고 있는 포스코인터내셔널과 체결한 전략적 협약의 첫 번째 결과물로 태국 인허가를 기점으로 양사는 우수한 K-의료의 밸류체인을 동남아 시장부터 구축한다는 전략

현재 유럽호주뉴질랜드동남아 등에서 약 40개 인공지능 솔루션 인허가 획득


º (딥노이드) 노바티스인텔알리바바 등 글로벌 기업과 함께 인공지능 의료기기 상용화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해외 판로 개척


- 노바티스와 강직성 척추염 분야 솔루션 개발 및 사업화 프로젝트를 전개하고 있으며 알리바바와 중국 시장을 겨냥한 서비스 준비 중


- 인텔과 인도네시아 4개 종합병원 내 인공지능 원격진료 시스템을 구축해 운영


- 현재 주력하고 있는 의료영상 판독 외 발병재발 예측, 의료 빅데이터 등으로 의료 부문 영역을 확대하고 비 의료부문 진출도 속도를 낼 계획


º (뷰노) 일본에 이어 대만 등에 해외 판로 개척에 성공하면서 코로나19 위기 상황의 다양한 의료 현장에서 기술력을 인정받겠다는 구상

국내 1호 인공지능 의료기기인 뷰노메드 본에이지를 필두로 뷰노메드 딥ASR 뷰노메드 딥브레인 뷰노메드 체스트 엑스레이 뷰노메드 흉부 CT AI 

뷰노메드 펀더스 AI PROMISE-I 뷰노메드 딥브레인AD 등 여러 개의 의료 인공지능 솔루션 보유


- 지난 2020년 소니 자회사인 엠쓰리와 인공지능 솔루션의 일본 내 판권 계약을 맺었으며 올 초 대만 종합 의료기업인 CHC 헬스케어 그룹과 의료 인공지능 솔루션 4종에 대한 총판 계약 체결


- 이어 지난 8.31일 인공지능 기반 흉부 엑스레이 영상 판독 보조 솔루션(뷰노메드 체스트 엑스레이)이 대만 식품의약품청으로부터 제조판매허가 획득


- 이를 계기로 현재 허가를 준비 중인 뷰노메드 흉부CT AI, 뷰노메드 펀더스AI, 뷰노메드 본에이지 등 뷰노메드 솔루션도 조만간 제조판매허가를 받을 것으로 예상


- 글로벌 수준의 ICT 인프라를 기반으로 정부가 주도하는 신규 헬스케어 솔루션 도입 방침을 통해 아시아의 디지털 헬스케어 강국으로 급부상하는 대만 시장 정조준


º (루닛)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개발회사로 출발했으나 후지필름과의 파트너십(’18)이 좋은 성과를 보이면서 다양한 글로벌 의료기기 기업과 파트너십을 맺는 발판 마련


- 후지필름과 공동 개발한 인공지능 기반 흉부 엑스레이 분석 시스템 ‘CXR-AID’ 일본 의약품의료기기종합기구(PMDA) 인증 획득(8.12)


- 인도 인공지능 기반 건강검진센터에서도 루닛의 영상 진단 인공지능 소프트웨어 루닛 인사이트 MMG’를 판독에 활용


- 현재 영국태국베트남터키중동아프리카 등 13개국 이상에서 코로나19 검사 및 결핵 검출을 위한 의료 장비 수출


□ 우아한형제들카카오웹툰쿠팡 등 플랫폼 영향력도 확대


º 국내에서 탄탄한 경험과 노하우를 축적한 플랫폼 사업자가 동남아 등 글로벌 시장으로 확장하며 가시적 성과 창출


- 상업용 부동산 토털솔루션 기업인 알스퀘어를 비롯해 카카오엔터테인먼트의 웹툰 플랫폼 카카오웹툰’, 우아한형제들의 배달앱 배달의민족’, 이커머스 플랫폼 쿠팡등이 

대표적



1-2.jp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