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글로벌 인공지능 지수, 韓 5위…'개발능력·인프라' 상위권 원문보기 1

  • 국가 주요국
  • 생성기관 tortoisemedia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10-13
  • 등록일 2021-10-29
  • 권호 201

□ 글로벌 인공지능 경쟁력, 미국중국 선두 속 한국 약진


º 영국 데이터 분석 미디어 토터스 인텔리전스(Tortoise Intelligence)는 매년 세계 인공지능 투자, 혁신, 실행수준을 기반으로 한 글로벌 AI 지수(The Global AI Index)’ 

조사분석


- Capita, Element, AI IE University, The Alan Turing Institute 등 기업연구소와 함께 62개국의 인공지능 기술개발 현황을 실행, 혁신, 투자의 3가지 분류 내 7대 하위 분야

143개의 세부 지표 기준으로 평가

(실행)인공지능 운영, 작업 환경을 담당하는 실무자 및 기타 작업자에게 중점을 두는 동시에 교육 기반과 사회기반 시설 고려 (혁신)알고리즘과 플랫폼을 만들기 위한 연구 및 

전문가의 가용성을 고려 (투자)인공지능에 초점을 맞춘 벤처기업에 대한 자본의 흐름 고려


- 지표별 가중치는 분야별 전문가와 협의를 통해 중요도에 따라 부여


- 한 국가의 총 점수는 7대 분야에 속해 있는 모든 지표의 정규화된 가중치 합계로 구성



1-1.JPG



- 순위는 1위 미국(100), 2위 중국(58.2), 3위 영국(39.7), 4위 캐나다(37.6), 5위 한국(36.0), 6위 이스라엘(35.4), 7위 독일(35.3), 8위 네덜란드(33.9), 9위 싱가포르(33.7), 

10위 프랑스(33.3)



1-2.JPG



1-3.JPG



- 미국은 전반적으로 최고 평가를 받으며 인공지능 강국의 면모를 보였으며 중국은 운영환경(95.6)에서 미국을 앞섰지만 인재(17.2), 연구(58.4), 상용화(44.3

분야에서는 저조한 점수를 받으며 2위 차지


- 3위국 영국(39.7) 이하 국가는 점수 차이가 크지 않으며 영국은 우수한 인력과 뛰어난 학계 연구 덕에 인재(36.7), 연구(37.8) 분야에서 상위권


- 캐나다는 정부가 인공지능 연구개발에 관여하고 있는 점수를 높게 평가 받아 4, 이스라엘과 싱가포르는 인공지능 솔루션을 제공할 수 있는 숙련된 실무자 수준을 높게 

평가 받아 각각 6위와 9위 차지


□ 한국은 개발과 인프라, 정부전략에서 높은 점수를 받으며 종합순위 5위로 3계단 상승


º 5위를 기록한 한국은 개발(2)과 인프라(6), 정부전략(7)에서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특히 개발 능력에서는 세부 점수 80.4점을 기록하며 전체 2위 차지


º 우리나라는 이스라엘, 싱가포르, 일본 등과 함께 라이징스타(Rising strars)’로 분류



1-4.JPG



º (실행) 인터넷 성능슈퍼컴퓨터 보유 여부 등 인프라 분야에서 80.7점으로 일본(75.6)과 독일(72.3)을 넘어섰지만, 오픈데이터와 사이버 보안 등이 포함되는 

운영환경은 50


- 오픈데이터(공동 4), 사이버 보안(8) 등에서는 좋은 결과를 거두었으나 인공지능 신뢰 정도 등에서 하위권 차지



1-5.JPG



- 운영환경은 각국 데이터 관련 규제 강도와 AI에 대한 사회적 신뢰도 등의 여론 지표가 반영돼 순위가 매겨지며 우리나라의 경우 데이터 규제 문제가 해결되지 않은 탓에 

낮은 점수를 획득



1-6.JPG



º (혁신) 개발 분야에서 80.4점으로 중국(79.8)보다 높은 점수를 받았으며 34위를 기록한 영국(23.6)캐나다(24.6)보다도 확연한 우위 확보


- 개발 분야에서는 오픈소스 플랫폼 깃허브(Github)’에서 국가별 사용자가 인공지능 생태계 구축에 기여한 정도와 2017년 이후 출원된 인공지능 특허 건수 등이 반영되었으며 

중국과 미국에 이어 3위 기록



1-7.JPG



- 깃허브에서는 인공지능을 배울 수 있는 자습코드 파이토치 튜토리얼등을 한국 개발자들이 공개해 인기를 끄는 등 생태계 형성을 주도하며 중상위권 차지



1-8.JPG



º (투자) 77.5점으로 7위에 오른 정부 전략은 7개 평가 분야 중 가장 큰 폭 순위 상승


- 우리 정부가 201912인공지능 국가전략을 발표하고 세부 지원안을 구체화하면서 인공지능 발전 정책의 의제와 전략, 그리고 실현 가능성을 높게 평가


- 한편, 인공지능 총괄장관을 선임하고 있는 아랍에미리트를 제외하고는 인공지능 장관이 없는 것으로 조사

일반적으로 정보과학 관련 부처에서 인공지능을 담당하고 있어 지표의 한계로 파악



1-9.JP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