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글로벌 스타트업, 코로나19에도 불구하고 역대 최대 투자 유치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CBInsights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10-07
  • 등록일 2021-10-29
  • 권호 201

□ 20213분기 글로벌 스타트업, 사상 최대 투자 유치금 확보


º 금년 3분기 세계 스타트업에 투자된 금액은 1,582억 달러(1892,000억 원)종전 최대였던 20212분기의 1,510억 달러를 넘어서며 역대 최대 금액 기록(CB insights, 10.7)



4-1.JPG


-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 첨단기술 분야와 공유 경제를 활용한 기업이 크게 성장하면서 스타트업 분야로 자금이 집중 투자


- 금년 9월 중국항공공업그룹(AVIC)이 비공개 투자자로부터 185,800만 달러(22,000억 원)를 투자 받았으며 7월 야놀자는 소프트뱅크로부터 17억 달러(2조 원)의 

투자 유치


- 미국의 데이터 통합 서비스 스타트업 데이터브릭스도 816억 달러(19,000억 원) 조달


º 금년 3분기 전 세계에서 이뤄진 스타트업 투자는 9,363건으로 전년 동기(6,838)대비 37% 증가했으며 1억 달러 이상 투자가 진행된 건도 409건으로 전년 동기대비 

136% 증가


- 비대면기술 중심 스타트업이 코로나19로 반사이익을 얻고 있는 가운데 신성장 동력을 스타트업에서 찾는 대기업도 증가하며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 관심 고조


- 국내에서도 현대자동차, 네이버 등 대기업은 각각 자율주행차, 전자상거래 신규 사업을 위해 스타트업에 투자하고 있으며 통신 3(SK텔레콤KTLG유플러스), CJ, 신세계 등은 스타트업 사관학교로 불리는 디캠프(은행권청년창업재단)를 통해 신사업을 함께할 스타트업 모색


- 벤처캐피털(VC)과 기관이 아닌 개인 스타트업 투자가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며 다수의 개인이 모여 스타트업에 간접 투자하는 개인투자조합도 활성화



4-2.JPG


□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가 활기를 띠고 있는 가운데 유니콘 수도 증가 전망


º 20211012일 기준 세계 유니콘 기업 수는 860개로 202011(501) 대비 71% 증가했으며 2022년 유니콘 수는 1,000개에 이를 것으로 전망

2016(6월 기준) 1662017(8월 기준) 2412018(11월 기준) 288 2019(5월 기준) 3462020(11월 기준) 501


-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글로벌 경제 악재 상황에서도 우리나라에서는 마켓컬리두나무가 유니콘으로 탄생


- 코로나19 사태로 인하여 글로벌 시장 투자 자금이 전자상거래, 핀테크 같은 비대면 분야 스타트업으로 집중하면서 유니콘 증가 속도도 빨라질 것으로 예상


□ 국내 스타트업 대규모 투자도 잇따라


º 코로나19에 따른 경기침체에도 비대면 등 미래 첨단기술 중심의 초기 스타트업이 주목받으면서 선제적 투자가 크게 증가


- 금년 상반기 스타트업 전체 투자액은 전년(17,893억 원)대비 186% 증가한 51,253억 원으로 사상최대 기록(스타트업레시피, 7.20)


º 독창적인 기술력과 아이디어, 성장 잠재력 등을 인정받아 인공지능, 헬스케어, 교육 플랫폼 등 미래 성장 가능성이 높은 곳에 100억 원 이상의 대규모 투자가 집중

- 수년 전만 해도 시리즈A에 투자금 약 20~30억 원이 들어오는 것이 일반적이었지만, 최근 유망 스타트업에 투자 크게 증가



4-3.JPG


- 인공지능 기반 영상 편집기 브루*, 모바일 스캐너 브이플랫등을 출시한 인공지능 전문기업 보이저엑스가 300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 유치(6.23)

* ‘브루는 문서를 편집하는 것처럼 영상을 쉽게 편집할 수 있게 지원하고 브이플랫은 인공지능 기술로 문서나 책의 곡면을 평평하게 스캔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스캐너


- 화상 영어교육 플랫폼인 링글을 운영하는 링글잉글리시에듀케이션서비스*200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

* 링글은 아이비리그 등 영미권 명문대 출신 튜터와 영어 토론을 하며 실시간 교정을 받는 일대일 화상영어 서비스로, 영어 교육의 효율성을 높이고 사교육 시장의 대안으로 부각


- 고령사회의 요양 및 돌봄 서비스를 겨냥한 시니어 헬스케어 플랫폼 케어닥*도 최근 총 106억 원 규모의 시리즈A 투자를 유치

* 케어닥은 국가기관 평가와 실사용자 후기 등 검증된 정보를 기반으로 전국 요양 시설과 노인 돌봄 서비스 전문가를 중개하는 서비스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요양보호사간병인 경력

돌봄 이력 등 종합 정보를 간편하게 확인 가능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