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영국, AI 국가전략 발표… 장기전략으로 AI 초강대국 유지 목표 원문보기 1

  • 국가 영국
  • 생성기관 영국 디지털문화미디어스포츠부(DCMS)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09-01
  • 등록일 2021-11-12
  • 권호 202

□ 미래 디지털 환경 변화 대응을 위한 정책 개발 및 지원에 적극적인 영국 정부


º 산업전략(Industrial Strategy: building a Britain fit for the future) 발표(2017, 기업에너지산업전략부(BEIS))


- 영국을 AI 혁신의 글로벌 중심지로 만들겠다는 비전을 제시하고, 국가 생산성과 소득 증대를 위한 5대 기반요소(아이디어, 사람, 인프라, 기업 환경, 지역)를 

강화하기 위한 정책 제시


- 2027년까지 R&D 투자를 GDP2.4%까지 확대, R&D 세액 공제 12%로 확대, 산업전략챌린지펀드 프로그램에 72,500만 파운드 추가 배정, STEM 분야에 

4억 600만 파운드 증액, 국가 재훈련계획 수립에 6,400만 파운드 투자


- 5G 기술에 17,600만 파운드, 광섬유 네트워크에 2억 파운드 등 디지털 기반시설 확충에 10억 파운드 제공 등


- 딥마인드, 바빌론, 스위프트키 등 세계적 AI기업을 보유한 민간부분과 정부 간 협력 강화로 2030년까지 영국 경제에 2,320억 파운드의 부가가치 창출

산업전략 후속조치로 정부와 산업계가 9.5억 파운드 규모의 AI Sector Deal 발표(20184)


º 국가 데이터 전략(National Data Strategy) 발표(2020, 내각사무처(Cabinet Office) 및 디지털문화미디어스포츠부(DCMS))


- 경제 전반에 걸친 데이터의 가치 실현, 성장하고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거버넌스 유지 등 비전을 제시


- 정부 데이터최고책임자(CDO) 신설 및 정부 내에 데이터 고위관리자 채용 등을 통해 범부처 거버넌스 매커니즘 구축, 2021년까지 공공부문 내 500명의 데이터 

분석가 양성, 중소기업 재직자를 위한 데이터 관련 온라인 교육시스템 구축, 데이터 가용성 제고를 위한 정책프레임워크 개발, 스마트 데이터 이니셔티브 적용범위 

확장 등 정책과제 제시


º 향후 국가 사이버 전략(National Cyber Strategy), 디지털전략(Digital Strategy), 국가 회복력 강화전략(National Resilience Strategy) 등 발표 계획

영국 정부의 정책 수립 시 AI위원회(AI Council)가 관련 정보 및 자문 제공 등 핵심 역할 수행



5-1.JPG


□ AI국가전략을 통해 향후 10년 간 AI분야 초강대국 지위 유지가 목표


º 본 전략은 AI부문에서 영국의 강점을 기반으로, 민간과 공공 부문을 불문하고 AI가 가지는 복원력생산성성장혁신을 촉진하는 잠재력을 인식하면서 AI에 대한 

영국의 태세 전환을 알리는 출발점의 의미


º 향후 10년에 대한 세 가지 가정을 토대로 본 전략 수립


- AI의 발전, 발견 및 전략적 우위의 주요 동인은 인력, 데이터, 컴퓨팅 및 자금에 대한 접근성이며, 이들은 모두 거대한 글로벌 경쟁에 직면


- AI는 대부분의 경제에서 주류가 될 것이며, 영국의 모든 부문과 지역이 이러한 전환으로부터 혜택을 받도록 하는 조치가 필요


- 영국의 거버넌스 및 규제 체제는 AI의 급변하는 요구에 발맞춰 성장과 경쟁을 극대화하고, 혁신에 있어 영국의 우위를 견인하며, 시민의 안전, 보안, 선택 및 권리를 

보호해야 함


º 이에 본 전략에서는 다음의 3대 목표를 설정


- AI 생태계의 장기적 요구에 대한 투자 및 계획으로 과학 및 AI 초강대국으로서의 리더십 지속


- AI 기반 경제(AI-enabled economy)로의 전환을 지원하여, 영국이 혁신의 혜택을 누리고 AI가 모든 부문과 지역에 혜택을 제공할 수 있도록 보장


- 혁신과 투자가 장려되고 국민과 영국의 기본 가치가 보호되는 국가적국제적 AI 기술 거버넌스를 정립



5-2.JPG


□ 전략적 투자 분야, 포괄적 혜택, 거버넌스 등 3개 영역(Pillars)에 걸쳐 정책 제시


º (정책영역 1) AI 생태계를 위한 장기 니즈에 투자


국가 AI연구혁신프로그램(National AI Research and Innovation Programme) 출범


- AI 원천기술 연구에 대한 투자 확대와 동시에 특정 AI 응용연구에 대한 임계치 이상의 자금 지원


- 이를 위해 영국의 연구혁신 총괄기관인 UKRI 산하 연구회(Research Councils)Innovate UKR&D 프로그램을 조정

영국은 R&D 투자 확대, 미국 DARPA를 벤치마킹한 변혁적 연구 지원기관으로 Advanced Research and Invention Agency(ARIA) 설립 발표 등 R&D부문에 대한 강력한 

지원 및 혁신 의지를 표명

국가 AI연구혁신프로그램은 충분한 국내 역량에도 불구하고 고립되고(siloed) 영역별로 분절된 영국의 AI 환경에서 포괄적이고 상호 연계된 분야 간 연구 및 

혁신 에코시스템으로 전환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


AI R&D에 대한 글로벌 대화를 주도하고, 세계와의 과학기술 제휴 및 파트너십을 AI 중심으로 전개


- 세계 파트너들과 AI 문제에 공동 대응하고, Horizon Europe 등을 통해 유럽 연구자들과 협업


- AI 개도국과의 파트너십 지원을 위해 해외개발원조 활용


- 미국-영국 AI R&D 협력 선언(the US-UK Declaration on Cooperation in AI R&D)을 통해 새로운 이니셔티브 추진


영국의 세계 선도적 지위 유지에 핵심이 되는 다양하고 재능있는 인력을 양성


- 업무 환경에서 AI 활용에 필요한 사항의 범위를 지정하고, 교육부와 함께 스킬 밸류체인(Skills Value Chain)을 통해 이를 충족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며

스킬 부트캠프를 통해 AI 및 데이터 사이언스 스킬을 습득


- 고급 인재 및 석박사 인재양성 지원을 지속하고 세계 최고의 팀 및 협업 활동을 개발하며, AI 분야 우수 인재를 지속적으로 유치 및 육성


- 국립컴퓨팅교육센터(NCE) 지원을 통해 어린이와 광범위한 인구 계층의 AI교육 접근가능성을 확대


- 신규 및 기존 비자 루트를 활성화하여 AI 유망주 및 대가들로 하여금 영국으로 이주할 매력적인 기회를 제공


경제의 더 많은 부문들이 향상된 데이터 가용성을 누리도록 정부 역할을 설정하는 정책 프레임워크를 준비


미래의 국가 사이버-물리 기반구조프레임워크에 대한 잠재적 역할과 대안들을 논의하고, 상호 운용 가능한 디지털 도구와 플랫폼, 사이버-물리 또는 리빙 랩이 

어떻게 결합되어 혁신가를 위한 디지털물리적 커먼즈*를 형성하며 AI 개발응용을 가속화하는지 규명

* 모든 사회구성원들이 접근가능한 문화적, 자연적 자원


AI 혁신, 상용화 및 확산을 지원하는데 필요한 컴퓨팅 용량에 대한 보고서 발간


AI 모델이 활용가능한 개방적이고 기계가 읽을 수 있는 데이터를 지속 공급


정부가 가치있는 AI 애플리케이션 개발을 촉진하기 위해 어떤 데이터셋을 의도적으로 장려 또는 규제해야 하는지 검토


반도체 분야에 대한 영국의 국내외 정책을 넓은 관점에서 검토. AI의 상업적, 혁신적 우선순위를 고려한다면 반도체 설계 부문에 대한 추가 지원이 필요할 수 있음


영국에서 AI 기술을 개발하는 혁신기업을 대상으로 자금 지원 현황 평가


영국 경제의 성공과 국민의 안전은 잠재 적국의 외국인 투자에 대해 신속하고 결정적인 조치를 취할 수 있는 정부 능력에 달려있으므로

영국이 세계와의 비즈니스에 개방을 유지하는 한편으로 국가안보및투자법(National Security & Investment Act)을 통한 보호조치도 병행


향후 무역 협상 시 국가 간 데이터 이동 촉진, 국경을 넘는 데이터에 대한 부당한 장벽 방지 및 영국의 높은 개인데이터 보호 표준 유지와 함께 

디지털 신기술(AI 포함)에 대한 조항을 포함


º (정책영역 2) 모든 영역과 지역이 AI 혜택 수혜


잠재력이 높으나 AI 성숙도가 낮은 분야에서 AI 기술의 개발과 채택을 촉진하기 위한 프로그램*AI연구혁신프로그램 일환으로 착수

* 상용화 지원을 위한 것으로, 초기 혁신가의 제품과 서비스가 잠재적 시장 기회에 접근할 수 있도록 지원


보건 및 사회복지 분야의 국가 AI전략(National Strategy for AI in Health and Social Care) 수립. 이를 통해 2030년까지 보건사회복지 분야 AI의 방향성이 

설정되고, 2022년 초 착수 전망


AI 정책이 과학기술을 통해 전략적 우위를 확보한다는 정부 목표를 뒷받침할 수 있도록 추진


‘Innovation Mission’ 수립 시 넷 제로(net zero)와 같은 중차대하고 현실적인 문제를 해결할 AI 솔루션의 잠재력을 어떻게 통합하는지 고려 필요. 또한 에너지 등 

넷 제로 분야에서 우리의 전략적 우위를 선점하는 야심찬 양자다자협정을 추진하고, AI 개도국의 혁신생태계 지원을 위한 영국의 원조 확대 등 보완 방안도 요구


실제 응용상황을 반영하여 AI 도전과제에 대한 개방형 저장소를 구축


- 보다 광범위한 시민 사회가 Missions Programme을 통해 식별되고 AI연구혁신프로그램이 제시한 전략적 우선순위에 대한 실제 솔루션을 식별하고 구현할 수 

있도록 함


경제 전반에 걸친 AI 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 요인에 대한 연구 수행


국방부 AI 전략 수립


- 국방 AI센터(Defence AI Centre) 신설에 대한 세부 사항을 포함하여, 영국이 국방분야에서 기술적 우위를 달성하고 유지하며 방위과학의 초강대국이 되기 위한 

방안 제시


º (정책영역 3) 효과적인 AI 거버넌스


AI 관리 및 규제에 관한 친 혁신적 국가 기조 개발


CDEI(데이터윤리혁신센터) 인증로드맵(assurance roadmap)을 공표하고, 이를 통해 영국에서 성숙한 AI 인증 생태계가 발전하도록 지속 노력


AI Standards Hub를 시범 운영하여 AI분야 글로벌 표준에 대한 영국의 참여를 조율하고, 영국 AI 생태계가 글로벌 AI 표준화 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I 표준 참여 툴키트개발 모색


AI 관리를 위한 국제 프레임워크, 국제 규범 및 표준 형성에 참여하고, 인권, 민주주의적 원칙 및 법치주의가 글로벌 AI 질서에 반영되도록 지속 참여


국가 AI 연구혁신 프로그램을 통해 AI 기술의 신뢰도, 수용성, 채택 가능성 및 투명성에 관한 새로운 역량의 지속적인 개발을 지원


국방부가 AI를 채택 및 활용 시 사용할 지침 개발


알고리즘 투명성을 위한 정부 부처 간 표준 개발


Alan Turing Institute와 협력, 공공 부문의 AI 윤리와 안전에 대한 지침 개정


장기적인 AI 안전 및 위험을 정확하게 평가하기 위해 정부 간 프로세스를 조정. 여기에는 정부 내 기술 전문성 평가 및 연구 인프라 가치 평가 등이 포함


국가안보국방연구부문이 협력하여 재앙적 위험의 예측 및 예방 방안 연구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