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세계 스마트폰 시장, 부품 공급난 속 성장 주춤…국내기업 선전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IDC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10-28
  • 등록일 2021-11-26
  • 권호 203

□ ’213분기 글로벌 스마트폰 시장 역성장(IDCCanalys)


º 글로벌 시장조사기관 IDC에 따르면 금년 3분기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33,120만 대로 전년 동기(35,490만 대)대비 6.7% 감소한 것으로 집계(10.28)


- 세계적인 부품 부족에 따른 공급망 차질로 그동안 상대적으로 피해가 적었던 스마트폰 업계도 이제 영향권에 들어온 것으로 분석


- 또한 중국의 전력 공급난까지 겹치며 핵심 부품 제조가 한계에 다다르면서 부품 업체가 생산 목표를 하향 조정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2022년까지 부품 공급난 

문제가 지속될 전망


- 업체별로는 삼성전자가 출하량 6,900만 대, 시장점유율 20.8%1위 차지. 반도체 수급 차질로 판매량은 감소했으나 폴더블폰 등 혁신적인 라인업 판매가 호조를 

띠며 선두 유지


- 애플은 아이폰13 흥행 등으로 전년대비 20.8% 증가한 5,040만 대, 15.2% 점유율을 기록하며 샤오미를 제치고 2위 탈환


º Canalys도 올 3분기 세계 스마트폰 출하량은 32,600만 대로 전년 동기(34,800만 대)대비 6% 역성장했다고 발표


- 코로나19 사태에 따른 반도체 부족 사태가 스마트폰 출하량 감소로 이어졌으며 수급 균형이 맞추어지려면 최소 1년은 더 기다려야할 것으로 관측



3-1.JPG


- 업체별로는 삼성전자가 부품 공급 리스크로 출하량 감소에도 불구하고 선두를 유지한 가운데 애플은 아이폰13 시리즈의 강력한 초기 수요를 앞세워 2위에 안착


- 삼성전자애플에 밀려 3위를 차지한 샤오미와 4, 5위에 오른 오포비보 등 중국 업체의 괄목할만한 성장세도 주목


□ 미국 시장은 애플삼성이 양분, 유럽 시장에서는 삼성전자가 1위 탈환


º (미국) 지속적인 반도체 공급난 속에서 애플삼성전자모토로라와 같은 상위 기업은 재고 물량을 기반으로 점유율 확대


- 애플과 삼성전자는 전년 동기대비 각각 9%, 18% 성장(출하량 기준)했으며 두 기업의 점유율은 무려 77%로 미국 시장 성장을 주도


- 애플은 9월 출시한 아이폰13 교체신규 수요층을 기반으로 4분기에도 블랙 프라이데이 프로모션 행사 등을 활용해 판매를 이어갈 전망이나 부품 부족으로 생산량 축소 가능성도 제기


- 삼성전자는 성공적인 폴더블폰 출시와 함께 T모바일 등 현지 통신사와 협력한 중저가 갤럭시 A32 5G 모델 판매 등이 시장 공략에 주효했던 것으로 분석


- 아울러 LG전자 스마트폰 사업 중단에 따른 반사이익 효과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수요가 삼성전자와 모토로라로 흡수된 것도 판매량 증가 원인

애플과의 격차는 20203분기 9%p에서 20213분기 7%p로 축소. 삼성전자는 20201분기 점유율 32% 이후 가장 높은 분기 점유율 달성


- 모토로라는 모토 G플레이, 모토 G파워, 5G가 지원되는 모토 G스타일러스 등이 좋은 성과를 거뒀으며 생산 공장 대부분이 중국에 위치해 있어 베트남 공장 폐쇄의 

영향은 미미


- TCL알카텔(Alcatel)4G 칩셋 부족으로 150달러 이하 제품군이 영향을 받으며 감소세를 보였으며, 5위를 차지한 원플러스는 N200 5G 모델이 흥행했으나 

3분기 말 부품 공급난으로 타격



3-2.JPG


º (유럽) 삼성전자가 30.4%1위를 유지했으나 애플과 중국 업체 추격 거세


- 삼성전자 출하량은 전년 동기대비 16% 감소하며 점유율도 5.4%p 하락한 가운데 샤오미와 애플은 점유율 확대


- 지난 6월 월간 기준 처음으로 유럽 시장 1위에 올랐던 샤오미는 3분기 점유율 23.6%로 애플(22.1%)을 제치고 2위 차지


- 아이폰13 출시 영향으로 판매량이 전년 동기대비 24% 증가한 애플은 점유율을 4.5%p 확대하며 샤오미와 근소한 차이로 3위 랭크


- 특히 샤오미오포리얼미비보가 1년 사이 점유율 16.3%p 올라서며 빠르게 성장해 Top5 업체로 자리매김


□ 5G 스마트폰 시장은 애플 선두, 삼성전자 3


º Strategy Analytics에 따르면 20213분기 글로벌 5G 스마트폰 출하량은 15,650만 대로 전년 동기대비 121% 증가



3-3.JPG


- 전체 시장에서는 여전히 LTE 스마트폰이 가장 많이 팔리고 있지만 4분기 들어 5G로의 수요 전환이 빠르게 이루어질 전망


- 애플은 20205G를 지원하는 아이폰12 시리즈를 처음 선보인 후 올 3분기 25.4% 점유율로 5G 스마트폰 시장 1위 수성


- LTE 스마트폰 출시를 병행한 경쟁사와 달리 모든 아이폰 신제품을 5G로 판매해 단말 세대교체를 주도

9월 출시한 아이폰13 시리즈는 반도체 부족 등 공급망 차질에도 불구하고 첫 달 판매량 927만 대 기록


- 3위를 차지한 삼성전자(14.7%)2위 샤오미(15.6%), 4위 오포(14.4%)와 근소한 차이로 접전. 이어 비보가 11.1% 점유율로 5, 화웨이에서 분사한 아너가 6.8%로 

6위에 랭크


- 중국 업체는 자국 시장의 5G 보급에 힘입어 글로벌 시장에서도 세를 확대한 것으로 분석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