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EU, 5G 기반 모빌리티 분야에서 5G PPP 성과 본격 창출 원문보기 1

  • 국가 유럽연합(EU)
  • 생성기관 5G PPP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11-26
  • 등록일 2021-11-26
  • 권호 203

□ 국경 넘나드는 5G 모빌리티 서비스 시연하며 5G PPP 성과 가시화



6-1.JPG



º 5G PPP(Public Private partnership) 3단계 프로젝트 일환으로 실제 도로 환경에서 5G 망을 활용한 융합 서비스 검증을 위해 

‘5G CroCo(5G for Cross border Control)’ 결성


- 국경 간 5G 기반 CCAM(5G for Cooperative Connected and Automated Mobility) 서비스를 끊김과 중단없이 연결할 수 있는 기술적 완성도를 갖추기 위한 

실증실험 프로젝트


- 이를 위해 5GNR, MEC 지원 분산 컴퓨팅, 네트워크 슬라이싱 및 향상된 측위 시스템과 같은 다양한 5G 통신 인프라를 조성할 예정


- 5G CroCo 회원사에는 화웨이, 노키아, 에릭슨과 같은 통신장비회사, 오렌지 등 통신회사, 볼보폭스바겐과 같은 완성차 업체가 속해 있어 공급망과 수요산업 간 

원활한 협업이 가능



6-2.JPG


º 이들 회원사는 금년 10월 메츠(Metz)-메르치히(Merzig)-룩셈부르크(Luxembourg) 도시를 연결하는 국경 지역에서 5G 기반 CCAM 서비스 시연에 성공


- 시연에서 원격운전, 차량용 고화질 지도 생성, 충돌 회피 서비스 등을 선보였으며 이를 통해 5G NR(뉴라디오, 표준기술)과 서비스 연속성

모바일에지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 종단간 서비스 품질, 네트워크 슬라이싱 등을 검증


- 5G망 활용을 통해 모빌리티 서비스 핵심 요구 사항인 종단 간 지연시간을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점을 확인



6-3.JPG


- 또한 모바일에지컴퓨팅(MEC: Mobile Edge Computing)5G 기반 클라우드 기술을 활용해 공용인터넷보다 더 안정적인 서비스 구현이 가능하다는 것을 증명


- 이번 시연 결과가 5G 모빌리티 관련 표준화 및 상용화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


□ 우리나라도 한국형 ‘5G PPP’ 계획 발표하며 5G+ 융합서비스 민간 확산 유도


º 정부는 2022년부터 5G 포럼 등 공급과 수요 협단체 간 협의를 통해 민간 중심으로 5G 융합서비스 확산을 지원하는 한국형 5G PPP’를 운영할 예정


- 한국형 5G PPP는 유럽연합이 운영하는 5G PPP 모델을 참조해 5G 기반 스마트도시, 스마트교통, 스마트공장 등 서비스 분야 기업이 산업 실무 현장에서 

직접 기술을 교류하며 융합서비스 모델 개발에 협력할 수 있는 구심체


- 5G+ 산업융합 혁신센터에서 실무 지원이 이뤄질 예정으로 민간 주도 28대역 시범실증 사업을 추진하는 한편 현장에서 제도기술적 애로사항을 청취해 지원 

방안을 마련할 방침


- 이번 전략이 차질 없이 추진 될 경우 5G 적용 현장은 금년 195개에서 2023630, 20263,200개로, 5G 전문기업은 올해 94개에서 

2023330, 20261,800개로 늘어날 것으로 예상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