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WEF, COVID-19 팬데믹 이후 중소기업의 디지털 기술 도입 현황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세계경제포럼
  • 주제분류 기술혁신지원
  • 원문발표일 2021-12-15
  • 등록일 2022-01-14
  • 권호 206

□ 세계경제포럼(WEF)은 COVID-19 팬데믹을 전후로 중소기업의 디지털 기술 도입 현황 발표*(’21.12)

* COVID-19 and Technology Adoption in Small and Medium-Sized Enterprises: The Impact and the Way Forward

※ 2021년 2월과 8월 사이 6개국(아제르바이잔브라질콜롬비아카자흐스탄터키남아프리카공화국), 21개 산업(건설무역기계금속자동차식품항공우주직물농업화학 등내 141개 중소기업과 34개 대기업을 대상으로 수행된 설문조사와 인터뷰 바탕


º 중소기업은 COVID-19 팬데믹을 겪으며 사물인터넷빅데이터클라우드인공지능, VR/AR 등 디지털 기술을 폭넓은 부문에 적용하고 더 깊이 통합하는 것에 관한 관심이 높아졌음


특히 사물인터넷(19%), 클라우드(16%), 빅데이터(16%) 등의 디지털 기술에 큰 관심을 보였으며, COVID-19 팬데믹 이전과 이후에 관심 기술 분야가 크게 달라짐


디지털 기술을 적용할 분야에 대한 문항에 대해서는 기업 운영의 민첩성과 유연성의 중요성이 높아짐에 따라 공정 최적화(19%)와 근로자 안전 향상(19%), 품질 관리(18%) 등에 관한 관심이 높아짐



8-1.JPG



º 디지털 기술에 대한 관심과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한 기술 수요 변화에도 불구하고, 중소기업은 대기업보다 디지털 기술의 도입에 대한 투자를 계획하고 있지 않은 비중이 높았으며, 팬데믹이 디지털화에 미친 영향도 상대적으로 적은 것으로 나타남


- 향후 5년 내 산업 사물인터넷(IIoT)에 대한 투자를 계획하지 않은 기업의 비중은 27%로 대기업(6%)에 비해 크게 높았으며,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있으나 명확한 투자 계획이 없는 경우도 38%로 나타남


- 디지털 기술에 대한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이의 투자 계획 차이는 중소기업이 디지털 기술의 도입에 겪는 구조적인 장애물을 시사하고 있으며, 대기업이 COVID-19 팬데믹으로 인해 디지털화가 가속되었다고 응답한 비중이 높은 것은 앞으로 중소기업이 직면할 과제가 더욱 많아질 것임을 나타냄



8-2.JPG


º 정부는 중소기업의 디지털 기술 도입을 촉진하기 위해 중소기업의 인식을 제고하고, 전문성 지원과 훈련을 제공하며, 재정적 지원과 함께 협력적 환경을 조성할 것을 촉구


- (인식 제고) 디지털 기술 적용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효과적인 기술과 성공 사례를 제공하는 온라인 플랫폼을 운영할 것


- (전문가 지원 및 역량 강화) 디지털 솔루션을 통합하는 인력 훈련과 기술 투자에 대한 경영 훈련, 성숙도 평가 도구 등 오픈소스 도구를 개발하는 활동을 지원하고 중소기업에 전문가와 지침 등 직접 자문 서비스를 제공


- (재정적 지원) 개념 증명이나 파일럿 사업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기 위해 지원금을 제공하고, 외부 전문가의 자문 비용, 인력 훈련 비용, 디지털 프로젝트 추진 비용 등을 지원


- (협력적 환경) 중소기업에 잠재적인 파트너와 사업 기회를 소개하고 우수 사례를 공유하는 온라인 커뮤니티를 제공 및 클러스터와 허브를 조성하고, 인프라를 강화하는 등 디지털 기술의 보급을 촉진하는 환경을 조성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