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中, 14차 5개년 국가 정보화 계획 수립…디지털 경쟁력 제고 원문보기 1

  • 국가 중국
  • 생성기관 중화인민공화국중앙인민정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1-12-28
  • 등록일 2022-01-14
  • 권호 206

□ 2025년까지 5G 보급률 56%로 확대하며 네트워크 고도화 주력


º 국 공산당 중앙위원회 인터넷보안·정보화위원회(中央网络安全和信息化委员会)14 5개년(2021~2025) 국가 정보화 계획발표(2021.12.27)


- 중국 내 이동통신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10가지 중대 업무와 17개 중점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세부적으로 달성해야 할 목표 제시



3-1.JPG


- 202015%에 그쳤던 5G 이동통신 보급률을 2025년까지 56%로 끌어올리고 동 기간 인터넷 이용자 수는 98,900만 명에서 12억 명으로 확대할 방침


- 또한 2020117,600만 위안이었던 e커머스 시장 규모를 202517조 위안으로 성장시키며 ()급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온라인 처리 행정 비율을 80%에서 90%로 늘릴 계획


- 이 외에도 컴퓨터·통신·전자기기 제조업 매출에서 연구개발 비용이 차지하는 비중을 20202.35%에서 20253.2%로 높이며 자국 기업 디지털 경쟁력 향상


- 이번 계획은 미·중 대립이 격화되는 가운데 중국이 디지털 경쟁력을 강화하여 미국에 대항하기 위한 기반을 강화구축하기 위한 행보로 풀이



3-2.JPG


º 한편, 중국 정부는 현재 5G 이동통신을 자율주행, 에너지, 의료 등 연계한 사물인터넷(IoT) 체계를 갖추는 데 속도를 내고 있는 상황


- 향후 5G 이동통신을 자국 내 항법시스템(GPS) ‘베이두(BeiDou, 北斗)’ 등 위성통신과 연계할 계획


- 베이두와 지상의 각종 센서 등 네트워크를 통합해 드론, 감시 카메라 등에 적용하는 방안도 추진


□ 아울러 스마트제조업·로봇산업·의료장비업 등 3대 장비산업 집중육성 선언


º 중국 산업담당 부처인 공업정보화부(工业和信息化部)는 스마트제조업·로봇산업·의료 등 3대 장비산업 145개년(2021~2025) 발전계획 발표(2021.12.28.)



3-3.JPG


- (스마트제조업) 일정 규모 이상 대형 제조업체 70%2025년까지 기본적인 디지털화를 마무리해 인공지능, 5G, 빅데이터, 에지 컴퓨팅과 같은 핵심기술에 대한 연구를 강화할 방침


- 제조업 본질에 입각해 공정기술과 장비를 핵심적으로 디지털 전환하며 스마트화 추진


- 기업·업종·지역의 구조 전환 및 고도화 수요에 초점을 맞춰 생산라인·공장·공급사슬을 중심으로 스마트제조 시스템을 구축하고 다양한 시나리오와 다층적 응용 시범을 통해 스마트제조의 새로운 모델을 육성보급 예정


- (로봇산업) 자국 내 로봇 기업을 국제경쟁력과 혁신 능력을 갖춘 글로벌 대표기업으로 육성하기 위해 집중 지원 방침


- 2025년까지 로봇산업 매출액을 연평균 20% 이상 확대하고 제조업 로봇 밀도도 2배 이상 향상할 계획


- 또한 국제경쟁력을 가진 선도 기업과 혁신 역량을 가진 강소기업을 육성하고 3~5개의 글로벌 영향력을 갖춘 로봇 산업 단지를 조성 예정


- (의료) 2025년까지 의료장비 산업 기초뿐 아니라 산업사슬·공급사슬·의료장비 성능 등 수준을 현저히 향상시켜 공공보건과 의료건강에 대한 수요를 기본적으로 충족시킬 방침


- 히 의료 로봇과 디지털 건강 플랫폼을 통해 의료장비산업에 첨단 정보기술을 접목할 계획이며 고령화 시대에 대비해 첨단 의료장비 개발에도 집중할 예정


- 아울러 ‘5G+헬스케어를 발전시키고 스마트 의료장비 발전에 박차를 가해 국민에게 전반적인 건강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