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WEF,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인식 분석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세계경제포럼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2-01-05
- 등록일 2022-01-28
- 권호 207
□ 세계경제포럼(WEF)은 시장 조사 기업 입소스(Ipsos)와 함께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세계 28국 국민의 인식과 전망을 살펴본 분석 결과 발표*(’22.1)*
* World Economic Forum-Ipsos Global Survey on Global Opinions and Expectations about AI
º 세계경제포럼(WEF)과 입소스(Ipsos)는 2021년 11월에서 12월 사이 28개국의 16세 이상 74세 이하 1만 9,504명을 대상으로 인공지능 기술에 대한 인식과 전망을 살펴보는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인구통계학적인 특성과 지역별로 발표
- 인공지능은 “전통적으로 인간의 지능을 필요로 하는 업무를 수행하는 컴퓨터와 로봇”으로 정의되었으며, 인공지능에 대한 인식을 응답자의 성별, 연령별, 소득별, 교육 수준별, 고용상태별, 국가별로 분석
- 기업의 의사결정권자(74%), 대졸 이상의 학력(71%), 고소득 가구(71%)일수록 높게 나타났으며, 35세 미만(66%)이나 남성(69%)의 경우 50-74세(61%)의 연령대나 여성(60%)보다 인공지능에 대해 더 잘 알고 있다고 응답
- 일본(41%)과 이탈리아(42%) 등 선진국보다 남아프리카공화국(78%), 칠레(76%), 러시아(75%) 등의 신흥국에서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도가 높다고 응답하였으며, 한국(72%)로 높은 이해도 기록
-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제품과 서비스의 유형을 알고 있다는 응답자는 절반(50%)에 불과함
º 응답자 중 절반 정도(52%)가 인공지능 제품과 서비스가 단점보다 장점이 많다고 긍정적으로 보고 있었음
- 중국(78%)과 사우디아라비아(76%) 등 개발도상국에서 인공지능을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프랑스, 캐나다, 네덜란드, 미국 등 선진국에 비교해 높게 나타남
º 전체 응답자 중 절반(50%)만이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기업을 그렇지 않은 기업만큼 신뢰한다고 응답하였으며,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기업에 대한 신뢰와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도는 밀접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었음
- 인공지능을 사용하는 기업에 대한 신뢰도는 중국(76%), 사우디아라비아(73%), 인도(68%) 등 신흥국과 캐나다(34%), 프랑스(34%), 미국(35%), 영국(35%), 호주(36%) 등 선진국 사이에서 큰 격차를 나타내었음
- 인공지능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있다는 응답자의 비율이 높았던 중국,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러시아 등 신흥국에서는 인공지능을 활용하는 기업에 대한 신뢰도도 높게 나타난 반면, 인공지능을 이해하는 응답자의 비중이 낮았던 일본, 이탈리아, 독일, 프랑스 등 선진국에서는 인공지능에 대한 신뢰도도 낮게 나타나는 경향이 나타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