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수송분야의 기후데이터 및 툴 활용 촉진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15-06-17
  • 등록일 2015-07-13
  • 권호 50

’15년 6월, 미국 과학기술정책실(OSTP)은 수송 분야의 기후변화 대응력 확보를 위한 기후데이터 및 툴의 활용

   동향을 제공


○ 오마바 행정부는 ’13년 6월 미국의 종합적 기후에너지 정책인 ‘대통령의 기후행동계획(The President’s Climate Action

    Plan)*’을 발표


   * 미국의 탄소배출량 저감, 기후 변화 영향에 대한 준비 강화, 그리고 기후 변화에 대처하는 미국 주도의 국제적인 노력 리드

      등 크게 3가지를 포함


○ 이후 이러한 계획을 추진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으로 정부차원의 기후 데이터 공개 계획(웹사이트*)인 ‘Climate Data Initiative’를

    공개


   * http://data.gov/climate


   ※ 미국 정부의 이러한 데이터 공개는 ‘Open Government’라는 정보공개 정책의 일환으로서 이전에는 접근이 어려웠던 건강,

       에너지, 교육, 공공안전 등 다양한 분야의 정보 공개를 통해 활용성을 높이기 위한 차원의 시도


 - 웹사이트를 통하여 미 국립해양기상청(NOAA), 미국지리청(USGS), 국방부(DOD)와 미 항공우주국(NASA) 등의 기후 과학

    데이터를 제공


 - 공개 데이터 제공을 통해 건강, 에너지, 교육, 공공안전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을 통해 기후변화의 영향에 대한 탄력적

    대응력을 제고

 급격한 기후변화에 따라 과거 데이터 활용의 효용이 떨어짐에 따라 새로운 형태의 대응 시스템 설계가 요구되는

   상황


○ 현재까지 미국의 도로, 교량 등의 수송 시스템은 과거 데이터에 기반하여 설계되어 왔으나, 기상이변 등 기후의 변화를 반영

    하는데 문제


○ 향후 기후변화 형태를 예측하여 보다 대응력이 높은 수준의 수송 시스템 마련을 위하여 의사결정자 및 엔지니어 등에 대한

    정보제공이 필요

 이를 위해 오바마 정부는 ‘기후데이터 이니셔티브(Climate Data Initiative, CDI)와 기후회복도구(Climate 

   Resilience Toolkit, CRT)*를 수립․활용 중

 

기후회복도구(Climate Resilience Toolkit, CRT)

- 기후변화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에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만든 인터넷 포털사이트
- 회복력 강화를 위한 절차를 5단계로 나누어, 체계적이고 일관적인 정책수립을 지원
- 각 단계별 개념정립부터 분석도구 및 예산확보에 필요한 정보까지 일목요연하게 구성
- 이 툴킷을 적용한 다양한 사례연구를 데이터베이스화해 최신 정보를 지속적으로 업데이트
- 정부기관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다양한 기후변화 분석도구들을 모아 한눈에 볼 수 있도록 정리


 ※ 자료 : 국토연구원 세계도시정보 

< 기후회복도구(Climate Resilience Toolkit, CRT) 홈페이지 >  

 

 



○ 미 행정부는 CDI와 CRT 안에서 새로운 수송시스템 개발을 추진하고 있으며, 6개 연방정부 기관으로부터 나온 90개 이상의

    기후변화와 수송 시스템에 대한 데이터 세트를 제공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