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WEF, 글로벌 스마트 산업 대비 지수 발표 원문보기 1
- 국가 국제기구
- 생성기관 세계경제포럼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2-02-10
- 등록일 2022-03-04
- 권호 209
□ 세계경제포럼(WEF)은 세계 30개 국가 제조 산업의 디지털 전환 현황을 분석한 2022 글로벌 스마트 산업 대비 지수 보고서 발표*(’22.2)
* The Global Smart Industry Readiness Index Initiative: Manufacturing Transformation Insights Report 2022
º 싱가포르 경제개발청과 협력해 30개 국가 600여 제조 기업을 대상으로 스마트 산업 대비 지수(SIRI)*를 산출하고, 세부 산업별로 스마트 산업으로의 전환 정도 분석
* 한 산업에 속한 기업이 다른 산업의 기업에 비해 16개의 평가 부문에서 어떤 평가를 얻었는지를 나타내는 것으로, 높은 지수를 받을수록 산업적 전환의 단계가 성숙하였음을 의미
- 열대우림: 높은 수준의 스마트 산업 대비 지수 성숙도와 변동성을 모두 보이는 전자, 반도체, 에너지 및 화학, 물류 산업 등
- 침엽수림: 높은 수준의 스마트 산업 대비 지수 성숙도와 낮은 변동성을 나타내며, 제약이나 자동차, 항공, 의료 기술 등
- 사바나: 상대적으로 낮은 스마트 산업 대비 지수 성숙도와 높은 변동성으로 특성화될 수 있으며, 대부분 디지털 전환의 초기에 있으면서 일부 기업이 앞서나가는 석유 및 가스 산업 등
- 툰드라: 스마트 산업 대비 지수 성숙도와 변동성이 모두 낮은 산업으로 특성화될 수 있으며, 산업적 전환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계 및 장비, 일반 제조, 식품 및 음료, 정밀 부품, 직물, 의료, 가죽, 신발 산업 등
º 2022년 현재 디지털 전환을 선도하고 있는 산업은 반도체, 전자, 제약, 에너지 및 화학, 물류 산업 순으로 나타났으며 2019년 11월에 조사한 것과 유사한 결과를 나타냄
º 중소기업과 다국적기업은 생산성과 품질과 관련한 주요 성과 지표에 초점을 맞추고 있으나, 유연성과 속도가 빠르게 주목받고 있음
- 모든 기업 유형에서 생산성과 품질 관련 주요 성과 지표가 1, 2위를 차지
- COVID-19 팬데믹 이후 변화하는 업무 환경과 공급망에 대응해 유연성과 속도와 관련한 주요 성과 지표로의 우선순위 변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