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차세대 우주·통신 산업 이끌 ‘위성통신 시장’ 선점 경쟁 각축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뉴시스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2-02-02
  • 등록일 2022-03-04
  • 권호 209

□ 차세대 네트워크 6G 접목한 저궤도 위성통신 시장 주목


º ·도시 등 사회 전반을 유기적으로 연결하는 6G 시대에는 저궤도 위성통신*을 이용해 공간 제약을 받지 않고 사막·산지 등 소외 지역에 초고속 광대역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며 새로운 기회를 창출에 대한 기대감 상승


* 저궤도 위성통신(LEO): 위성고도 3001,500km의 궤도에 위성 수백 대를 띄워 안정적으로 인터넷 서비스 제공하며 전파 왕복 시간이 짧아 손실도가 적고 통신 지연율도 현저히 낮은 점이 특징


º 20211231일 기준 전 세계에서 운용되고 있는 인공위성 수 4,852대 가운데 저궤도(LEO) 4,078대를 차지할 만큼 차세대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부상(Union of Concerned Scientists, 2022.1)


중궤도(MEO) 141타원궤도(Elliptical) 59정지궤도(GEO) 574대 순


2-1.PNG


- 국가별로는 미국(2,944)이 가장 많았으며 이어 중국(499) 영국(452) 러시아(169)


- 우리나라는 17대의 인공위성을 보유하고 있으며 통신(Communications)’ 목적으로 5대가 운용 중


□ 세계 주요국, 우주 선점하기 위한 '저궤도 위성' 기술개발 및 정책 지원 강화


º 라질·EU·미국·일본·중국 등 세계 주요국은 금년 저궤도 위성통신 시을 선점하기 위한 경쟁 본격화



2-2.PNG


º 리나라도 금년 누리호 추가 발사 한국형 달궤도선(KPLO) 발사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착수 등을 통해 민간 우주기업 육성을 추진할 계획


- 누리호 1차 발사(2021.10.21)에서 발생한 문제점 보완 과정을 거쳐 누리호 2차 발사를 성공적으로 이끌 방침이며 2차 발사 후에도 성능을 꾸준히 개선하기 위해 한국형 발사체 고도화 사업에 2022 예산으로 1,728억 원을 배정


누리호는 1차 발사에서는 이륙 후 1단 분리, 페어링 분리, 2단 분리 등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졌으나 3단에 장착한 7톤급 액체 엔진이 목표한 521초 동안 연소하지 못하고 475초에 조기 종료


- 금년 8월에는 한국형 달궤도선(KPLO)도 발사할 계획이며 고해상도 카메라 광시야 편광카메자기장 측정기 감마선 분광기 우주인터넷 섀도캠 등 6종의 탑재체를 활용해 달 탐사 임무를 수행할 방침


- 또한 2022년부터 2035년까지 14년간 총 37,2345,000만 원의 사업비가 투입되어 우리나라 우주 개발 역사상 최대 규모의 사업으로 추진되는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orean Positioning System·KPS) 개발도 시작


- 초정밀 위치·항법·시각 정보서비스를 제공하는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을 개발해 4차 산업혁명 인프라를 구축할 방침


- 아울러 글로벌 우주 개발 경쟁에 대응할 수 있는 전략적 인재 양성을 위해 국내 이공계 대학 다섯 곳에 미래우주교육센터를 신설(1.26)했으며 금년 4월부터 운영 시작


□ 국내·외 주요기업, 저궤도 위성을 활용한 인터넷 통신망 개발 추진


º 페이스X, 원웹, 한컴인스페이스, 한화시스템 등 국내·외 위성통신 사업 관련 기업은 위성을 제작·발사하며 사업 영역 확장


2-3.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