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인공지능 기반 ‘가상인간’…스스로 학습하고 소통하며 진일보 원문보기 1

  • 국가 한국
  • 생성기관 한국경제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2-02-22
  • 등록일 2022-03-04
  • 권호 209

□ 가상인간, 마케팅 수단을 넘어 인간의 역할을 대신하며 활동 범위 확장


º 공지능·메타버스·가상·증강현실 등 ICT 기술 진전으로 현실과 가상을 잇는 융합 세계 구현이 용이해지면서 인간 모습을 갖춘 가상인간이 출현, 다양한 분야에서 활약

 

- 스스로 학습 가능한 인공지능, 현실과 가상세계를 잇는 메타버스 플랫폼 등 첨단기술 발전과 함께 코로나19로 촉발된 비대면 일상화로 가상인간을 활용하려는 수요 급증


- 게다가 학폭과 같은 사생활 논란 등 리스크가 있는 실제 인물과 달리 가상인간은 이러한 위험성이 없어 광고 모델, 은행원, 쇼핑호스트, 마케팅 분야에서 활용 증가


º 근 싸이더스 스튜디오 엑스의 로지’, LG전자 김래아’, 롯데홈쇼핑 루시등은 사람과 닮은 외모로 크게 화제를 모은 가상인간


6-1.PNG


- 로지는 주근깨와 점이 있는 친근한 얼굴로 맛집을 찾는 모습, 나미비아와 이집트 여행사진을 인스타그램에 공유·업데이트하다 가상인간이라고 커밍아웃하고 활동 본격화


- 김래아는 CES 2022에서 LG전자 제품 소개 등을 맡았으며 현재 자작곡을 쓰고 실제 사람 가수와 협업해 음반 발매 예정


- 네이버 쇼핑라이브에 출연한 리아’, 롯데홈쇼핑 쇼호스트로 나선 루시등은 소비자와 직접 소통하는 대표적인 가상인간


- 스마일게이트가 개발한 한유아’19년 게임(포커스온유)에서 첫 등장 후 ’21년 사람과 유사한 모습으로 업그레이드되었으며 비정부기구(NGO) 홍보대사로 활동


- 인공지능 디지털 그래픽 스타트업 펄스나인과 카카오엔터테인먼트 자회사 레디엔터테인먼트가 3월 선보일 웹드라마에서 가상 걸그룹 이터니티 멤버 재인이 조연 출연 예정


- 해외에서도 미국 스타트업 기업 브러드가 개발한 가상인간 릴 미켈라가 인스타그램에 데뷔 후 캘빈클라인·샤넬·프라다·디오르 등 유명 브랜드 모델로 활동하며 메가 인플루언서로 성장


블룸버그에 따르면 202124,000억 원이던 가상인간 인플루언서 시장규모가 202514조 원에 달할 것으로 전망(실제 인간 인플루언서 시장(13조 원)을 넘어선 규모)


º또한 2.20일 폐막한 베이징 동계올림픽에서도 가상인간 기상 캐스터, 아나운서, 가수 등이 등장해 주목


- 중국 CCTV 스튜디오에 등장한 미트구(Meet Gu)는 중국 유명 스포츠 스타이자 스키 선수 에일린구를 본딴 가상인간


- CCTV 가상 기자 '왕빙빙', 인공지능 가상 기상 캐스터 '펑샤오수'도 관심을 받았고 유명한 가상 가수 '뤄톈이'가 올림픽 행사에서 노래 독창


- 왕빙빙은 과거에 비해 입체적 체형, 풍부한 목소리 음색과 신체 움직임을 구현한 데다 외모·행동과 상호작용 차원에서 사람과 더욱 유사


º마 전까지만 해도 자유로운 양방향 의사소통이 어려웠지만 최근 사람과 상호작용·교감 가능한 수준으로 발전하며 새로운 인류로 미래 공존할 것이라는 관측


□ 세계 처음으로 초거대 인공지능 기반 가상인간 선보인 LG전자


º 2.14일 뉴욕 패션위크에서 LG전자는 초거대 인공지능 모델 엑사원(EXAONE)을 활용해 만든 첫 인공지능 가상인간 틸다(Tilda)’* 공개


* 더 나은 세상을 위해 인공지능과 인간이 함께 만드는 변화의 물결, 인간과 인공지능의 연결을 형상화할 수 있는 ~(물결표)의 기호 이름인 Tilde와 발음이 유사하면서 친근감을 느낄 수 있도록 인공지능 가상인간 이름을 틸다(Tilda)라고 명명


- 틸다는 스스로 사고해 새로운 디자인을 창작하는 인공지능 아티스트로 뉴욕 패션위크 메인 무대인 스프링 스튜디오의 발광다이오드(LED) 화면에서 첫 선


- 언어와 이미지를 함께 사용하는 멀티모달 형태인 엑사원을 기반으로 입력된 언어 맥락을 이해해 사고·판단하고 기존에 없는 이미지를 창작하며 인간과 자연스럽게 소통 가능


- 틸다는 국내 디자이너와 함께 금성에서 핀 꽃을 주제로 디자인한 의상을 선보였으며 무엇을 그리고 싶니?’ 등 질문에 사람처럼 다각도로 생각하며 이미지를 창작, 실제 사람 디자이너가 의상을 제작하는 방식으로 협업 진행


- 초거대 인공지능이 소설·컬럼·에세이 등 글자로 된 콘텐츠 창작을 넘어 시각 분야로 범위를 확대하고 실제로 활용한 최초 사례라는 데 의의


- 또한 세계 최대 수준인 말뭉치 6,000억 개 이상, 텍스트와 결합된 고해상도 이미지 25,000만 장 이상 데이터를 학습한 엑사원을 기반으로 해 이러한 차별적 창작 가능


º ‘틸다를 시작으로 향후 제조·연구·서비스·교육·금융 등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을 돕고 인간과 협력하는 전문가 인공지능 휴먼을 만든다는 계획


- 인간과 협력하는 상위 1% 전문가 인공지능의 또 다른 형태인 틸다를 통해 다양한 협업 모델을 추진해 나간다는 구상


6-2.PNG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