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을 통한 자유무역협정 표준 구축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 주제분류 과학기술국제화
- 원문발표일 2013-12-27
- 등록일 2014-01-02
- 권호 13
* 환태평양경제동반자협정(Trans-Pacific Partnership) : 미국을 중심으로 아태 지역 12개국(호주, 뉴질랜드, 싱가포르, 페루, 캐나다, 칠레, 일본, 말레이시아, 멕시코, 베트남, 브루나이, 미국) 간 진행 중인 다자간 FTA로 한국은 2013년 11월 참여의사를 표명
※ 12월 TPP 협정의 최종 각료회의를 앞두고 정보기술혁신재단(ITIF; The Information Technology & Innovation Foundation)에서 성공적 추진을 위한 보고서를 발표
○ TPP는 포괄적이고 높은 수준의 자유무역협정 표준을 구축함으로써 아태 지역의 긴밀한 경제적 통합과 협력체제 마련이 목적
방안 |
구체적 내용 |
혁신산업 등 서비스 무역의 자유화 |
·혁신산업에 대한 모든 관세 제거 ·혁신적 서비스업(전기통신 서비스, 시청각 서비스)의 무역자유화 ·디지털 무역에서 현지화 장벽(예: 데이터 서버 현지화) 금지 |
지식재산권의 보호강화 |
·12년간 바이오 의약품에 대한 데이터 독점권 유지 ·영업 기밀(trade secret)에 대한 일반적 정의 채택 |
국제적 협정사항의 준용 및 국영기업 특혜 제한 |
·세계무역기구(WTO)의 정보기술협정(ITA)·정부조달협정(GPA) 참여 ·관세와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GATT)의 내국민우대에 관한 적용범위 명확화 |
기타 사항의 이행 |
·암호화 기능 제품의 무제한 수입·사용·판매 허용 ·지역 콘텐츠 요구사항의 사용 금지 ·외국인 직접투자 규제 완화 |
○ 우리나라의 경우 TPP 참여로부터 얻을 수 있는 정치적?경제적 실익에 대한 지속적인 논의 및 고려가 필요
※ TPP는 일괄협상타결방식이기 때문에 협의내용에 대해 선택적으로 참여할 수 없는 점과 협상종료 후 가입할 경우, 기존 회원국이 정해놓은 협정을 따라야 할 가능성이 높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