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미국, 2022년 3G 서비스 중단…이동통신 세대교체 본격화 원문보기 1

  • 국가 미국
  • 생성기관 지디넷 코리아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2-02-23
  • 등록일 2022-03-17
  • 권호 210

□ AT&T 시작으로 T모바일·버라이즌 3세대(3G) 이동통신 순차 종료


º T&T, T모바일, 버라이즌 등 미국 주요 이동통신사는 5G 대역폭을 확보하기 위해 금년 중 3G 서비스를 완전히 종료할 계획


3-1.PNG


- AT&T2223G 서비스를 종료하면서 주요 이동통신사 중 가장 먼저 3G 네트워크 폐쇄


- 이어 T모바일은 3G 서비스 중단을 위한 단계적 절차를 거쳐 7월 최종적으로 서비스를 종료할 계획


- 거듭 서비스 종료일을 미뤄온 버라이즌도 금년 12313G 서비스 종료 계획을 발표


버라이즌은 20163G 네트워크 서비스 종료를 준비하면서 당초 20193G 서비스를 종료하겠다고 발표했지만 이용고객의 4G·5G 이동상황을 고려해 종료 시일을 2020년 말로 연장했으202212월 말로 한 차례 더 연기

 

- 각 통신사는 서비스 종료 직전까지 기존 가입자를 대상으로 3G 종료 및 전환 방법을 안내할 계획


- 향후 3G 회선과 무선망 보수에 들어가는 비용을 5G 이동통신 등의 투자에 투입하여 5G 품질을 높일 방침


3G 서비스 종료로 IoT 단말·자동차 내비게이션 시스템 등 혼란 야기


º 3G 서비스가 종료되면 2010~2021년 사이 제조된 대표 완성차업체 차량의 위치정보 업데이트·교통상황·스마트폰 연결·긴급전화 서비스 등 통신관련 기능이 사용 불가하게 되면서 휴대폰 가입자 외에도 혼란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


- 3G 휴대전화는 911 응급전화 기능을 포함한 모든 서비스를 사용할 수 없게 되며 태블릿도 사용 불가


- 또한 3G 네트워크를 사용하는 개인 의료 비상 시스템을 비롯한 화재 및 외부 침입 감지 알람 시스템 작동도 중단

 

- 특히 휴대폰보다 사용주기가 긴 자동차의 경우 일부 차량이 3G 통신 방식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혼란 예상


- 테슬라는 물론 아우디, 혼다, 닛산 등 미국의 수백만 차량이 충돌 시 작동하는 자동비상대응 서비스, 실시간 내비게이션, 스마트폰 앱을 통해 출발 전 차량 내 실내 온도를 조절하는 프리컨디셔닝등의 주요 기능을 사용할 수 없어 운전자의 불편 초래


- 이에 자동차 업체들은 일부 서비스를 중단하거나 차주가 일회성 요금 또는 월정액을 지불할 경우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서비스를 업데이트해주는 서비스를 제공


(테슬라) 20156월 이전 제조된 모델S 차량이 3G 서비스 종료로 일부 원격 기능과 내비게이션, 지도 등의 기능이 영향을 받을 예정이며 200달러의 비용으로 이를 해결하는 모뎀 업그레이드 제공 (혼다) 222일까지 무료로 소프트웨어 업데이트를 지원했으며 이날 이후에 기존의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900달러 비용으로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진행


- 아울러 전자발찌 제조업체가 3G 통신사용 기기들을 많이 업데이트하지 못했다고 발표하며 성범죄자들이 차는 전자발찌의 원격 관제에도 차질이 빚어질 수 있을 것으로 예상


□ 한편, 미국에 이어 일본, 독일까지 3G 서비스 종료


º 독일 주요 이동통신사 도이치텔레콤의 3G 서비스 종료(2021.7)를 시작으로 유럽 곳곳에서 3G 중단 행렬이 이어지고 있으며 일본 이동통신사도 3G 서비스 종료 계획 발표


- 독일을 시작으로 영국 브리티시텔레콤(BT)은 향후 2년간 3G 서비스를 단계적으로 중단할 계획이며 T모바일 폴란드는 20233G 서비스 종료를 준비 중


- 또한 이탈리아 통신사 TIM, 리투아니아에스토니아 통신사도 금년 3G 서비스를 종료할 계획이며, 스페인의 텔레포니카는 2025년까지 3G 서비스를 종료할 방침


- 이 외에도 일본 2위 이통사인 KDDI는 금년 내로 3G 서비스를 종료할 예정이며, NTT도코모도 2026년까지 3G 서비스를 중단할 계획


º 처럼 전 세계 주요 이동통신사가 3G 서비스를 종료하는 것은 동영상 등 멀티미디어가 중심이 되는 현재 인터넷 서비스 환경에서 데이터 전송 속도가 느린 3G가 별다른 역할을 하지 못함에 따라 많은 이용자가 LTE(4G)5G로 이동한 것이 주효한 것으로 분석


- 3G 가입자 수가 급감함에 따라 장비 노후 문제와 주파수 재할당, 3G망 관리 비용 등 운용 비용 부담이 확대되면서 3G 서비스를 중단하는 것으로 풀이

 



배너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