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으로 바로가기

국내외 과학기술정책에 대한 주요 정보

주요동향

주요동향

日, 자율운항 선박 기술 선점 행보 가속…’25년 상용화 목표 원문보기 1

  • 국가 일본
  • 생성기관 Mitsui OSKLines
  • 주제분류 핵심R&D분야
  • 원문발표일 2022-01-25
  • 등록일 2022-03-17
  • 권호 210

□ 일본 최대 해운사 ‘미쓰이OSK라인’, 세계 최초 컨테이너선 자율운항 성공 


º  회사의 연안 항로용 194TEU(1TEU6m 길이 컨테이너 1)급 컨테이너선 미카게가 출항부터 운항, 목적지 도착 후 정박까지 배가 스스로 모든 단계를 수행


- 후쿠이현 쓰루가항을 출항해 돗토리현 사카이항까지 298km의 바닷길을 단 한 명의 선원도 태우지 않고 세계 최초로 화물선 완전 자율운항에 성공


- 이는 선박회사 미쓰이(商船三井), 민간 기업, 비영리단체인 일본재단이 추진하는 자율운항 선박 프로젝트 ‘MEGRURI2040’*의 일환


* 2020년에 출범한 MEGRURI2040자율운항 선박의 범용성 기술개발, 개선작업 자동화 등을 목표로 다수의 선박 및 관련 회사가 참여


5-1.PNG


º 2.7일에는 204TEU급 컨테이너선 스자쿠가 일본 혼슈 남동쪽 도쿄만과 혼슈 중앙부 이세만 사이의 약 380항로에서 시험 운항 시작


- 이 해역은 전통적으로 해상교통량이 많은 해역으로 일본 정부가 지난 5년간 완전 자율운항화물선 개발과 운용을 도입하려는 곳


º 본 정부는 늦어도 2025년부터는 완전 자율운항화물선의 상업운항을 시작하고 2040에는 일본국적선박의 절반 이상에 완전자율운항 기술을 적용한다는 구상


□ 컨테이너선 같은 대형 선박의 자율운항 기술개발 확보 위한 경쟁 스타트


º 율운항 선박은 자율주행차처럼 사람 도움을 받지 않고 스스로 기상 상황과 주변 선박, 암초 같은 해상 장애물과 위협을 파악해 운항하는 선박


- 국제해사기구(IMO)는 이런 자율운항 선박의 자율화 등급을 4단계로 구분


- (1단계) 선원의 의사 결정을 지원하는 수준(2단계) 원격제어는 가능하지만 선원 승선이 필요한 수준(3단계) 선원 승선 없이 원격 제어가 가능한 수준(4단계) 완전 자율운항 단계


º 자율주행차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는 것처럼 자율주행선박 경쟁도 촉발


- 202111월 노르웨이 비료생산회사 야라(YARA)가 선박제조기업 바드(VARD)와 손잡고 개발한 120TEU급 완전자율운항 전기 화물선이 첫 시험 운항


- 만일의 상황에 대비해 선원이 승선한 상태에서 운항이 이루어지면서 완전 자율운항 단계는 아니었다는 평가


- 반면 일본의 미카게는 선원이 승선하지 않았고 위성항법시스템(GNSS)과 라이다 센서를 이용해 스스로 출항과 운항, 입항, 항만 접안을 성공적으로 완료


- 게다가 배에 탑재한 드론으로 항구 작업자에게 고정줄을 내려 정박까지 마무리하며 4단계 완전 자율운항 수준에 도달했다는 평가


- 영국·핀란드 등 유럽과 중국에서도 관련 기술개발 속도를 내고 있으며 롤스로이스 등 기업도 적극적으로 진출


- 우리 정부는 20201,600억 원을 투입해 2025년까지 3단계의 자율운항 선박을, 2025년 이후 완전 자율운항 선박을 개발한다는 계획 발표(2020.6)


- 또한 기술개발 촉진과 조기 상용화를 위해 2030년까지 추진할 주요 과제를 담은 자율운항선박 선제적 규제혁신 단계별 이행안을 발표(2021.10)


º 자율운항은 인건비, 운용비 효율화와 사고 손실 줄일 획기적 기술


- 인건비와 각종 운용비 상승에 어려움을 겪는 선박 회사들은 완전 자율운항 선박 기술에 높은 관심


- 2020년부터 일본의 완전 자율운항 선박 개발 사업을 지원해온 비영리단체 일본재단은 완전 자율운항 선박 도입을 통해 2040년 약 1조 엔(103,700억 원)의 경제적 이익 기대


- 해상 사고에 따른 보험료와 비용 손실도 크게 감소 전망. 유럽해사안전청에 따르면 20112015년 해상 선박사고 880건 중 62%가 사람 실수로 발생

 

- 노동력 감소와 고령화에 따른 일손 부족도 해결 가능한 기술로 평가

배너존